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총부리 정준양 전 회장 너머 MB 정권 관계자 정조준?특수2부 포스코건설 압수수색기업 특혜성 매입 논란 도마에 MB정부 실세 개입 의혹 '타깃'의혹 밝혀질 경우 대형 참극… 이미 관련 첩보 입수해 내사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포스코센터빌딩 전경. 주간한국 자료사진
검찰이 최근 포스코건설 본사에 들이닥쳤다. 해외 비자금 조성 의혹과 관련해서다. 이번 수사는 포스코건설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을 전망이다. 포스코가 과거 기업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특혜성 매입도 수사 대상에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문제가 된 인수들엔 MB정부 실세 개입 의혹이 빠짐없이 따라붙었다. 사정기관 안팎에서 검찰의 칼끝이 향하고 있는 곳이 과 그 너머의 이라는 견해가 나오는 이유다.

포스코건설 비자금 수사 한창

포스코건설 해외 비자금 수사가 한창이다. 해외임원들이 공사비를 부풀려 1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와 관련해서다. 이들은 베트남에서 현지 하도급업체와 계약서를 작성할 때 대금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비자금을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공사 발주처에 리베이트 형식으로 지급했다. 이런 사실이 적발된 건 지난해 7월 내부감사를 통해서다. 포스코건설 감사실은 지난해 4월 황태현 포스코건설 사장 부임 직후 국내외 건설현장에 대한 감사를 진행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
이 과정에서 동남아 사업 담당 임원 두 명이 베트남 현장 직원들과 공모해 300억원 규모의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이 가운데 100억여원을 횡령한 정황도 포착됐다. 감사실은 이를 권오준 포스코 회장과 황태현 포스코건설 사장에 보고했다.

그러나 포스코건설은 인사위원회도 개최하지 않고 지난해 8월 두 임원을 보직해임하는 선에서 사건을 봉합했다. 개인적 이득을 취할 목적이 아니라는 판단에서다. 이후 이들은 지난 1월 정기인사에서 본사 비상근임원으로 발령이 났다.

회사 안팎에선 비위 관련자에게 합당한 처분을 내리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됐고, 사건은 결국 외부로 알려지게 됐다. 이후 청와대가 움직였다. 이완구 국무총리는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라"며 직접 관계 기관에 조사를 지시했다.

그 직후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포스코건설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한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지난 13일에는 포스코건설 본사를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검찰은 이날 확보한 압수물을 토대로 비자금의 정확한 규모와 구체적인 사용처를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수사는 포스코건설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을 전망이다. 검찰이 포스코가 계열사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특혜를 준 의혹도 살펴보고 있어서다. MB정부 시절 최고경영자(CEO)에 임명된 은 관련 업체들을 공격적으로 계열사에 편입시켰다.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
이 과정에서 일부 업체들은 시가보다 비싼 금액에 인수하면서 특혜를 줬다는 지적이 나왔다. 무엇보다 그 배경이 MB정부 실세들의 입김 때문이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따라서 검찰의 총부리는 정 전 회장과 그 너머의 에 정조준 돼 있다는 견해가 많다.

인수 과정 특혜 기업들 '타깃'

그렇다면 현재 검찰의 수사선상에 올라 있는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 포스코가 2010년 인수한 플랜트 기자재업체인 성진지오텍이 대표적이다. 이 회사는 통화옵션 상품 '키코'에 투자했다가 2008년 전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로 1,9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손실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성진지오텍은 사실상 부도 직전에 몰렸다. 그럼에도 포스코는 2010년 3월 전정도 성진지오텍 회장이 보유하던 이 회사 지분 40.37%를 1,593억원에 인수했다. 당시 주가의 2배에 달하는 액수였다. 이를 두고 고가 매입 특혜 의혹이 나왔다.

성진지오텍 인수는 2010년과 2011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수상한 M&A라는 지적과 정치적 외압으로 인한 거래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 회장의 청탁을 받은 MB정부 실세 A씨가 정 전 회장에게 입김을 행사해 인수를 결정했다는 게 주된 내용이다.

같은해 NK스틸을 인수해 계열사에 편입시킨 포스코NST도 '타깃' 중 하나다. 인수 당시 이 회사의 인수가는 100억원 안팎으로 평가됐다. NK스틸은 당시 스테인레스 가격 폭등으로 인해 경영난을 겪고 있던 상황이었다. 부채만도 200억원 수준에 달했다.

