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님' 빈자리 '백년손님'이 채우나이미경 부회장 11월부터 미국에 "유전병 '샤르코마리투스' 치료차"이재현 회장 건강 상당히 호전… 그러나 수감생활은 여전히 무리사위 경영 전면에 나설 가능성도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이 미국 장기 외유에 나서면서 경영일선에서 사실상 물러났다. CJ그룹이 밝힌 미국행 이유는 지병 치료와 요양이다. CJ그룹 안팎에선 이 부회장이 외부에서 영입한 측근들과 무관치 않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그 배경이 무엇이든 이 부회장의 미국행으로 경영 공백은 한층 커지게 됐다. '적통성'을 가진 경영인의 부재가 무엇보다 절실하다. 20대와 30대 초반인 자녀들은 시기상조다. 그 대안으로 이 회장이 '사위경영인 체제' 카드를 내놨다는 관측이 나온다.

유전질환 치료차 미국행?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누나인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은 지난해 11월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 라구나비치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12월 홍콩에서 열린 엠넷아시안뮤직어워드(MAMA)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귀국해 잠시 체류했지만 얼마 뒤 미국으로 돌아갔다.

이 부회장 미국행의 이유에 대해 CJ그룹은 지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이 부회장은 20대 시절부터 이 회장과 같은 '샤르코마리투스'를 앓고 있다.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이상으로 다리를 절게 되는 라는 유전성 신경질환이다.

회사 내부관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의 증세는 지난해 급속도로 악화됐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1월 박근혜 대통령과 다보스포럼에 동행한 당시만 해도 보행은 가능한 정도였다"며 "최근엔 휠체어에 의존하지 않으면 이동이 어려울 정도로 건강이 악화됐다"고 말했다.

그룹 홍보실 관계자는 "이 부회장은 과거 경영활동 중에도 꾸준히 미국에서 치료를 받아왔지만 지난해에는 그룹 사정상 치료를 받지 못했다"며 "샤르코마리투스는 방치할수록 악화되는 질환이어서 치료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컴백' 시점에 대해서 밝히지 않았다. 과거 치료와 요양에 수개월이 걸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외유가 장기화되리란 추측이 가능하다. 때문에 경영의 폭도 당분간 줄어들게 됐다. 업계에선 이 부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는 것 아니냐는 견해가 나왔다.

CJ그룹은 주요 업무 비중은 축소되는 건 사실이지만 경영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그룹 부회장과 비상경영위원 직위를 유지할 것"이라며 "다만 전문경영인 체제는 강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측근들과 무관치 않다" 지적도

이처럼 CJ그룹이 밝힌 표면적인 이유는 지병 치료와 요양이다. 그러나 CJ그룹 안팎에선 이 부회장 측근들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있다. 이 부회장은 앞서 그룹 경영 전면에 나선 이후 외부에서 인력을 영입해 곳곳에 포진시킨 바 있다.

회사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이들 인사로 인한 문제가 적지 않았다. 특히 노희영 전 CJ그룹 브랜드전략고문의 경우 소득세 포탈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는 '대형사고'를 치기도 했다. 그럼에도 노 전 고문은 CJ제일제당 부사장에 발탁됐다.

뿐만 아니라 이들 인사는 기존의 임원들과 마찰을 빚는 등 내분을 조장했다는 평가도 받았다. 이 때문에 노 전 고문과 박성훈 미래전략실장, 도준웅 고문 등 이 부회장 측근으로 분류되는 외부 영입 인사들은 지난해 말 줄줄이 회사를 떠났다.

이 무렵 이 부회장이 미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회사 안팎에선 이 부회장의 퇴진설이 신빙성 있게 회자됐다. 이런 설에 대해 CJ그룹은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이 부회장의 외유가 알려지면서 소문의 일부는 사실로 확인됐다.

사위 경영 막 올라가나

이 회장은 현재 재기에 강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이 회장은 신년에 병문안 온 손경식 회장을 통해 임직원에게 "내가 반드시 건강을 회복할 테니 여러분은 내 걱정 말고 우리의 공동목표인 '그레이트 CJ(Great CJ)'에 정진해 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러나 이 회장의 경영복귀 시점은 예측이 어렵다. 정치권에서 재벌총수의 석방논의가 가석방에 초점이 맞춰진 때문이다. 대법원에서 재판을 받고 있는 이 회장은 가석방 대상이 될 수 없다. 결국 당분간은 경영공백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본 기사는 <주간한국>(www.hankooki.com) 제 2560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송응철기자 sec@hankoo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