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닉 탐방] 서울대병원 <심장판막 질환>


우리는 몹시 흥분된 상태가 됐을 때 ‘피가 거꾸로 도는 것 같다’고 말한다. 하지만 실제 피가 거꾸로 도는 법은 없다. 일방통행이어서 한번 지나친 곳은 되돌아 갈 수 없다. 만일 피가 거꾸로 돈다면 뭔가 단단히 잘못된 것이다. 피가 역류하지 않는 이유는 우리 몸에 차단장치가 있기 때문이다. 바로 판막이다. 심장에도 있고 정맥혈관에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심장판막은 우물 펌프에 비유하자면 끌어올린 물이 다시 밑으로 새나가지 못 하도록 달아놓은 고무 밸브와 생김새와 기능이 비슷하다. 판막이 열렸다 닫혔다 하면서 피가 뒤로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심장판막에 병이 나면 여닫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판막이 좁아져 잘 열리지 않거나 아니면 잘 닫히지 않아 피가 뒤로 샌다. 앞에 것을 협착증, 뒤의 것을 폐쇄부전증이라고 한다.

심장판막은 모두 4개인데 위치에 따라 대동맥판막 승모판막 삼첨판막 폐동맥판막이라고 부른다. 심장판막의 기능이 단순하다고 심장판막 질환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심장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발병 원인과 증상, 치료법 등이 한결같이 다양하고 복잡하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류마티스성과 승모판막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요즘은 퇴행성 대동맥 판막질환이 가장 흔합니다. 그 동안 생활수준과 위생상태가 크게 좋아진 데다가 평균수명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심장판막 수술분야 국내 권위자인 서울대 흉부외과 안혁(52)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심장판막 질환의 발병 양상이 점점 서구사회를 닮아가고 있다. 위생상태가 나쁜 후진국에서 흔한 류마티스성 판막질환은 크게 줄어든 반면 대동맥판막 질환, 그 중에서도 20년 전까지만 해도 찾아 보기 힘들던 퇴행성 대동맥판막 질환이 점점 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예전보다 더 오래 살다 보니까 판막이 낡아 두텁고 딱딱하게 변하는 소위 석회화 현상이 진행되면서 판막이 좁아져 문제를 일으키는 일이 잦아진 것이다.

선천성 기형의 일종인 이천(이엽성)판막도 마찬가지 경우라고 안 교수는 말한다. 10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이천판막은 판엽이 3개 이어야 정상인 판막이 태어날 때부터 2개로만 되어 있는 것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나 사람들이 60대를 넘겨 장수하면서부터 자꾸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는 설명이다.

호흡곤란 증세, 심내막염 경계해야

심장판막 질환의 증상은 판막 종류가 많은 만큼이나 다양하다. 어느 판막이 망가졌느냐, 판막이 좁아진 것이냐, 새는 것이냐에 따라 각기 다르다.

“하지만 어느 경우든 운동을 하거나 계단 등을 오르내릴 때 호흡곤란 증세를 느끼는 것이 보통”이라는 안 교수는 “그러나 대동맥판막의 경우에는 발병 초기라면 호흡곤란 증세보다는 전신 무력감을, 말기 상태라면 어지럼증이나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일이 많다”고 말한다.

이런 것 말고도, 대동맥이나 승모판막 질환이 오래 끌면 심장이 빨리 뛴다거나 소화가 잘 안 된다거나 다리가 붓거나 배에 물이 차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상태라면 삼첨판막이 추가로 망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폐동맥판막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하지만 선천성 심장 기형을 갖고 있는 소아이거나, 균의 침범으로 판막에 염증이 생겨난 심내막염에 걸린 경우 폐동맥 혈압이 올라가면서 폐동맥 판막이 좁아지는 폐쇄부전증이 생겨나는 수가 있다. 심장판막 질환의 대부분은 대동맥ㆍ승모ㆍ삼첨 판막에서 주로 발생하며 폐동맥판막이 문제가 생기는 비율이 5%도 채 안 된다.

심장판막 질환은 하루아침에 발병하는 것이 아니다. 보통 10~15년 동안 병세가 서서히 진행한?이렇다 보니 판막이 좀 부실해지긴 했지만 뚜피?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당장 손을 쓸 필요가 없는 사람들도 많다. 이런 경우 가장 경계해야 하는 것이 바로 심내막염이다.

몸 속에 침범한 균이 심장판막에 달라붙어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심장판막 질환의 대표적인 원인질환 중 하나인데, 심내막염에 잘 걸리는 사람들이 바로 심장판막이 다른 원인에 의해 이미 손상돼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환자에게서 혈액을 뽑아내 세균을 배양한 뒤 이 균에 잘 듣는 항생제를 쓰면 된다.

심부전과 부정맥증상이 나타날경우에도 약물로 치료하면 된다. 부정맥의 경우에는 그러나 좌심방 등에 피가 엉기면서 생긴 피떡이 혈류를 타고 뇌 속으로 가 뇌경색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혈전 생성을 막는 항응고제를 복용해야 한다고 안 교수는 말한다.

병세가 심해져 약물만으로 안 된다면 수술 밖에는 없다. 수술방법에는 고장난 판막을 고쳐 쓰는 성형술과 새로운 것으로 갈아끼우는 치환술 두 가지가 있다. 수술을 한다고 하더라도 언제 할 것인지도 고민거리다.

