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소비자는 구입한 약 중에서 15~25%를자체적으로 폐기한다. 그리고 그 중 약 80%가 쓰레기통을 이용한다.
들어간 것은 반드시 나오는 법이다. 가정에서는 의약품이 소변에 섞여 배설될 뿐만 아니라 때로는 그냥 하수구를 통해 흘러가기도 한다. 하수구에 유입된 약물 성분은 우리가 먹는 음용수에까지 흘러들 수 있다.

의약품 물질이 환경 내에 유입되는 경로는 여러 가지다.

의약품 생산·유통 과정에서는 규제를 받기 때문에 의외로 의약품 배출 수준이 미미하다. 그러나 미국, 유럽에 비해 규제가 느슨한 아시아에선 제육공장 방류수에서 최고 ㎎/ℓ 수준의 물질이 검출되기도 한다. 우리 몸에서 배출되는 의약물질의 경우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에 모여 분해되거나 하수 슬러지에 흡착된다. 처리되지 않고 남은 물질은 지표수로 유입된다. 의약물질이 하수처리 과정에서 완벽히 제거되지 않았을 때는 식수원인 상수도에까지 도달할 수밖에 없다.

다행히 우리나라 약물 노출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한강을 비롯한 4대강 유역 하수·정수 처리장를 조사한 결과 항생제 등 19종의 의약물질이 검출됐지만 정시 과정을 통해 시메티딘을 제외하면 대부분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방심은 금물이다. 향후 정밀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또 정수를 마친 방류수에서도 약물 성분이 검출돼 현재 의약 물질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는 2008년부터 '행생제 내성 관리 종합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