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황제국=大제국'… 한·중·일 3국은 모두 황제국

2012년 중지된 이후 근 3년 만인 3월 21일, 제7차 한·중·일 외교장관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한국 윤병세(尹炳世) 외교부장관, 중국 왕이(王毅) 외교부장, 일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은 회의 직후 공동기자회견에서 3국 관계의 정상화는 "정시역사(正視歷史), 개벽미래(開闢未來)"로 요약된다고 발표했다. 바꿔 말해, 역사왜곡이 최대 걸림돌임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리 되면 역사를 왜곡한 쪽이 괴롭게 된다. 일본 쪽은 생략하고 중국 측의 역사관련 현재 동향을 언급하자면, 2000년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 '간본(簡本)' 발표 이후 그에 대한 수정공정인 이른바 '번본(繁本)' 작업과, 2004년 정식 시작된 중화문명탐원공정(中華文明探源工程)을 2015년에 최종 완료를 목표로 바삐 움직이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동북아재단이 2019년 발간을 목표로 준비 중인 동북아 역사지도에서 표시한 한사군(漢四郡) 위치 등에 관한 논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는 현재 위·촉·오를 연상시키는 "신삼국(新三國)시대의 도래"라 표현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최소한 언어학적으로 볼 때, 3국은 모두 황제국이다. 무슨 소린가하면, 앞서 <주간한국> 2568호 '中國(중국)' 편에서 설명한 것처럼, '중국'이란 말은 '황제가 있는 중앙의 중심국'의 준말로 곧 '중국=황제국=大제국'이기 때문이다.

황제국의 동의어이자 별칭인 中國을 간칭으로 쓰는 중화인민공화국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일본의 경우 '황제(=천자=천황)'와 동의어인 '천황(天皇)' 제도를 지금껏 유지하고 있으니, 비록 옛날처럼 '대일본제국'이란 말을 드러내놓고 쓰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속내는 여전히 자기들은 황제국이라는 의미다. 그리고 대송(大宋), 대명(大明), 대청(大淸)의 예처럼 황제국을 지칭하는 고유형용사 '대(大)'를 국호에 쓰고 있는 우리 대한민국(大韓民國) 또한 예외가 아니다. '짐(朕)'이란 말이 천자의 1인칭대명사이듯, 大자 또한 천자국을 지칭하는 전문형용사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니 수천 년 동안 이어져 내려온 한자문화권에서의 용례를 정확히 알고 있는 중국인들은 大자를 사용하는 '大한민국'이란 국호를 못마땅해 한다. 그러나 용례 상으로 '중국'은 황제국의 별칭이므로 어떤 한 나라가 독점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다. 적어도 3국은 용어상으론 동격인 황제국들인 것이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