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대안공간 미래는 있나] 서울 중심서 지방자치로부산 스페이스 반디 10년간의 행보 돋보여

지역의 대안공간은 서울의 대안공간과는 다른 맥락에 놓일 수밖에 없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영역을 막론하고 모든 담론과 제도가 서울을 중심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현실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의 대안공간은 지역사회와 긴밀한 커뮤니티의 성격이 더 강하고, 이런 성격은 때로 인천 배다리를 재개발 정책으로부터 지켜내려는 ‘스페이스 빔’의 활동 같은 일종의 ‘시민사회운동’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최근 중요성이 커진 공공미술이라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는 것이다.

지역의 주요 대안공간으로는 안양의 ‘스톤앤워터’, 대전의 ‘반지하’, 부산의 ‘대안공간 반디’, ‘오픈스페이스 배’ 등이 있다. 그 중 서울의 ‘1세대’ 대안공간들과 같은 시기에 ‘대안공간 섬’으로 출발, 현재에 이른 ‘대안공간 반디’의 행보는 척박한 지역 미술계의 자구책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올해 초 대안공간 반디는 지난 10년간의 행보를 정리한 사료집 ‘대안공간 반디를 기록하다-섬에서 반디로 19992008’을 냈다. 이 책에서 미술평론가 김민석은 대안공간 반디의 전신인 대안공간 섬의 의의는 “무엇보다 ‘부산과 도시’에 관련된 주제를 예각화”한 것이며 이는 지역미술이 서울의 미술에 종속되도록 만든 “체제 변동”과 관련된다고 설명했다.

“수탈과 통치의 대상으로 여겨지던 지역을 ‘자치’의 영역으로 변경하면서 지역에는 ‘의무’와 ‘책임’만이 남게 되었고 그동안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던 지역은 ‘생존’의 짐을 떠안게 되었기 때문이다.”

대안공간 반디는 이런 맥락에서 건축가들의 도시 인식을 담은 ‘도시-관점과 소통’(2000), 근대 이후 스펙터클화하는 부산의 정체성을 묻는 ‘도시의 기억과 상상’ (2003~2004), 80년대 부산미술을 정리한 ‘기억의 더께를 넘어서’(2007) 전시와 세미나를 마련해 왔다.

김성연 디렉터는 “부산의 열악한 현실에서는 전시와 교육 같은 대안공간 반디의 역할이 다른 곳에서보다 더 중요했다. 모든 것이 풍족하고 만족스럽다면 대안을 제시할 이유가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신양희 큐레이터 인터뷰

대안공간 반디가 10년간 유지해온 정체성의 기치가 있나. 지금까지 달라진 점이 있다면.

다양한 매체로 실험적 작업을 하려는 작가들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런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부재했다. 지금은 교육을 통해 관객을 만들어내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10년간 대안공간 반디가 주도해온 담론의 이슈가 있나.

주류 지역미술과는 다른 성격의 미술을 소개한 것이 젊은 작가들,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부산 같은 '문화 불모지'에서는 이 정도의 역할도 중요하다.

사료집을 보니 2007년 진행한 '기억의 더께를 넘어서' 프로젝트가 눈에 띈다. 이 프로젝트를 기획한 정황은 어땠나.

대안공간 네트워크에서 주최한 국제작가포럼(AFI)의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당시 주제가 '기억의 지속'이었고, 대안공간 반디와 오픈 스페이스 배가 함께 1980년대 부산 형상미술에 관한 아카이브전을 기획하게 됐다. 지역미술사는 한국미술사 작업에서도 소외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고, 그것을 조명하는 것이 지역 내부의 몫이라고 생각했다.

'공간' 중심적인 1세대 대안공간을 넘어서는 대안적 미술 행동들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어떻게 생각하나.

작가를 비롯한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고 비평을 위한 매체를 발간하는 등의 일들을 곧 진행할 계획이다. 지역작가들의 자료집을 만들어 해외에 배포하는 일은 몇 년 전부터 해왔다.





박우진 기자 panorama@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