그러나 포스코는 NK스틸 인수에 377억원을 투입했다. 그 배경과 관련해 이 회사의 실질적 사주로 거론돼 온 김영삼 전 대통령의 아들 현철씨의 존재가 거론됐다. NK스틸의 전신인 동보스테인레스는 현철씨의 측근 이성호 전 대호건설 사장이 설립한 회사다.

이 회사는 1997년 현철씨 비자금 수사 당시 그의 자금이 투입된 정황이 확인되기도 했다. 1999년 남광스틸로 상호를 변경했지만 현철씨가 국회의원 출신 B씨의 소개로 그의 후원회장을 역임한 B씨를 영입해 전방에 내세우는 등 영향력이 건재했다는 평가다.

포스코엠텍이 2011년과 2012년 각각 인수한 나인디지트와 리코금속도 사정 대상으로 거론된다. 인수 전 나인디지트와 리코금속이 적자행진을 지속해 온 기업이다. 나인디지트의 유동부채는 2010년과 2011년 각각 76억원과 243억원 수준에 달했다.

리코금속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이 회사의 유동부채는 2010년과 2011년 각각 62억원과 101억원 규모였다. 또 흡수합병 직전 나인디지트의 부채비율은 493.2%에 달했고, 리코금속은 부채가 자산을 전액 초과하는 마이너스 47억원대 자본잠식 상태였다.

포스코엠텍은 도시광산사업 추진 명목으로 나인디지트와 리코금속을 인수했다. 이들 회사 매입엔 총 180억원 가량이 소요됐다. 포스코엠텍은 이후 2012년 이들 회사를 흡수합병했다. 이로 인해 흑자기업이던 포스코엠텍은 한순간 적자로 돌아섰다.

이들 회사는 인수를 두고서도 무수한 뒷말이 나왔다. 특히 MB정부 실세이던 C씨가 압력을 행사해 무리한 인수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는 설이 신빙성있게 회자됐다. 이 과정에서 거액의 비자금이 오고갔다는 의혹도 함께 제기됐다.

포스코엠텍은 이런 의혹들과 관련해 지난해 국세청 '저승사자'로 통하는 조사4국의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조사 결과 포스코엠텍은 나인디지트의 과거 매입 부가세 불공제 및 세금계산서 질서위반 등의 명목으로 434억원의 추징금을 부과받았다.

물론 비자금 조성 여부나 자금의 흐름 등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 국세청이 납세자 비밀유지 의무로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입을 굳게 다물고 있어서다. 그러나 사정기관 안팎에선 탈세된 자금이 비자금화돼 지난 정부 인사들에게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런 의혹은 검찰 수사를 통해 밝혀질 전망이다. 국세청은 앞서 포스코엠텍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 포착한 불법 정황을 검찰에 고발을 했다. 그리고 포스코건설 수사를 맡고 있는 특수2부는 최근 다른 부서에 배당됐던 해당 사건을 넘겨받아 검토에 착수한 상황이다.

포스코ICT가 2013년 삼창기업을 인수해 설립한 제어계측장비 제조사인 포뉴텍도 사정권 내에 들어와 있다. 삼창기업 인수 당시 기업가치는 250억원 안팎으로 예상됐지만 실제 인수가는 1,020억원에 달하면서 특혜 인수 논란과 MB정부 실세 개입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검찰 수사 속전속결 진행 예상

이처럼 무분별하게 기업 인수에 나서면서 포스코는 급격한 내리막길을 탔다. 정 전 회장이 최고경영자로 임명된 2009년 3월 당시에 포스코는 연매출 41조7420억원, 영업이익 7조1730억원으로 명실상부한 세계 철강업계 1위 기업이었다.

그러나 당시 17%에 달하던 영업이익률은 2013년 3분기에는 4.2%까지 추락했다. 부채도 급상승했다. 2008년 9조2,497억원에서 2012년 14조원대를 넘어섰다. 50%대이던 부채비율도 2013년에는 80%까지 올라갔다. 신용등급과 주가도 동반하락했다.

포스코의 추락이 단순한 경영착오 때문인지, MB정부의 개입에 따른 결과인지 여부는 검찰 수사를 통해 밝혀질 전망이다. 사정기관 안팎에선 포스코에 대한 이번 검찰 수사가 '속전속결'로 진행되리란 견해가 많다.

한 사정기관 관계자는 "검찰은 이미 박근혜정부 출범에 앞서 포스코 인수 특혜와 MB정권 실세 연루 의혹에 대한 첩보를 입수하고 상당기간 내사를 벌여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만큼 이번 수사는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송응철 기자 sec@hankoo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