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명관 명순장학회 대표, <무지개> 통해 성경적 답변

삼성의 창업주 고 이병철 회장은 1987년 타계하기 전 카톨릭 신부에게 인생과 성경에 대해 24가지의 질문을 던졌다. 이에 대한 답변이 <잊혀진 질문>이란 책으로 발간됐고, 세간의 주목과 함께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런데 성경과 함께 살아오며 그 가치를 실천해온 명순장학회 노명관 대표(장로) 에게는 책의 내용들이 가슴에 와닿지 않았다. 이병철 회장의 질문에 대한 답이 가톨릭적이거나 혹은 두루뭉술한 태도로 일관한 부분이 많고, 무엇보다 성경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노 대표는 87세의 노구를 이끌고 촌음을 아끼며 성경적인 답변을 찾아 <무지개-성경은 어떻게 말씀하셨을까?>라는 책으로 발간했다. 저자는 성경을 읽고 하나님의 창조원리를 깨달으면 이병철 회장이 제기한 많은 의문이 절로 풀릴 것이라고 말한다.

한편, 노 대표는 명순장학회를 창설해 어려운 학생과 유학생, 새터민 등에게 도움을 주는 장학 사업을 10년째 펼치고 있다. 1년에 150명 정도가 장학금 수혜를 받는다. 노 대표를 만나 저서와 장학사업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책 <무지개>는 신학자나 목회자의 현학적 구절이나 심오함은 덜하지만 순수한 종교인이 마음으로 쓴 ‘진정성’이 깊게 전해진다. 100페이지 가량의 짧은 책이지만 성경의 핵심을 전하면서 대화하듯 쉽게 풀어쓴 내용에선 인생의 경륜이 묻어난다. 우선 집필 동기가 궁금했다.

“이병철 회장은 존경하는 기업인이고, 또 죽음을 목전에 두고 진지한 질문을 하였기에 관심을 갖고 책 <잊혀진 질문>을 봤습니다. 그런데 질문은 하나같이 성경적인데 반해 신부의 대답은 성경적이지 않았어요. 신문 광고에는 ‘난문쾌답’이라고 했지만 책은 ‘동문서답’에도 못미쳤어요. ‘종말’에 대해 대답한 것만 성경적으로 하고. 화가 나고 답답해서 내가 아는 성경적 지식으로 질문에 답을 적다보니 책이 되었습니다.”

가령 이병철 회장의 첫 번째 질문 “한번 태어난 인생, 왜 이렇게 힘들고 아프고 고통스러워 하나?”에 대해 노 대표는 이 회장의 원래 질문이 “신이 인간을 사랑했다면, 왜 고통과 불행과 죽음을 주었는가?”라고 해석한다. 그리고 신부가 <잊혀진 질문>에서 고통을 ‘자연발생적’이라고 답한데 대해서도 성경은 ‘타락으로 인해 생긴 결과’라고 말하고 있다며 반박한다.

<무지개>는 이병철 회장의 24가지 질문 중 15가지만 다루고 있다. 카톨릭에 대한 질문을 빼고 전혀 성경적이지 않은 부분을 성경적으로 답하다 보니 그렇게 됐다는 게 노명관 대표의 설명이다. 예컨대 “성경은 우리가 세상의 소금이다. 또 세상의 빛이다고 말합니다. 성도의 삶은 소금같이 말없이 녹아지는 것인데 이것이 창조의 원리입니다. 크리스천들이 빛을 앞세우지만 먼저 소금이 녹아지면 그 다음 빛으로 드러내십니다” 하는 식이다.

노 대표는 모태신앙이자 5대째 믿음을 이어온 신앙의 명문가에서 자랐지만 정규 신학공부를 하진 않았다. 평신도로서 신학을 접했고 성경을 남들보다 많이 읽고 성경을 더 체계적이고 깊이 알고 싶어 신학을 했다.

그의 신앙적 생활과 뒤늦게 접한 신학이 엮어낸 <무지개>를 관통하는 핵심은 ‘하나님의 말씀’, 즉 성경의 메시지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돌아가라는 게 성경의 창조원리이며, 이는 이타적 사랑을 실천하고 기독교 복음을 전하는 것과 상통한다.

<무지개> 말미에 한국교회 현실을 일갈하는 노 신앙인의 혜안은 돋보인다. “우리나라는 두 집 건너 교회가 있고 신자도 많은데 사회범죄와 시련이 왜 그리 많은가?”에 대한 답변이 인상적이다.

“지금의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은혜를 저버리고 있습니다. 예배당, 교회당이 성전으로 바뀌었고, 진리의 말씀이 왜곡되었습니다. 경건의 모양은 있는데 경건의 능력은 부인하는 것이 교회입니다. 성령님을 머리로 진리의 터 위에 서야 하는데 목사가 머리가 되었습니다.”

노 대표는 한국사회가 산업화 되면서 교회가 대형화되고, 세습교회가 늘어나면서 교인이 주인인데 지금은 목사가 주인이 되고 교회를 출세의 장이나 돈을 모으는 도구로 활용하는 측면이 있다고 비판했다.

노 대표는 신앙인으로서는 드물게 명순장학회라는 장학사업을 펴고 있다. 노 대표는 1999년 9월의 심장수술이 계기가 됐다고 말한다.

“그때 수술을 하면 5, 7년 정도 살 수 있다고 해서 모은 돈으로 5년 동안 개척교회 하는 목사님들을 도왔는데 4년 지났는데도 죽지 않아 좀 더 의미있게 쓰려고 장학사업을 시작했어요. “

올해로 10년 가까이 되는 명순장학회는 1년에 150명에게 1억원 가량을 지급한다. 과거 학생 위주에서 요즘은 북한을 나온 새터민과 유학생, 화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장학회 명칭 ‘명순’은 이북 출신인 노 대표가 6ㆍ25때 월남하면서 북에 두고 온 누이 동생의 이름이기도 하다. 노 대표는 통일이 되면 형제가 함께 쓰려고 통일기금을 마련하기도 했다.

명순장학회 장학금 신청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노 대표는 두가지 약속을 받는다. 하나는 수혜자에게 예수님을 믿겠다는 서약서를 쓰게 한다. 믿지 않더라도 그렇게 하면 나중에 그에게는 그것이 유익이 될 것이라는, 하나님의 협력하여 선을 이루는 역사를 믿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꼭 갚으라”고 다짐을 받는다. 되돌려 주라는 것이 아니라 성공한 삶을 살 때 다른 사람에게 흘려보내라는 의미다. 장학사업은 종자돈을 불려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이라고 한다.

노 대표는 <무지개> 외에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면서 성경을 스스로 깨우치고 처음으로 쓴 <물>을 비롯해 <소금>, 수필집 <빛과 어둠 사이에서도> 등 다수의 저작물을 냈다.



박종진기자 jjpark@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