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 150억원 최고…오너 킹은 정몽구 현대차 회장

권오현 부회장, 삼성전자 신종균 사장 제치고 1위

오너 중엔 정몽구 현대차 회장 98억으로 1위

삼성가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20억 유일하게 밝혀져

차석용 LG 생활건강 대표 연봉 2배나 뛰어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내 기업의 등기임원 가운데 지난해 가장 연봉이 많은 전문경영인으로 나타났다. 권 부회장의 지난해 연봉은 149억5400만원으로 재계 총수들을 제치고 ‘연봉킹’을 차지했다. 지난 2014년 145억7200만원의 연봉으로 1위를 차지했던 신종균 삼성전자 사장은 100억원 가량이 급감한 47억9900만원으로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오너 중에는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이 9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조석래 효성 회장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지난달 30일 각 기업들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2015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른 것으로 상장기업들은 변경된 자본시장법에 따라 연봉 5억원 이상 등기임원의 급여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샐러리맨’ 연봉 신화 CEO

지난해 전문경영인 중 연봉 1ㆍ2위를 차지한 신 사장과 권 부회장의 희비가 갈린 것은 실적 때문이다. 삼성전자 부품(DS)을 총괄하고 있는 권 부회장은 메모리 반도체 고용량화, 시스템LSIㆍ디스플레이 사업의 영업이익을 대폭 개선해 반도체 부문에서 전년 대비 4조530억원 늘어난 12조8560억원의 영업 이익을 올렸다. 이에 권 부회장은 지난해 급여 20억8300만원, 상여 48억3700만원을 받았다.

반면 신 사장의 휴대폰 부문은 영업이익이 10조1630억원으로 2014년 대비 4조원 넘게 줄었다. 신 사장의 연봉도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삼성전자 윤부근 CE(소비자가전) 부문장은 36억9700만원으로 전년(54억9600만원) 대비 3분의2 수준으로 줄었고, 이상훈 경영지원실 사장도 31억7700만원으로 전년도(38억6400만원)에 비해 18%가량 감소했다.

삼성물산은 최치훈 건설부문 사장이 20억1800만원, 김신 상사부문 사장은 15억6600만원, 김봉영 리조트 부문 사장은 11억58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현대차그룹에서는 윤갑한 현대차 사장이 10억5300만원,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이 16억24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LG그룹은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이 2014년 11억6600만원에서 지난해 21억5100만원으로 연봉이 2배 가까이 올랐다. LG화학의 박진수 부회장은 17억9400만원을 받았다.

SK그룹에서는 SK이노베이션 이사회 의장인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26억500만원을 받았고, SK㈜ 조대식 대표이사 사장은 14억2200만원, 박성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15억4900만원을 수령했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4개월의 급여자진 반납분을 제외하고 12억700만원의 연봉을 받았고, 포스코대우 김영상 사장 연봉은 5억3300만원이었다.

금융권에서는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메리츠종금증권의 대표이사인 최희문 사장이 27억여원의 보수를 받아 증권업계 연봉 1위 자리에 올랐다.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17억2500만원을 받았다.

인터넷ㆍ게임업계에서는 김상헌 네이버 대표가 급여 9억원, 상여금 13억3800만원 등 총 22억3900만원을 받아 연봉 1위에 올랐다. 2위는 21억2000만원을 받은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3위는 황인준 라인 최고재무책임자(CFO)로 14억3100만원을 받았다.

오너가 연봉 1위는 정몽구 회장

재계 오너 중에서는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이 98억원으로 1등을 차지했지만 현대제철 등기임원에서 사퇴하며 2014년보다 117억원이 줄었다. 정 회장의 아들인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지난해 현대차 18억7000만원, 모비스 6억원 등 총 24억7000만원을 받았다.

삼성가 오너 중엔 유일하게 연봉이 공개된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가 전년보다 60% 늘어난 20억3100만원을 받았다.

LG그룹에서는 구본무 회장이 2014년(44억2000만원)에 비해 21%가량 늘어난 53억4800만원을 지급받았다. 구 회장의 동생인 구본준 ㈜LG 신성장사업추진단장은 LG전자로부터 19억35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SK 오너 일가 중에는 최신원 SKC 회장이 지난해 17억2600만원을, 최창원 SK가스ㆍ케미컬 부회장은 22억원을 수령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롯데케미컬 20억원, 롯데쇼핑 15억원, 호텔롯데 10억원, 롯데제과 13억원 등 계열사로부터 총 58억원을 보수로 받았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대한항공과 한진, 한진칼 등에서 총 64억1074만원을 수령했다. 구자열 LS그룹 회장은 24억9900만원을, 계열사인 LS산전의 구자균 회장은 22억22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효성은 조석래 회장에게 44억800만원, 조 회장의 장남인 조현준 사장과 삼남인 조현상 부사장에게 각각 12억3800만원과 12억100만원을 지급했다.

현대그룹 현정은 회장은 현대상선(9억6000만원), 현대엘리베이터(27억2200만원), 현대증권(8억5000만원) 등 계열사로부터 총 45억3200만원을 받았다.

지난해 말 금호그룹과 계열분리를 완료한 금호석유화학 박찬구 회장은 31억300만원의 연봉을 받았고,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은 아시아나 항공으로부터 5억84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웅렬 코오롱그룹 회장은 22억658만원을 지급받았고,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의 연봉은29억7900만원이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는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GS와 GS건설로부터 지난해 총 37억9900만원을 받았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올해 그룹회장직에서 물러난 박용만 두산인프라코어 회장은 14억원을 받았고, 최근 두산그룹 회장으로 취임한 박정원 회장은 지난해 급여로 14억1100만원을 받았다.

이홍우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