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2人, TV와 대중음악 성공의 조건 제시

MBC <위대한 탄생>
대중음악과 TV 하면 빼놓고 얘기할 수 없는 게 <슈퍼스타 K>다. <슈퍼스타 K>는 음반과 음원 시장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며 새로운 구조의 산업을 형성했다.

이것은 케이블 채널의 대성공이든,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발전이든 이미 그 평가와 업적을 넘어섰다. 대중음악과 TV가 어떻게 윈윈할 수 있는지를 모색했다는 점에서 그 영향력은 대단하다.

<슈퍼스타 K>의 김용범 PD가 "침체된 한국음반 시장에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자" 만들었다고는 하지만 그 이상의 효과와 영향력을 발휘한 것이다.

그 영향권 안에는 MBC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우리들의 일밤-나는 가수다>, KBS <해피선데이-남자의 자격>의 '청춘합창단' 등이 있다. 지상파 방송이 아무리 아니라고 발버둥을 쳐봤자 대중은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이미 <슈퍼스타 K>의 살아있는 이야기가 음악과 함께 감동을 선사했다는 것을. 그래서 지상파 방송은 그 뒤를 쫓아가기 위해, 대중의 눈높이에 부응하기 위해 음악으로써 다가가려고 하는 것이다.

MBC <우리들의 일밤> '나는 가수다'
대중음악평론가 김작가와 제작자 겸 작곡가 주영훈은 그 해답을 "예능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으로 입을 모았다. TV에서도 대중이 가장 마음 편하게 볼 수 있는 예능 프로그램 안에서 음악의 진정성을 모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이상 단순히 음악만을 들려주는 TV는 매력이 없다는 것. 이들이 생각하는 TV와 대중음악은 어떤 상관관계를 갖고 있을까.

김작가ㆍ대중음악평론가

대중음악이 TV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2000년대 이후부터 이런 관계가 유지됐다. TV가 그 자체를 중심으로 하는 포맷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대중음악을 끼워 넣었다. 그러면서 인터넷의 발달은 새로운 구조의 음원 시장을 양산해냈다.

대중음악이 더욱 TV에 의존적이 된 것은 아이돌 그룹들의 TV 출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아이돌 스타들은 음악 프로그램보다는 예능 프로그램에 더 많이 출연해 예능시장을 장악했다. 아이돌 그룹들은 그러면서 시장지배적 조건을 갖추며 음반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서바이벌 오디션 형식의 프로그램이나 '세시봉 열풍' 등도 같은 맥락이다. 대중음악이 예능과 관계를 맺었을 때 그것은 음반시장에 바로 영향을 미친다. 만약 기존의 버라이어티 예능에서 보통 가수들이 쇼만을 보여줬다면 아마 대중은 외면했을지도 모른다.

MBC <음악여행 라라라>, SBS <김정은의 초콜릿>, KBS <유희열의 스케치북>
<나는 가수다>나 <위대한 탄생> 등에 경쟁 프레임이나 예능의 스토리텔링이 없었다면 성공이 가능했을까? 기성 가수들의 경쟁 프레임은 시청자에게 생생한 볼거리를 제공했고, 스토리텔링화로 진정성 있는 음악을 끌어냈다. 한국음악시장에서는 '이슈 포커싱'이 중요하다.

그것이 앨범과 음원 수익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특히 신인가수들은 음악 자체만으로는 이슈화될 수 없다. 이 때문에라도 TV에서의 이슈 만들기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2000년 중반 이후 인터넷 언론의 성장도 한 몫 했다고 볼 수 있다. <나는 가수다>나 <위대한 탄생>, <슈퍼스타 K> 등이 선전하고, 그들의 음악이 시장에서 영향을 넓힐 수 있었던 건 인터넷 언론의 힘이다.

