[신수 훤하게 삽시다] 퇴행성관절염


퇴행성관절염은 만성병이다. 대부분이 중년, 노년기에 생기게 되어 좋아졌다 나빠졌다를 반복한다. 살아있는 한 몸을 움직이게 되므로 체중부하를 받는 관절이 닳아져서 생기는 퇴행성관절염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피할 수 없는 병이다.

방사선 검사를 해보면 55세 이상 성인의 80%, 75세 이상 성인의 대부분이 퇴행성관절염의 소견을 보인다고 한다. 물론 이들 모두가 전형적인 관절염 증상을 보이는 것은 아니고 이 중 약 1/4이 관절염의 증상을 나타낸다.

뼈의 구조를 보면 정상관절의 뼈와 뼈가 맞닿는 부분이 연골로 싸여 있어서 관절운동이 원활하며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연골이 힘을 많이 받는 중심 부분부터 망가지는 질환으로, 관절면이 망가져 고르지 못하게 되면 힘을 많이 받는 부분과 적게 받는 부분이 생기게 되어 관절파괴의 악순환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인 무릎, 엉덩이, 발, 척추 등과 하루 종일 사용하게 되는 관절인 손가락에 잘 생기게 된다. 평생을 몸을 움직여 사신 어른들의 울퉁불퉁하고 굵은 손가락 마디마디를 생각해보면 퇴행성관절염이 얼마나 ‘퇴행성’인지를 알 수 있다.

관절염이 생긴 관절은 움직일 때 뻣뻣하고 아프며 특히 춥거나 습기가 많은 날에는 더 아프다. 습도가 높은 날에는 관절통이 심해져서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내릴 것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흔히 신경통이라고 불려지기도 한다. 유전적인 요인도 작용하여 체질적으로 연골마모가 빨리 진행하는 체질도 있다. 체중이 많이 나가면 더 빨리 퇴행성 관절이 오게 된다.

관절이 닳고 약해져서 생긴 퇴행성 관절을 젊은 관절로 되돌릴 수는 없다. 아주 심하면 인공관절을 넣는 수술을 하기도 하지만 회복 과정도 힘들고 오래 걸리며 회복 후에도 원상회복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인공관절로 바꿀 정도가 아니라면 퇴행성관절염의 치료의 기본은 ‘뜯어고치는 치료’가 아니고 ‘기름칠해가면 아껴 관리해가는 치료’이다.

우선적으로 적절한 운동이 필요하다. 아프다고 움직이지 않으면 관절은 점점 더 쓸모가 없어진다.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 즉 통증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한번에 욕심내서 장시간 무리해서 운동을 하게 되면 십중팔구 통증이 생기게 되어 있다. 처음에는 10분 내지 15분씩 정도로 짧게, 대신 하루 2-3차례 나누어서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운동 후 관절이 아플 정도로 운동해서는 안 된다. 운동 후 관절통은 그 운동이 무리가 되었고 관절이 조금 더 망가졌다는 의미이다. 관절에 체중이 실리는 운동이나 활동, 예를 들어 계단 내려오기, 등산에서 하산, 줄넘기, 달리기 등은 내려오는 동작이 관절을 더욱 망가트린다. 그러므로 계단은 오르기만 하는 것이 좋다.

반면 수영은 부력이 있어 관절에 가는 중력을 줄여주는 저항운동이 되므로 모든 관절염 환자에게 추천되는 좋은 운동이다. 통증이 심할 때는 관절을 쉬게 하면서 안정을 취하고 필요할 경우 가까운 병원에서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를 받는 것도 좋다.

체중이 많이 나가면서 관절이 있는 분들은 체중을 줄여주면 관절염의 호전을 볼 수 있다. 3-4 kg만 줄여도 몸이 훨씬 가벼워지고 관절통이 훨씬 줄어든 것을 느낄 수 있다. 집안 환경도 관절을 아낄 수 있도록 바꾸어주는 것이 좋은데 이를 위해서는 가족의 협조가 필요하다. 층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1층에 거주하도록 권유하거나 화장실에 지지대를 설치한다거나 등이 환경교정의 일례이다.

관절염약의 기본은 소염진통제이다. 병원에 가서 한 움쿰씩 처방받아 먹다보면 위가 쓰리고 신물이 넘어오는 일이 다반사여서 ‘독한 약’이라는 오명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염증을 줄이면서 부작용인 위장장애를 최소화시킨 약제들이 개발되어 있다.

퇴행성관절염과 같이 오래가는 지루한 질병을 가진 분들은 ‘특효약’을 기대한다. 퇴행성관절염에 대해 많이 물어오는 특효약은 뼈주사이다. 두 가지 정도가 있는데 그 중 한 가지는 ‘관절강내 스트로이드 주사’이다. 이 치료방법은 일반적인 운동, 물리 치료, 약물치료로 호전이 안 될 경우 사용해 볼 수 있는데 효과가 일시적이고 통증이 좋아지면서 관절파괴는 계속 진행되는 것이 단점이여서 반드시 4-6개월의 간격을 두고 맞아야 한다.

두 번째인 하이알루노난은 새로 도입된 주사방법으로 관절액의 성분과 같은 성분을 관절에 넣어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두 주사법 모두 주치의와 충분한 상의 후에 주사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박현아 가정의학 전문의


입력시간 : 2003-11-19 15:27


박현아 가정의학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