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UN)의 6차 기후변화보고서는 미래의 기후변화를 5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1850~1900년과 비교해 단기(2021~2040), 중기(2041~2060), 장기(2081~2100)로 구분하여 전망하고 있다. 시나리오는 공유 사회경제적 경로를 의미하는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 용어를 사용한다.
우선 2015년에 시작하여 온실가스 배출이 높거나(SSP3-7.0) 매우 높은(SSP5-8.5) 시나리오가 있다. 여기서 탄소 배출은 현재보다 2100년과 2050년까지 각각 대략 두 배 증가한다는 가정이다. 온실가스 중간 정도 배출되는 시나리오(SSP2-4.5)는 탄소 배출량이 금세기 중반까지 지금 수준에서 그친다는 가정이다. 온실가스가 매우 낮거나(SSP1~1.9) 낮은(SSP1~2.6) 시나리오는 탄소 순 제로 내지 2050년 이후 순 마이너스로 감소한다는 가정이다.
첫째, 지구 표면 온도는 5개 시나리오 모두에서 금세기 중반까지 계속 증가한다.탄소와 온실가스 배출이 향후 수십 년간 크게 줄어들지 않는 한, 금세기 동안 1.5°C~2°C 지구 온난화가 진행된다.
장기(2081~2100년) 전망에서 1850~1900년보다 지구 표면 온도가 1.5°C 이내로 상승하는 시나리오는 매우 낮음(SSP1-1.9) 뿐이다. 단기(2021~2040년) 전망에서도 매우 낮은 시나리오는 지구 표면 온도가 금세기 안에 1.5°C 이하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실제 상황은 모든 단기 시나리오를 초월하고 있다. 유엔은 지난 9월 중순 글로벌 감축 목표 보고서에서 2030년 배출량이 2010년보다 16% 증가해,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7°C 오른다고 경고하고 있다.
둘째, 지구 온난화 증가는 지구 기후 시스템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극도의 더운 날씨, 해양 폭염, 집중호우, 일부 지역의 농업과 생태계 가뭄, 강력한 열대성 저기압 발생 빈도와 최고 풍속의 증가, 북극 해빙과 겨울철 육지 적설량과 영구 동토층의 감소 등이 나타나고 있다.
지구 온난화 가속으로 육지 표면 온도가 바다 표면보다 1.4~1.7배 더 높아진다. 북극 온난화 속도는 지구 평균보다 2배나 빠르고 가장 추운 날씨 온도도 높아진다. 열대 바다와 북극의 폭염 빈도가 계속 증가한다. 일부 지역의 수자원 가뭄 빈도와 강도도 더 커질 전망이다. 전례가 없거나 드물었던 극도의 기후 이벤트도 많아진다.
일부 중위도와 반건조 지역, 남미 몬순 지역의 가장 더운 날씨 온도는 지구 평균보다 1.5~2배 속도로 오른다. 대부분 지역에서 집중호우가 심해지고 더 자주 발생한다. 극단적인 일일 강수량은 온난화 1°C 증가마다 약 7%씩 증가한다. 북극은 2050년 이전에 적어도 한 번은 9월 말 얼음이 사라질 수 있으며, 그 이후 자주 발생하게 된다. 남극 해빙도 빠르게 감소한다.
셋째, 지구 온난화는 지구 물 순환과 변동성, 몬순 지역 강수, 우기 및 건기에 극도의 상황을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지구 평균 연간 강수량은 1995~2014년 대비 금세기 말까지, 매우 낮은 시나리오에서 0~5%, 중간 1.5~8%, 매우 높음에서 1~13% 증가할 전망이다. 강수량은 고위도, 적도 태평양, 몬순 지역 일부에서 증가한다. 하지만 중간 이상의 시나리오에서 아열대와 일부 열대 지역의 강수량은 감소한다. 눈 많던 지역의 여름은 길어지고, 봄철 눈 녹는 시기도 일찍 시작된다.
매우 습하거나 건조한 기후가 심해진다. 그 위치와 빈도는 몬순, 중위도 폭풍 궤적, 지역별 대기 순환에 따라 달라진다. 엘니뇨-남방진동과 관련된 강우량도 중간 이상 시나리오에서 변화 폭이 커진다. 남방진동은 인도양과 남반구의 적도 태평양 사이의 기압 진동을 말한다.
(사진=유투이미지 제공)
몬순 지역 강수량은 중장기에 걸쳐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사하라 서부를 제외한 아시아(남, 동남, 동)와 서아프리카에서 증가한다. 몬순 우기는 북미, 남미, 서아프리카(마감도 늦게)에서 늦게 시작된다. 여름철 폭풍우는 계속 양극 방향으로 이동하고, 강도와 강수량이 증가할 전망이다.
넷째, 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는 시나리오에서는 바다와 육지가 탄소를 추가로 흡수하기에는 이미 한계에 이르러, 대기 중 잔존 탄소가 높아진다.
탄소 농도 중간 시나리오(SSP2-4.5)에서 육지와 해양의 탄소 흡수원 역할은 금세기 후반에 감소한다. 불행하게도 기후 모델에서 아직 채택을 못 한 습지의 탄소와 메탄 물질, 영구 동토층 해빙, 산불 등이 더해지면 대기 오염은 더욱 증가한다.
다섯째, 과거와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바다, 빙상, 지구 해수면 상승 같은 지구 시스템 변화는 향후 수 세기에서 수천 년 동안 되돌릴 수가 없다.
산업혁명 이후의 온실가스는 바다를 미래의 온난화 상황까지 이끌었다. 금세기 내에 바다 온난화 속도는 1971~2018년보다 2~4배(SSP1-2.6)에서 4~8배(SSP5-8.5)로 빨라진다. 바다 상층(깊이 700m 이내)은 온도 상승, 산성화, 탈산소화가 심해지고, 미래 배출량에 따라 강화된다. 여기에 바다 전체의 온도 상승과 심해의 산성화가 더해지면, 향후 100~1000년 안에는 회복 불능이 된다. 육지와 극지방의 빙하는 수십에서 수백 년 동안 계속 녹고, 영구 동토층의 탄소 방출은 100년 단위로는 되돌릴 수 없다.
해수면은 1995~2014년 대비 2150년까지 매우 낮은 시나리오에서 0.37-0.86m, 중간 0.66-1.33m, 매우 높음에서 0.98-1.88m 혹은 최악의 경우 5m 상승 가능성도 있다. 향후 2000년 동안 1.5°C 상승으로 제한되면 2~3m, 2°C 제한은 2~6m, 5°C 제한은 19~22m 올라가며, 수천 년 동안 이 상승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그러나 실제 상황은 2030년에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7°C 오를 전망이다(UN). 이미 단기의 모든 시나리오를 초과하는 대재앙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제는 작은 변화만 가해져도 큰 사태를 초래하는 티핑포인트(tipping points)를 넘어 발등의 불이 되었다.
최민성 델코리얼티그룹 회장




최민성 델코리얼티그룹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