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예술박물관 개관국립극장 9억 들여 '연대기 전시실' 등 상설전시실 먼저 공개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우리나라의 근대 공연예술은 벌써 100년의 역사를 갖게 됐지만 그것을 체감할 수 있는 장은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선진국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여러 공연단체, 교육기관, 공연장이 있지만 정작 그 작품 자체는 사라지고 없다. 한 마디로 한국의 공연예술은 공연의 특성처럼 그 순간에만 존재해온 것이다.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그동안 공연예술계는 전문적인 공연예술자료관이나 박물관의 건립을 추진해왔다. 공연예술자료의 존재는 우리 문화의 전통과 우수성을 정리해 문화적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새로운 공연 콘텐츠의 개발에 있어서도 이는 공연계의 중요한 과제였다.

지난해 말 국립극장이 개관한 국내 최초의 공연예술박물관은 그간의 이런 갈증을 일부나마 해소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약 9억 원의 예산이 소요된 이 박물관은 한국 공연예술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함께 국립극장사를 다루며 '극장'이라는 공간이 도입된 이후 약 100년간에 초점을 맞췄다.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아카이브실, 수장고, 교육실로 구성된 박물관은 지난해 말 '연대기 전시실'과 '주제 전시실'로 구성된 상설전시실이 먼저 공개됐다. '연대기 전시실'은 공연예술의 기원, 개화기의 공연예술, 소극장 운동 등 한국 공연예술의 역사를 연대기식으로 구분해놨고, '주제 전시실'은 무대의상, 예술인의 방(예술가들의 기증품), 무대 미니어처와 무대디자인, 소품 등을 진열하고 있다. 상설전시실의 탄생으로 관계자와 관객 모두 한국 공연예술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항상 느낄 수 있게 됐다.

공연예술박물관은 공연예술계 원로들과 자문위원단이 의 운영방향과 자료선정에 대해 2년간의 논의를 거쳐 탄생하게 됐다. 2007년 발족해 활동을 시작한 '공연예술자료관팀'은 한국 공연예술의 오랜 숙원이었던 공연예술박물관의 설립에 초석을 마련했다. 이후 국립극장 전속단체(국립극단,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국악관현악단)의 공연사적 업적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시회 개최와 대대적인 기증 캠페인을 벌이는 등 박물관 설립의 기반을 충실히 닦아왔다.

특히 의 의미는 한국 현대 공연예술사를 관통하는 국립극장의 존재감과 맞닿아 있다. 1950년 창립된 이래 부민관을 시작으로 대구 문화극장, 명동 시공관, 명동 국립극장을 거쳐 현재에 이른 국립극장의 역사는 곧 한국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공연예술박물관 측은 이후 '국립'이라는 대표성에 걸맞게 전국에서 공연되는 공연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한국 공연예술학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올해 4월 29일 정식 개관과 함께 기획전시실을 공개하는 공연예술박물관은 이후 주제전시 기획과 더불어 외부 공연예술 자료의 수집과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공연예술만을 다루는 전문 박물관이 국내에 전무했기 때문에 소장 자료의 분류체계를 정리하는 과정이 당분간의 숙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물관 관계자는 "지속적인 주제전시기획, 박물관 견학 등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풍부한 디지털 자료 확보로 인한 아카이브실 활성화로 관람객과 다양하게 만나는 생동감 있는 박물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준호 기자 tristan@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