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형씨 전무 승진, 2세 경영 수순?MB 아들 시형씨 입사 4년여만에 전무로 승진해 경영 일선 나서시형씨 행보 외부에 알려질 때마다 MB 실소유주 의혹 수면위로 부상

이명박 전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 다스 전무. 주간한국 자료사진
자동차 부품업체 다스의 실소유주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최근 임원인사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가 전무로 승진한 사실이 전해지면서다. 입사한 지 불과 4년여 만에 경영전면에 나서면서 이 전 대통령의 대행자로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2007년 대선 당시 불거진 다스의 실소유주 논란은 검찰 수사 결과 사실이 아닌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그럼에도 세간에선 의심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시형씨가 사내에서 두각을 드러낼 때마다 실소유주에 대한 의문은 매번 수면위로 부상해왔다.

현대차 등에 업고 '폭풍성장'

다스는 1987년 일본의 자동차 부품업체인 후지기공과 이 전 대통령의 맏형인 이상은 회장, 처남 고(故) 김재정 감사가 합작해 설립한 회사다. 이 전 대통령의 맏형인 이상은 회장과 이 전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되는 강경호씨가 공동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2009년까지만 해도 이 회장과 김 감사가 다스의 지분 95% 이상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 회장과 김 전 감사가 각각 46.85%와 48.99%의 지분을 보유했다. 이 전 대통령의 고향 친구인 김창대 청계재단 감사가 나머지 4.16%의 지분을 보유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 주간한국 자료사진
다스는 설립 이듬해 현대자동차에 자동차 시트를 납품하기 시작했다. 사실상 생산시설이 가동된 직후다. 사실상 특혜가 제공됐다는 평가다. 앞서 현대차 시트 사업부에서 설립한 별도의 법인인 효문산업에서 납품을 받고 있던 상황이라 더욱 그렇다.

특혜의 배경이 무엇이든 이후 다스는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현대·기아차그룹에 매년 매출의 40% 안팎을 의존해온 결과다. 회사 설립 2년 만에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고, 2년 후엔 2,000억원을 넘어섰다. 이후 매출은 지속적인 상승을 거듭했다.

특히 다스는 MB정부를 거치면서 외형이 급격히 불어났다. 정권 초기인 2008년 4,000억원으로 매출이 불어났고 2010년부터 매년 매출이 1,000억원씩 증가했다. 특히 MB정부 마지막해인 2012년에는 무려 1조3,700억원을 기록하면서 3배나 수직상승했다.

박근혜정부 들어서도 다스의 성장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주주들에게 액면가당 80%를 넘는 배당을 해주고도 2013년 2,203억원의 이익잉여금을 쌓아놓고 있는 알짜회사다. 증권가에선 비상장사인 다스가 상장을 한다면 단번에 '황제주'가 되리란 분석이 나온다.

실소유자가 MB라는 의혹

이처럼 잘나가는 다스지만 아킬레스가 있다. 이 전 대통령 실소유자 논란이 바로 그것이다. 논란이 시작된 건 2007년 대선 때 'BBK 주가 조작 사건'이 불거지면서다. 당시 다스는 2003년 BBK에 190억원을 투자했다가 사기를 당했다며 김경준 전 BBK 대표를 미국에서 고발했다.

이때 김 전 대표는 BBK와 다스의 실소유자로 이 전 대통령이라고 지목하며 자신도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다스가 BBK에 190억원을 투자했지만 이상은 다스 회장이나 김재정 다스 감사를 한번도 만난 적이 없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여기에 이 회장이 대외활동을 거의 하지 않고, 이 전 대통령의 측근인 강경호씨가 다스 공동대표를 맡은 점도 의혹을 키웠다. 서울메트로와 코레일 사장을 지낸 강씨는 2007년 대선 당시 이 전 대통령의 외곽 조직인 서울경제포럼 공동대표를 맡은 바 있다.

또 김 감사가 2010년 별세한 이후 당시 재산을 상속받은 부인 권영미씨가 다스 지분 5%를 이 전 대통령 부부가 설립한 청계재단에 출연하면서 이들이 이 전 대통령의 재산을 차명으로 관리해온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은 이런 주장에 대해 전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지켜왔다. 다스 설립 시기가 현대그룹의 계열사 사장을 맡고 있던 당시여서 다스 소유주가 자신일 수 없다며 이 회장과 김 감사가 실소유주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당시 의혹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BBK 주가 조작 사건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2007년 이 사건의 주범으로 김 전 대표를 기소하면서 다스가 이 전 대통령 소유라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힌 때문이다.

2008년 정호영 특별검사팀 재수사에서도 "다스는 이 전 대통령의 차명 회사가 아니다"라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특검이 다스에서 130억~150억원의 비자금이 조성된 사실을 확인하고도 이를 수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의혹은 말끔히 해결되지 않았다.

실소유주 논란 현재진행형

그러나 다스 실소유주 논란은 현재진행형이다. 특히 이 전 대통령의 아들인 시형씨의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이런 의혹이 고개를 들었다. 시형씨는 2008년 이 전 대통령의 사돈 기업인 한국타이어에 인턴사원으로 입사했다 이듬해 퇴사했다.

그리고 2010년 다스에 경력사원으로 채용돼 곧바로 서울사무소 해외영업팀 과장으로 발령받았다. 그리고 2012년 이사(경영기획실장)로 초고속 승진했다. 당시에도 "결국 시형씨가 이 대통령의 다스 대행자라는 사실이 드러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또 2013년 시형씨가 미국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에 건립 중인 공장 착공식에 참여하면서 실소유주 논란엔 다시 불이 붙었다. 시형씨가 공장 건설비용만 400억원대에 달하는 이 프로젝트에서 상당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다.

여기에 최근 시형씨가 전무로 승진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다스 실소유주 논란은 다시 수면위로 부상하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향후 시형씨가 다스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하느냐에 따라 실소유주가 판가름 날 것"이라고 말했다.

본 기사는 <주간한국>(www.hankooki.com) 제256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송응철기자 sec@hankoo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