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가 안창홍 ‘화가의 심장’개인전, 6월 30일까지, 아라리오갤러리 서울I삼청

(왼쪽)이름도 없는…, 38×38㎝ oil on canvas, 2018~2019(each). (오른쪽)화가의 심장, 130×130㎝ Chinese ink, drawing ink and acrylic on hardboard, 2018
“넋이라도 돌아오라 넋이라도 돌아오라 구름에 싸여 오라 바람에 불려 오라/이신 신고 돌아오라 넋이여, 혼이여 넋이여, 혼이여”<순이삼촌, 현기영 지음, 창비>

전시장2층에 들어서면 무명씨(無名氏)의 얼굴들이 그려진 작은 캔버스들이 유장한 노래처럼 벽면에 자리한다. ‘이름도 없는…’, ‘마스크-눈 먼 자들’의 명제를 안고 제각기 아픈 시간의 강물을 건너온, 어디선가 본 듯한 인상의 아저씨, 아줌마가 거친 붓 터치의 외침처럼 말문이 막힌 듯 어딘가를 하염없이 응시한다. “단지 이름만 없는 이들이 아니라 존재자체가 묻혀버린 익명의 인물들”임을 강조한 화백의 말이 아니더라도 굴곡진 우리 근현대사 현장서 바람처럼 스러져간 진혼(鎭魂)으로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이 연작은 그의 ‘아리랑’ 담론 중 희망과 좌절 그리고 역사의 아픔 그 비탄의 소멸(Sad Evaporation)에 대한 우리 민족의 이야기다. 그런가 하면 눈동자가 없거나 붕대로 눈을 가린 채 무표정한 마스크얼굴은 적자생존의 자본사회서 성공과 실패, 부조리한 현실과 진실에 대한 물음을 상기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지하전시장. 가시에 둘러싸인 채 고통스럽게 피 흘리는 선홍색 심장은 시선을 확 빨아들일 듯 강렬하다. 그는 “동시대의 진통과 함께하는, 깨어있는 눈을 가진 화가의 삶 속에서 그린 작품만이 감동을 준다”라고 했다. 같은 맥락에서 전시명제 ‘화가’는 작가 자신임과 동시에 굴곡진 세상을 살아가는 소시민을 대변한다. 인형, 롤러, 붓, 물감튜브, 물감찌꺼기 등 쓰다 버린 물건들이 빽빽이 뒤엉킨 상태로 확대된 모양의 판 덩어리 중앙에 백골의 손이 걸려 있는 잿빛, 황금빛 속 ‘화가의 손’ 역시, 산다는 것의 굴레에 ‘화가의 심장’도 거기 함께 있음을 다시 각인한다.

안창홍 화백. 사진=권동철
지탱해주는 유일한 방식

화가 안창홍 40여 년 화업 근간엔 ‘삶의 미술’이 깔려있다. 산업화에서 와해된 가족사를 다룬 70년대 후반 ‘가족사진’, 눈을 감은 인물사진 위 그림을 덧그려 역사 속 개인의 비극을 다룬 ‘49인의 명상(2004)’, 소시민들의 누드 ‘베드 카우치(2009)’ 등의 연작들을 통해 줄곧 익명의 개인에게 투영된 역사 속 아픔과 소외문제를 독창적 작품세계로 조명해왔다.

이번 ‘화가의 심장(Heart of the Artist)’개인전은 지난 5월 2일 오픈하여 6월30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아라리오갤러리 서울I삼청’에서 회화와 입체의 총 26점으로 전시 중이다. 이어서 9월1일부터 경남도립미술관에서 초대개인전이 진행예정이다.

안창홍(1953~) 작가는 경남 밀양에서 출생했다. 1976년 ‘안창홍-정복수’2인전(展)을 현대화랑(부산)에서 첫 발표하였다. 한강미술관, 샘터화랑, 금호미술관, 제10회 이인성미술상수상자초대전(대구문화예술센터), 제25회 이중섭미술상수상기념(조선일보미술관), 조현화랑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또 현실과 발언 동인전(관훈미술관), 제1회 북경비엔날레, 한국현대미술100년(국립현대미술관), 코리안 랩소디-역사와 기억의 몽타주(삼성미술관 리움) 등 주요 단체전에 참여했다.

한편 전시장에서 인터뷰한 화백에게 ‘화가의 길’에 대한 고견을 청했다. “내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이고 또 나의 재능을 가장 잘 표출할 수 있기도 하며 단 한 번도 싫증내 보지 않은 일이다. 나의 그림자이자 나를 지탱해주는 유일한, 방식이다!”

권동철 미술전문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