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BRICs)’. ‘친디아(Chindia)’. ‘달리는 코끼리’. 초일류 소프트웨어 강국. 연 6~7%의 성장세로 30년 내에 세계 3위 경제대국 예상. 중국을 바짝 뒤쫓는 신흥시장….

우리에게 크리켓 경기만큼이나 이해하기 힘들고 낯선 나라인 인도의 경제에 대한 최근 수식어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려한 수식어만 보고 무턱대고 투자를 했다간 십중팔구 낭패보기 십상인 곳이 또한 인도이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인도 투자 관련 주의점을 요약한다.

첫째, 투자 전에 인도의 지나친 관료주의(red tapism)를 이해해야 한다. 특히 1991년 개방 경제 이후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관료주의 병폐를 상당 수준 개혁해 가고 있지만 지방정부에는 과거 행태가 많이 남아 있다.

아직도 ‘급행료’ 등 사업 외 부대비용이 들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관세청의 업무가 복잡하고 까다로워 외국 기업들이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 반면 사법부는 상당히 독립적이고 선진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둘째, ‘단골 고객에게 바가지를 씌운다’는 우스갯 말로 이야기되는 인도 상인들만의 기질이다. 상대방에 대한 철저한 사전 준비 없이 거래를 했다가는 큰코 다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셋째, 국가의 사업관련 정책의 변동이 심하다.

계약은 구두로 해서는 안 되고 반드시 문서로 작성할 것을 권한다. 나중에 분쟁이 생겼을 때 소송에서 이기기 위해 꼭 필요한 절차라고 한다. 특히 인도 상인들은 전통적으로 협상에 아주 능해, 계약서 작성 때도 꼼꼼히 따져볼 것을 당부한다.

넷째, 11억 명에 가까운 인도 인구 중 아직 고급 상품을 제대로 소비할 만한 중산층은 5,000만 명이 안 된다.

인도가 최근 연 6~7%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아직 소비층이 두텁지 않은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인도 정부는 개방 정책과 함께 자국 중소기업 보호정책을 강력하게 펼치고 있어 관련 법규를 꼼꼼히 챙길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인도에서 사업하려면 엄청난 물류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인도의 도로 사정은 열악해 뉴델리, 뭄바이, 콜카타, 첸나이 등 주요 도시 간 물류 비용도 상식을 넘어선다는 것이 현지 진출 기업들의 고충이다. 현재 인도는 ‘수퍼 하이웨이’ 프로젝트를 세워 국가 기간도로망 건설을 하고 있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다.

여섯째, 도로와 함께 전력 인프라가 열악해 큰 규모의 생산시설을 운영하려면 반드시 자체 발전소를 세워야 한다. 전력난은 물론이고 전력의 질도 좋지 않아 정교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선 독자적인 발전시설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밖에도 인도는 사회주의 색채가 강한 정부가 오랫동안 집권했기 때문에 노사문제에 각별히 신경을 쓸 것을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