TV를 보고 모니터링한 기사들은 대중에게 부담 없이 쉽게 받아들여졌다. 대중에 미치는 그 힘은 무척 크다. TV에서 나오는 스토리텔링은 대중으로 하여금 음악을 더 쉽게 들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

<나는 가수다>는 실력파 가수들의 경쟁을 보이면서 이슈를 만들었다. 경쟁을 통해 이야기가 형성됐고 대중은 더 진정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 결국 예능의 스토리텔링 안에 대중음악이 들어와 있는 형국이다.

더 이상 대중은 2분 30초(노래 한 곡 시간)를 참지 못한다. 스토리텔링이라는 예능 코드가 있을 때 그 참을성을 더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MBC <음악여행 라라라>나 SBS <김정은의 초콜릿> 등 음악 자체만을 듣는 프로그램이 없어진 이유도 시청률이 저조했기 때문이다.

시청률이 저조하다는 건 사람들이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예능적 스토리텔링이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앞으로 종합편성채널이 생기면 이런 현상은 더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쉽게 제작할 수 있고, 거기에 방송사의 잇속도 차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인가수들이 음원시장에서 피해를 입는다는 것은 숙제다. 이를 위해 TV가 이들을 구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일도 모색해봐야 할 것이다.

주영훈ㆍ음반프로듀서 겸 작곡가

TV가 최근 대중음악을 이용해 손쉽게 배를 채웠다는 지적도 많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긍정적인 요인도 찾을 수 있다. 바로 음악(노래)으로 광고나 시청률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것이다.

음악을 들려주는 프로그램에 많은 광고가 붙고, 시청률이 승승장구한다면 앞으로도 프라임 시간대에 음악이 흘러나오는 프로그램들이 더 많이 생길 수도 있다.

그간 음악만을 내세웠던 <음악여행 라라라>나 <김정은의 초콜릿>은 밤 시간대 편성돼 성인들만이 볼 수 있었다. 그만큼 시청률도 낮았다. KBS <뮤직뱅크>, MBC <쇼! 음악중심>, SBS <인기가요> 등 가요 프로그램들도 광고가 별로 없는 시간대에 편성되거나 10대 위주의 시청자 층을 위한 방송을 한다. 어쩔 수 없이 제작돼 운영되는 프로그램들이다. 방송사 내에서도 뜨거운 감자이다.

그런데 <슈퍼스타 K>와 <위대한 탄생>, <나는 가수다>는 이런 논리를 뒤집었다. 스토리(사연)와 서바이벌이라는 볼거리가 더해진다면 대중음악이 승산 있는 게임이 될 수도 있다. 이제 가수들이 나와 평상적인 이야기를 늘어놓는 음악 프로그램은 성공할 수 없다는 걸 여실히 보여준 사례다.

물론 <나는 가수다>와 <위대한 탄생>은 지상파 방송이라는 점에서 해결해야 할 숙제들이 많다. 먼저 방송사와 제작사, 가수들과의 수익 문제들을 잘 풀어야 한다.

<위대한 탄생>이 아마추어인 약자들을 보호하지 못한 채 마구 음원을 공급하는 건 또 다른 논란을 제기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첫 단추를 끼워가는 과정이니 잘만 정착되면 대중음악의 소통의 활로를 열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요즘 방영되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가수들이 등장해 노래도 부르고 퍼포먼스도 펼치는 것을 못마땅하게 바라보는 시선도 많다. 특히 아이돌 스타들이 출연해 펼치는 퍼포먼스는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프로그램들은 오히려 대중음악계에 필요한 절차가 된 듯 싶다.

일반적인 가요 프로그램과 달리 전 시청자가 볼 수 있다는 점, 장르에 구분하지 않은 가수들이 출연한다는 점 등은 긍정적으로 보인다. 그러면서 대중이 다양한 대중음악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세시봉>도 TV가 대중에게 향수를 불러일으켜 완성된 결과물이다. 이런 순기능적 역할을 TV가 해준다면 앞으로 대중음악을 골든 시간대에 보고 들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 중심에는 향수를 불러일으키거나 감성을 자극하는 진정성 있는 스토리텔링이 더 절실하다.



강은영 기자 kiss@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