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수술로 가을 산을 더 예쁘게

[이유미의 우리풀 우리나무] 까마귀밥여름나무
붉은 수술로 가을 산을 더 예쁘게

까마귀밥나무 또는 까마귀밥여름나무라고 한다. 나무나 풀의 이름들은 본래 제각각이지만, 이 경우는 정말 재미나다. 도대체 어떤 나무이기에 까마귀밥 여름나무일까? 큼직하고 검은 느낌이 나지만 막상 이 나무를 보고 나면, 특히 봄에 작고 귀여운 꽃송이들과 가을에서 겨우내 달려 있는 동그랗고 빨간 열매들을 보고 있으면, 까마귀보다는 작은 종달새가 더 먼저 떠올리는 바로 그런 나무이다.

일설에는 영리한 까마귀가 영양가 많은 이 나무의 진짜 가치를 잘 알고 찾아 와 먹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이름에 구태여 ‘ 밥’자라는 글자를 넣은 것만 봐도 알 수 있나. 그런데 이름에 구태여 ‘ 여름’을 넣는 이유는 알 수 없다. 이 나무는 꽃은 봄, 열매는 가을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때이므로.

까마귀밥여름나무는 낙엽이 지는 작은 키의 나무다. 보통 허리쯤 차게 자란다. 우리나라 어느 산에 가든지 그리 높지 않은 곳에서 아주 어렵지는 않게 만 날 수 있는 나무이다. 아직 이 나무를 모른다면 눈 여겨 보지 않았을 뿐이 아니면 나무에 관심을 두지 않은, 온전히 ‘내 탓‘이다. 이웃하는 일본, 중국 등 인근에도 널리 분포하는 나무이다.

잎은 서로 어긋나는데 가장자리가 3~5갈래로 비교적 많이 갈라진다. 봄에 피는 꽃은 서로 다른 나무에 달린다. 아주 작지만 노란 꽃들이 가지 가득 자잘하게 달려 있고, 작은 술잔처럼 오목한 꽃송이들이 진한 연두빛으로 새로 나온 잎새들과 함께 어우러지면 봄 분위기와 아주 잘 맞는다.

까마귀밥여름나무는 열매가 더욱 예쁘고 의미가 있다. 가을에 빨갛게 익는 이 열매는 마치 붉은 수술이 가지 가득 달려있는 것과 같은데, 잎이 다 지도록 달려 있어 얼마나 좋은지 모른다. 게다가 가지가 아주 많이 나서 서로 엉켜 자라므로, 이 나무로 생울타리라도 만들어 놓으면 계절별로 여러 모습을 볼 수 있고 새까지 불러모아 참 좋다.

까마귀밥여름나무와 형제가 되는 나무도 여럿 있다. 작은 꽃들이 송이 송이 모여 달리는 까치밥나무, 가지에 얇은 가시가 가득한 북방계 희귀식물 바늘까치밥나무, 열매가 먹음직스러운 명자순 등등. 그런데 이러한 모든 나무들을 통털어 부르는 학명은 라이비스(Ribes)이다. 우리가 요즈음 생크림 케익에 올려 놓거나 파이를 만들거나 잼을 만드는 열매인 베리처럼 껍질이 있고 그 안에는 풍부한 즙과 과육이 있다. 다시 그 속에 씨앗이 들어 있는 형태의 열매가 있다.

이 베리는 진한 푸른빛이 도는 블루베리 종류도 향이 좋은 구즈베리도 있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까마귀밥여름나무는 이중에서 구즈베리에 속하며 식용화 되어 밭에서 키우기도 하는 나무의 한 종류인 것이다. 커런트(currant)라고도 한다. 이쯤되면 구즈베리, 블루베리는 알면서 까마귀밥여름나무라는 이름이 너무 낯설었던 우리 스스로가 조금은 부끄러울만 하다.

실제로 이 구즈베리로 여러 가공 음식을 만드는 것은 물론, 차나 술 같은 것을 만드는 향료로서도 많이 이용된다. 우리의 까마귀밥여름나무는 생긴 모양은 앵두처럼 빨개서 아주 달 것 같지만, 맛을 보면 조금 쓴맛이 난다. 하지만 까치밥나무를 비롯하여 먹을 만한 형제나무들도 우리나라에는 여럿 있으니, 이렇게 내버려두지 많고 여러모로 개발 방안을 연구해보면 아주 멋진 쓰임새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다.

약으로도 쓰이는데 한방에서는 수산사(藪山査)라는 생약 이름으로 나무껍질이나 열매를 이용한다. 특별히 위장병, 허리아픈 데, 장출혈 등의 증상에 처방한다고 한다. 더욱이 최근에는 이 식물에서 항암제로의 가능성도 타진되고 있으니 이래 저래 좀더 관심을 두어야 할 것 같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이 나무를 알면서 또 기억해야 할 것이 있는데, 이번에는 아주 부정적인 측면이다. 송이풀 종류와 함께 잣나무에게 아주 치명적인 잣나무털녹병의 중간 숙주인 것이다.

즉, 가평처럼 잣나무를 많이 심어 놓은 잣 생산지에서는 이 나무를 절대 심으면 안 된다는 말이다. 같은 이치로, 이 나무가 많은 곳에서는 잣나무 심기를 포기해야 한다. 사실 나무의 가장 중요한 쓰임새가 목재이고 산에서 나는 임산물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잣이던 시절에는 당연히 이 까마귀밥여름나무를 포기해야 했지만, 요즈음은 시대가 변하여 어떤 게 부가가치가 더 높은 지는 한번 생각해 볼 만한 시대가 온 듯 싶다.

너른 마당이 있는 집이라면 이 나무로 생울타리를 만들어 봄직하다. 마당 한 켠에 동그란 포기를 만들어 키워도 좋다. 꽃이 달리거나 열매가 달리는 가지를 잘라 꽃병에 꽂아 놓고 보는 것도 좋다. 추위에도 강하고 볕이 들거나 그늘이 지거나, 건조하거나 습하거나 너무 극단적인 조건만 아니라면 어떠한 곳에서든 잘 자란다.

더욱이 짠바람이 부는 바닷가나 오염이 심한 도심과 같은 특별한 곳에서도 문제없이 잘 자란다. 씨앗을 딸 수 있으면 가을에 축축한 모래에 잘 섞어 묻어 두었다가 봄에 뿌려도 잘 나는데, 이것이 번거롭다면 포기나누기나 꺾꽂이 등 모든 것이 다 가능하다.

입력시간 : 2004-10-20 19:16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