수술시기 결정과 관련, “예전에는 주로 판막 치환술을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는 안 교수는 “하지만 최근에는 수술 시기를 예전보다 조금 빨리 잡는 것이 대체적인 흐름”이라고 말한다. “판막 치환술이 대부분이었던 예전에는 가만히만 있어도 숨이 가쁘거나 일상생활을 잘 하지 못 할 정도로 숨이 찬 경우 수술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20~30여년 간의 분석 결과 수술 전 병세가 심각할수록 결과도 따라서 안 좋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따라서 요즘에는 너무 늦게까지 버티는 것이 환자에게 득될 게 없다는 생각들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성형기술 발달로 수술시기 빨라져

수술 시기를 앞당기는 또 다른 이유로 안 교수는 뇌경색 등 합병증 발병의 가능성과 성형기술의 발달을 꼽는다. 예를 들어 부정맥이 나타났을 때 항응고제를 쓰면서 지켜보다가 환자가 만일 뇌경색으로 쓰러지기라도 한다면 판막이 문제가 아니라는 말이다.

또 요즘 성형술이 발달하면서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의 경우 95% 이상을 고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성형술 테크닉은 수 없이 많다. 고장의 원인이 하도 다양하니 대처법이 다양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승모판막에는 판엽을 받쳐주기 위해 우산 살처럼 생긴 건삭과 우산 대와 비슷한 유두근이 있는데, 이런 것들이 끊어지거나 늘어나거나 구멍이 뚫렸거나 떨어져나간 상태가 흔하다.

건삭이나 판윤 등이 늘어난 경우라면 길이를 줄이거나 해당 조직을 사각형 모양으로 절제해내는 축소술을, 구멍 난 것은 꿰매는 수술을, 끊어졌다면 인공건삭을 만들어 붙여주는 인공건삭 성형술 등을 한다.

성형술은 기계판막으로 갈아끼우는 치환술의 경우처럼 평생 항응고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은 있지만 모든 경우에 다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판막이 너무 두꺼워지거나 석회화가 심한 경우, 또는 대동맥판막이 고장난 경우에는 수술이 어렵다. 성형술은 승모ㆍ삼첨판막 폐쇄부전증의 경우 많이 하는데 수술로 고칠 수 있는 비율이 90~95% 정도 된다.

판막치환술은 말 그대로 망가진 판막을 다 뜯어내고 인공판막으로 갈아 끼우는 것이다. 인공판막의 재질에 따라 동물의 조직으로 만든 조직판막과 특수 금속으로 제작된 금속판막 두 가지로 나뉜다. 조직판막 중에서는 돼지판막이 가장 많이 쓰인다.

조직판막은 그러나 이식 후 수명이 10~15년 정도로 비교적 짧기 때문에 재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흠이 있다. 반면 금속판막은 반영구적이다. 그러나 금속판막은 이식 후 그 주변에 핏덩어리가 생겨나 뇌경색 등의 우려가 있어 평생 항응고제를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인공판막 치환술을 받아야 하는 환자들은 결국 재수술과 항응고제 복용이란 두 가지 부담감 사이에서 큰 고민을 하게 마련이다. 자신의 연령이나 생활패턴, 그리고 증상에 따라 의사와 상담한 뒤 신중하게 결정할 수밖에 없다.

'심장판막 기증' 사회적 인식 확산돼야

심장판막 환자들만큼 조마조마한 사람들이 또 있을까.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헐떡거리고 가슴이 쿡쿡 쑤시고, 만일 심내막염이나 혈전이라도 덮쳐오지 않을지 불안한 나날이다.

그 정도라면 차라리 아무것도 아니다. “수술을 해야 한다”는 흉부외과 의사의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일생일대 결단을 내려야 하는 고통스런 순간과 마주한다. ‘재수술 받는 쪽을 선택할까, 아니면 평생 항응고제를 먹을까’ 어느 쪽이든 고통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조직판막을 이식한 사람들은 늘그막에 재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이 가슴을 짓누르고, 금속판막을 선택한 사람들은 항응고제를 먹어가면서 온 가족이 평생 가슴을 졸이면서 살아야 한다. 음식 먹을 때도 비타민K가 얼마나 들어 있는지 살펴야 하고, 이빨 한 개를 뽑아도 의사와 상담을 해야 한다. 한약도 맘대로 먹을 수 없다.

“심장판막을 기증한다는 말 혹시 들어보셨나요?” 서울대 의대 흉부외과 안혁 교수는 심장판막 기증이 절실히 필요한데 주는 사람이 통 없을 뿐더러 대다수 사람들이 이것의 소중함을 잘 모르고 있다고 안타까워 한다. “심장판막 기증 캠페인이라도 벌여야 할까봐요.”

심장판막 치환술 중에 ‘호모그라프트’란 것이 있다. 동종판막, 그러니까 동물조직이나 금속판막이 아닌 사람의 판막을 이식하는 것이다. 사람의 심장판막은 환자들에게는 복음과도 같다. 동물이나 금蕁퓔? 또는 심장이나 콩팥 이식 때와 달리 인체 거부반응이 없어 면역 억제제나 평생 항응고제를 복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주는 사람이 통 없다. 우리나라는 장기기증이 활성화 돼 있지 않은 탓이다.

심장판막 이식은 간이나 콩팥처럼 인체거부 반응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숱한 돈을 들여가며 면역 억제제를 복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 심장 기증의 경우처럼 심장이 뛰고 있는 뇌사자가 아니더라도 장기를 기증할 수 있다. 냉동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뇌사자가 아니더라도 간이나 콩팥을 기증할 때 심장을 함께 기증하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준다는 사람도 없지만 준다고 해도 이식을 위한 제반 여건이 마련돼 있지 않습니다. 의료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영국이나 호주 등에는 판막은행이 따로 마련돼 있을 뿐더러 시체공시소가 곳곳에 있어 장기기증자가 사망하면 장기채취를 위한 준비를 싹 갖춰놓고 병원으로 곧바로 연락을 합니다. 그러니 동종판막 이식률이 높을 수밖에요.”


송강섭 의학전문기자


입력시간 : 2005-08-29 15:51


송강섭 의학전문기자 special@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