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째 아이 낳으면 정부에서 몇 십만원 준다고, 누가 그것 때문에 아이 낳나요? 입양 아동 지원금도 마찬가지에요. 월 7만원 준다고, 누가 입양하겠습니까?”

보건복지부가 3월 국내 입양 활성화 방안을 위해 “아동이 만 18세가 될 때까지 입양 가정에 매달 7만원의 양육비를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발표를 하자, 이에 대한 입양기관 관계자의 볼멘 소리가 터져 나왔다.

대책(?)없는 출산 장려책만큼이나, 입양 활성화 방안 역시 ‘탁상공론’인 셈이었다.

보건복지부에 의하면 지난해 입양을 기다리는 아동은 9,420명으로 이중 1,461명이 국내에, 2001명이 국외에 입양됐다. 한국전쟁 이후 붙여진 ‘고아 수출국’의 오명은 5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 여전하다. 입양은 아직도 우리에겐 ‘드문’ 남의 이야기일 뿐이다.

입양 아동에 대해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는 시선이 많이 개선됐다는 요즘에도 왜 그럴까. 지난해 배태순 경남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국내 일반인들의 입양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구’ 조사 결과를 보면, ‘여건이 되면 입양할 의사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있다’고 답한 사람은 61.8%였다. 불임일 경우 입양을 고려하겠다는 의견은 무려 89.8%나 됐다.

편견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분명 인식은 바뀌고 있다. 그러나 실천은 ‘아직’이다. 현실적 부담과 불편이 가장 첫 번째 이유로 꼽힌다. ‘돈을 내고’ 아이를 데려와야 하는 제도적 문제점, 돈 없이는 ‘낳은’ 아이도 키우기 힘든 육아정책의 부재, 핏줄만 중시하는 주변의 편벽된 시각이 겹친 탓이다.

실상이 이러하니 가정의 막대한 ‘희생’을 동반하는 입양은 한국에서는 ‘숭고’하게만 비춰지는 게 현실이다. 단순히 자선이 아니라, 외국처럼 진정 축복을 받으며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만들 수 있는 날은 언제쯤 올까.

5월 11일은 ‘입양의 날’이다.


배현정 기자 hjbae@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