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골수 뮤지션의 저주받은 음악 실험암울했던 시대상 반영한 우수 어린 멜로디 가슴에 파고들어

이 땅에서 진지한 음악의 탐구는 천형일까? 당대에 유행하는 주류 음악이 아닌, 삐딱하거나 음악적 실험에 함몰된 뮤지션은 대중적 무관심과 생활고라는 2중고를 각오해야 한다.

작가주의 뮤지션을 수용하지 못하는 척박한 국내 음악시장도 문제지만 인기 여부만이 평가의 잣대로 가차 없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우리의 후진적 음악 환경은 장르의 편중과 더불어 창작력을 지닌 뮤지션들을 고독한 은둔의 습지로 내몰아왔다.

‘지금은 우리가 헤어져야 할 시간 다음에 또 만나요 헤어지는 마음이야 아쉬웁지만 이제 그만 헤어져요.’ 오세은을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에겐 혼성그룹 딕 패밀리의 ‘또 만나요’를 들려주면 이해가 빨라진다.

76년 음반 발매를 기점으로 백화점을 비롯한 모든 유흥업소와 상점에서 약속이나 한 듯 공식 폐장 곡으로 사용되고 있는 노래다. 어린이 피아노 학습서 바이엘에도 수록된 이 노래의 작곡자가 바로 오세은이다.

일반 대중에겐 낯선 뮤지션이지만 그의 음반은 모두 대중가요의 희귀 명품으로 통한다. 특히 1집부터 3집까지는 그 희귀성 때문에 공히 100만 원을 호가하는 초고가 음반들로 대접받고 있다.

그 중에서 70년대 대표적인 금지곡 ‘고아’가 수록된 3집은 저주받은 걸작으로 불리며 누구나 소장하고 싶은 명반으로 손꼽힌다.

이 음반의 특이점은 홍보용으로 제작된 소량의 비매품보다 공식 발매된 음반이 더 희귀하다는 사실이다. 오세은은 “당시 지구레코드 임정수 사장이 음반이 팔려나가고 있으니 보너스를 줘야겠다고 말했다.

1,500장 정도는 팔린 것으로 들었다”며 왜 자신의 3집이 이토록 희귀한지에 대해 의아한 표정을 짓는다. 하지만 실제로 그의 3집의 실물을 구경한 사람은 거의 없다. 아마도 ‘고아’의 가사가 ‘사회 불신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금지딱지가 붙여져 전량 회수되었기 때문일 것 같다.

오세은의 음악적 뿌리는 블루스 록이다. 포크 질감이 강했던 1, 2집에 비해 3집은 포크 록, 블루스 등 여러 장르가 혼재되어 있다. 당시 창작 블루스 곡의 등장은 유래를 찾기 힘든 선구적 시도였다.

서울 장충동 스튜디오에서 동시녹음으로 3개월 동안 공을 들인 이 음반의 수록곡은 작곡가 변혁이 스트링 편곡한 ‘고아’를 비롯해 총 10곡.

녹음실에 걸려있던 프랑스 여가수의 대형 사진을 배경으로 촬영한 우울한 분위기의 재킷사진은 ‘블루스’음악을 염두에 둔 신선한 발상이었다. 라디오PD 김진성이 끌로드 제롬의 샹송 원판을 들려주며 취입을 권유한 ‘고아’는 이 음반의 화두다.

번안곡이기에 음악적으로 추켜세울 구석이 부족하지만 우수어린 멜로디에 담긴 암울했던 시대상을 고스란히 반영한 염세적인 메시지는 강력했다. 원곡의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도입한 서울음대 출신 여성 성악가의 코러스는 인상적이다.

3집의 또 다른 명곡은 2면 2번째 트랙에 수록된 8분30초의 대곡 ‘당신’이다. 70년대 초에 작곡한 한국 최초의 창작 블루스 곡으로 평가 받는 이 노래는 비범한 오세은의 기타연주와 어우러져 음반의 가치를 배가시키는 주범으로 손색이 없다.

66년 성균관대 신입생 때부터 미8군 록 그룹의 리더로 활동을 시작한 미남가수인 그는 70년대 중반까지 여학생잡지의 사진모델로 활약하며 주목 받았던 인기가수였다. 또한 정미조, 딕 패밀리, 바블껌, 원플러스원, 한영애, 남궁옥분, 김인순, 윤연선 등 인기가수들에게 히트 넘버를 선사한 유명 작곡가이기도 했다.

편곡자로도 명성이 높았지만 독보적인 블루그라스 기타 주법 완성에 이어 실험적 음악영역인 기타산조에 함몰된 그의 이름 석 자는 철저하게 대중의 뇌리에서 지워졌다.

무거운 짐을 들다 혹여 손을 다쳐 연주를 못하게 될까 두려워 한 번도 아내의 장바구니를 들어준 기억이 없는 그는 음악을 인생의 최우선 순위에 둔 외골수 뮤지션이다. 최근 창작 블루스 앨범을 발표하며 돌아온 그의 이름 석 자는 대중음악 강호의 신비한 고수로 각인되어있다.

<저작권자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규성 대중문화평론가 oopld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