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7개월 만에 최대치 경신에 금리인상 우려까지 겹쳐

올해 1월에서 7월까지 국내 저축은행 여신 잔액, 48조원 넘어

올해에만 4조 6283억원 증가액 보여

미국 정책금리 인상 등 이슈로 가계·기업의 부채 상환 부담 우려↑

저축은행의 여신 잔액 규모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
한민철 기자

국내 저축은행이 올해까지 실행한 대출금액이 48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국내 저축은행의 여신 잔액이 28조 92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1년 12월 기준 50조 2376억원 이후 5년 7개월 만에 최대 수준이다. 저축은행 여신은 지난 2010년 5월, 65조 7541억원까지 늘었다가 다음해인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등으로 꾸준히 줄어 2014년 6월에는 27조 5698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이후부터 저축은행 여신 규모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 따른 가계대출 증가 그리고 저축은행 업체들의 다양한 대출상품 출시 등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저축은행 대출은 지난 2015년 5조 5557억원으로 증가했고, 지난해에는 7조 8808억원으로 비약적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도 4조 6283억원의 증가액을 보이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의 4조 4947억원을 웃돌았다. 월 평균으로 추산하면 올해 들어 6611억원이 증가한 셈이었다.

이런 대출실행 규모의 상승이 저축은행 업계 입장에서는 호재로 작용하겠지만, 가계 및 기업들의 대출 부담은 그만큼 더욱 커질 전망이다.

보통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실행하는 대상은 제1금융권에서 돈을 빌리지 못한 취약계층이나 자영업자 그리고 중소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들어 저축은행의 기업 대출 규모가 늘었다. 지난 7월 말 잔액은 27조 3749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조 7924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에서 7월까지의 증가액 1조 4929억원에 비하면 2배 규모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를 우려해 제2금융권 등까지 대출 규제에 나서자 저축은행도 기업대출에 집중한 결과로 풀이하고 있다. 또 자영업자들도 내수부진 등으로 기업대출을 보다 많이 실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가계 및 기업의 대출로 인한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특히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이슈 등의 영향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측되면서 이들이 저축은행에 상환해야 할 원리금 규모가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가중평균금리 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저축은행 신규대출 금리는 연 11.30%로 지난 7월보다 0.35%P 상승했다.

한민철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