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유가족 주인공으로 아픔 공감


인생을 살다보면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의 슬픔을 겪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주위의 사람들은 처음에는 그 아픔을 공감해주며 위로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뒷걸음치다 외면하고 잊고 살게 된다. 영화 ‘생일’(감독 이종언, 제작 나우필름(주), ㈜영화사레드피터, 파인하우스(주))은 가슴 속 형용할 수 없는 슬픔을 지닌 이들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자세, 마음가짐, 예의를 되돌아보게 하는 작품. 눈에 넣어도 안 아플 어여쁜 꽃 같은 아이를 잃은 세월호 유가족들을 주인공으로 다른 사람들이 아픔을 지닌 이들에게 어떻게 다가가고 감정을 나누며 상흔을 치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차분하면서도 따뜻하게 알려준다.

영화는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사고로 듬직한 아들 수호(윤찬영)를 잃은 정일(설경구)-순남(전도연) 부부의 3년 후 일상을 담담히 조망하면서 시작한다. 외국에서 사업하느라 결정적인 순간 집을 지키지 못한 정일은 소용돌이처럼 몰아친 사고의 여파를 홀로 직격탄으로 맞은 아내 순남과 딸 예솔에게 조심스럽게 다가선다. 그러나 이혼을 요구하는 완강한 순남의 태도에 다시 가족의 틀 안으로 들어갈 틈새를 찾기가 여의치 않다. 정일이 아내와 딸의 옆을 지키며 가족의 일원이 다시 돼 가는 과정이 감동적으로 그려진다.

예상은 했지만 영화 ‘생일’은 엄청난 감정의 파고를 몰고 온다. 어지간히 감정이 무딘 사람이 아니라면 흐르는 눈물을 감출 수 없다. 의도된 극적 장치로 인해서 눈물이 나오는 게 아니라 소소한 일상 속에서 그 아픔의 깊이가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사를 갔지만 여전히 살아있는 것처럼 꾸며진 이들의 방, 느닷없이 켜지는 현관불로 인해 갖게 되는 기대감, 여기저기 묻어나는 수호와의 추억이 겹겹이 쌓이면서 슬픔의 강도가 올라간다. 세월호 유족과 친구, 주변사람들을 직접 만난 경험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직접 쓰고 연출을 한 이종언 감독의 진정성이 영화 내내 느껴진다.

영화 결말부 수호의 생일잔치 장면은 관객들을 형용할 수 없는 감동의 현장으로 초대한다. 모두가 기억하는 수호 이야기를 하면서 슬픔을 나누는 모습은 절대 혼자가 아니라는 따뜻한 위로를 전하며 힐링을 선사한다. 전도연과 설경구의 연기는 기대대로 압권이다. 아들과 나눈 행복한 순간을 떠올리며 활짝 웃다가 갑자기 몰아치는 슬픔에 목 놓아 우는 전도연의 명연기는 감정을 휘몰아치게 만든다. 초반에 감정을 절제하다 마지막 순간에 묻어뒀던 감정이 폭발하는 설경구의 감정연기는 명불허전이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한다.

‘생일’은 결코 어떤 정치적인 메시지를 내세우거나 일부 관객층을 겨냥한 작가주의 영화가 아니다. 모든 관객들이 공감하고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작품이다.

최재욱 스포츠한국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