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무무-달하', '타타 IN 부타' 무술의 예술적 접목 시도

영화 <와호장룡>은 지난 2001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외국어영화상 등 4개 부문을 휩쓸며 '무술영화의 새 장을 열었다'라는 평가를 얻었다. 기존의 중국 무술영화처럼 화려하지도 강렬하지도 정교하지도 않은 이 영화가 이 같은 찬사를 받은 이유는 뭘까.

바로 예술의 경지로 승화된 무술 대결 장면 때문이었다. 어디선가 들려오는 북소리에 맞춰 휘청거리는 대나무에 몸을 맡기며 합을 겨루는 두 사람. 그 사이에서 파생되는 고수들의 '몸의 에너지'는 상대를 패퇴시키는 무(武)가 아니라 함께 어우러지는 무(舞)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무술의 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한 것은 중국인들이 아닌 세계인들이었다.

서양인들에게 동양의 무술은 여전히 매력적인 '바디 퍼포먼스'다. 무술은 그 자체로 동양이다. 쿵푸는 중국을 대표하고, 태권도는 한국을 의미한다. 그래서 세계인에게 태권도는 한국과 만나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다. 때문에 태권도의 문화적 효용성을 활용해 공연 콘텐츠 속에 녹여내는 작업도 공연계에선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미 16개국 해외 투어 공연을 할 만큼 큰 성공을 거둔 <점프>는 태권도를 비롯한 각종 동양무술에 스토리를 가미해 코믹공연으로 완성시킨 한국의 대표 문화상품으로 자리잡았다. 지난해 영국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 진출한 작품 중에도 두 편이 태권도를 소재로 한 공연이었다.

<아리랑파티>는 타악 연주자 최소리가 태권도와 우리 전통문화를 서양식 파티 형식으로 담아내 많은 관심을 모았다. 태권도 동작과 무술정신을 담은 '화랑패', 창작춤과 비보이가 조화된 '춤패', 역동성을 강조한 타악 중심의 '소리패'로 구성돼 볼거리뿐만 아니라 한국 전통문화를 알리는 데에도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 루나틱컴퍼니가 태권도와 힙합, 코미디가 결합해 만든 비언어극 <패밀리>도 태권도가 세계적인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받으며 '포스트 <점프>'의 선언을 알렸다.

익스트림 태권도 뮤지컬 퍼포먼스 '타타 IN 붓다'
지난 16일부터 3일간 세계국립극장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 올랐던 경기도립무용단(예술감독 조흥동)의 춤극 <태권무무(跆拳武舞)-달하(The Moon)>는 단순한 볼거리로서의 태권도뿐만 아니라 춤과 무술의 예술적 접목이라는 고민을 진지하게 시도했다.

제목 중 '무무(武舞)'는 문덕(文德)을 찬양하는 춤인 '문무(文舞)'에 비견할 수 있는 춤으로 무공(武功)을 찬미한다는 의미. '달하'는 '달님이시여'라는 뜻의 고어. '태권도의 날'이 법정 기념일로 정식 발효된 지난해 탄생한 <태권무무-달하>는 경기도 문화의 전당 대공연장에서 첫 선을 보이며 4일 간 1만여 명의 관객을 공연장으로 불러모은 바 있다.

이번 공연에서도 관객의 관심은 한국춤의 성격에 태권도의 동작과 철학을 어떻게 녹여냈는가에 맞춰졌다. 이제까지 태권도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대부분 태권도 동작의 나열에 그치고 만 것은 그만큼 무술을 예술적 움직임으로 승화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반증하기 때문이다. 작품을 총괄한 조흥동 예술감독 역시 "우리 춤은 곡선적인데 반해 태권도는 직선적이고 동작이 분절되어 있어 서로 융합시키기 어려웠습니다"라고 고충을 토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는 태권도의 템포와 스텝을 부드럽게 완화하고 끊어지는 동작을 감아넘어가는 느낌으로 연결시켰다. 그 결과 곡선과 직선이 조화된 '태권무'가 탄생했다.

한편 지난 20일부터 한 달간 국립극장 kb청소년 하늘극장에서 공연되는 또 한 편의 태권도 공연이 있다. '익스트림 태권도 뮤지컬 퍼포먼스'라는 화려한 소개가 달린 <타타 IN 붓다>가 그것. 2007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태양의 서커스> 공연을 보고 태권도의 세계화를 꿈꾸게 됐다는 연출가 백재현은 이번 무대를 태권도 콘텐츠의 가능성을 시험하는 무대로 생각하고 있다.

"원래 서커스도 '목숨을 걸고 하는 기예' 정도에 불과했지만 상상할 수 없는 무대 메커니즘과 결합해서 최고의 예술로 탄생한 거잖아요. 태권도 역시 목숨을 걸고 하는 무예보다는 존경심마저 들게 하는 '태권도 예술'로 승화시킨다면 무예로서의 가치도 재확인되고 서커스보다 경쟁력 있는 콘텐츠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타타 IN 붓다>의 부처이야기와 태권도의 결합은 좀 엉뚱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게다가 태권도 동작으로 이야기를 끌어가는 방식이란 상상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백재현 연출가는 그래서 극 전개에 태권도를 자연스럽게 삽입시키기 위해 군사 훈련이나 전쟁 등 격투 장면을 만들었다.

태권도 기술의 나열만으로 연결될 때 극이 쉽게 지루해질 것을 막기 위해 프랑스 뮤지컬처럼 대사가 없는 '송 쓰루(Song-Through)' 방식을 적용했다. "군무는 창작 품새, 훈련 장면은 대련과 호신술 격파 등으로 구성하는 거죠. 품새 사이마다 격파가 들어가고 격파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계산해서 격파가 끝나는 시점에 노래로 딱 맞게 연결시키는 겁니다."

하지만 애초에 성격이 다른 두 장르가 한 무대에 서다보니 빚어지는 충돌은 어쩔 수 없다. 예전에 비보이와 전통춤의 만남이 '따로국밥'처럼 한 작품 안에서도 평행선을 긋는 데 그치고 말았듯이, 기본적으로 무술의 예술이 가진 특성을 어떻게 조화시키고 하나로 융합시키는가가 여전한 과제다.

<태권무무-달하>의 조흥동 예술감독은 공연작품 속 태권도의 융합을 위해 이번 작업에서 세 가지 대원칙을 세웠다. '다채로운 볼거리', '빠른 템포', '태권도의 예술적 승화'가 그것이다. 또 두 장르의 보다 밀접한 접목을 위해서 극을 총체극으로 확장하고 '아리랑' 같은 '노래'도 삽입해 태권도뿐만 아니라 전통문화 색깔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한다. 백재현 연출 역시 이런 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태권도 단장과의 빈번하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쉽지 않음을 지적하며, <타타 IN 붓다>의 경우도 태권도학과장의 전폭적인 지지와 협조가 있었기 때문에 완성이 가능했다고 털어놓는다.

태권도를 소재로 한 공연은 여전히 미완성인 상태다. 태권도 특유의 화려한 동작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무대나 기존 공연 장르와 어떻게 균형있게 조화시키느냐도 공연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다. 무엇보다 태권도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로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공연 속의 마셜아츠 퍼포먼스'가 아니라 '태권도 퍼포먼스 춤극(혹은 뮤지컬)'이라는 장르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다.



송준호 기자 tristan@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