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우리소리 세상 밖으로 끌어내다

공후는 1,00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다시 태어난 악기다. 고려 때 명맥이 끊어졌지만 최근 고악기연구회와 악기장 고수완씨가 복원했다.

하프시코드는 16세기 바로크 귀족문화의 상징이었으나 프랑스 혁명 때 파괴되었다. 해머로 현을 치는 피아노와는 달리 가죽의 발목으로 재크를 밀어올려 현을 퉁겨낸다. 그 울림이 몽환적이다.

벽화 속에나 등장할 법한 악기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서양의 옛 악기와 동양의 옛 소리가 함께 어우러져 꽤 독특한 화음을 만들어 낼 듯 하다.

‘정악(正樂) 여창(女唱)’ 가곡 전수자인 젊은 가객 정마리(30ㆍ중요무형문화재 제 30호)가 11월18, 19일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에서 여는 음악회 “우리가 만난 적이 있던가요?”는 잊혀져 가는 소리를 세상으로 끌어내는 자리다.

이미 사람들의 기억에서 희미해진 여창 가곡을 역시 화석화 되어 버린 옛 악기들의 선율에 실어 살아 숨쉬게 한다.

여창가곡은 고려 말부터 이어진 느리고 아름다운 노래. 청정하고도 유순한 가락이 있어 마치 한국의 가을빛처럼 가슴이 시리도록 투명한 감흥을 전한다.

정마리는 무엇보다 듣기에 편한 음악을 준비했다. 공후의 맑고 깨끗한 소리에 얹어 ‘공후인’을 노래하고, 하프시코드의 반주에 맞춰 13세기 프랑스 민요를 여창가곡의 창법으로 들려준다.

계면조의 여창가곡 ‘평롱’을 재해석한 곡 ‘저녁, 사랑을 보다’는 신화 속 천사의 악기로 알려진 켈틱하프의 선율로 노래한다.

관현악 반주 및 5장 형식을 벗어나 자칫 전통가곡의 특징을 해칠 수도 있으나, 일반인들이 친근하게 전통 가곡의 울림 속으로 빠져들 수 있게 한다. (02) 762-9190.

[문화단신]

7인 작가 초대전 <상상력 발전소>전

강승원, 김수희, 송수정, 왕경애, 이지은, 이진, 장숭인 등 서울 경기 부산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 7인을 초대한 ‘상상력발전소 展’이 11월28일까지 울산 현대예술관 갤러리에서 열린다. 제목처럼 다소 엉뚱한 돈키호테적 발상이 관람의 코드. 과자봉지, 신문지, 옷핀, 펠트 등 캔버스의 영역을 떨쳐낸 기괴한 미술재료 등이 색다른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한다. (052) 235-2143.

홍경민 콘서트 <이모션 인 메모리>

가수 홍경민이 11월12, 13일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 추억을 컨셉으로 한 ‘이모션 인 메모리(Emotion in Memory)’ 콘서트를 갖는다. 심야 라디오에 사연과 신청곡을 보내던 20년 전으로 시계 바늘을 돌린 듯, 현장에서 신청곡의 사연을 무작위로 골라 ‘홍경민 DJ가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꾸민다. (02) 522-9933.


배현정 기자 hjbae@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