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이준호
조선시대에 남자 기생이 존재했다면 어떤 모습일까? 발칙하고 흥미로운 상상력을 가미한 코미디 사극 영화 ‘기방도령(감독 남대중)’이 관객들과 만날 채비중이다. 14일 서울 동대문구 메가박스 동대문점에서 열린 ‘기방도령’ 제작보고회에는 , 정소민. 최귀화, 예지원, 공명과 남대중 감독이 참석했다.

‘기방도령’은 폐업 위기의 기방 연풍각을 살리기 위해 꽃도령 허색(이준호)이 조선 최고의 남자 기생이 돼 벌이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 영화 ‘감시자들’ ‘스물’, 드라마 JTBC ‘그냥 사랑하는 사이’, tvN ‘자백’ 등으로 연기력을 인정받은 아이돌그룹 2PM 출신 이준호의 첫 단독 주연 영화다. 이준호는 기생의 아들로 태어나 기방에서 자란 도련님 허색 역을 맡아 능청스러운 연기를 보여줄 예정이다.

남자 기생이라는 소재를 택한 데 대해 남대중 감독은 “처음에는 남자기생을 그려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조선시대 여인들의 애환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컸다. 조선시대는 유교 문화 안에서 신분 차별이 있고 여인들의 인권이 낮은 시대였다고 생각한다. 그런 여인들의 한과 슬픔을 가장 잘 이해하는 캐릭터가 어떤 인물일까 생각하다 떠오른 게 남자기생이었다”라고 전했다. 이어 “자칫 무거울 수 있는 주제를 독특하고 가벼운 소재로 이끌어가는 게 저의 색깔이기에 허색이라는 인물이 많은 여인들을 만나면서 그들의 슬픔을 이해하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다”라고 덧붙였다.

영화 ‘기방도령’ 출연진.

주인공 허색 역의 이준호는 “아무것도 신경쓰지 말고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면 무조건 출연해야겠다는 생각이 들 때 이 작품의 시나리오를 받았다. 그리고 앉은 자리에서 다 읽을만큼 재밌었다”라며 “소재도 굉장히 신선했다. 연기를 할 때, 해보지 않은 역할을 해보자는 마음가짐으로 임하고 있는데, 이 작품이 그런 저의 생각과 너무 잘 맞았다”라고 작품 선택 이유를 들려주었다. 캐릭터의 매력에 대해서는 “정말 사랑스러운 친구”라며 “허색이 여인들의 마음을 녹이는 건 단순한 게 아니라 그 시대 여인들의 아픈 마음을 치유해주는 것이다. 공감 능력이 가장 큰 매력인 친구로 본인도 아픔이 있는 친구라 다른 사람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는 캐릭터다”라고 들려주었다. 연기를 위해 가야금 연주까지 직접 배웠다는 그는 “한 곡은 완주할 수 있을 정도로 연습하다보니 손에 굳은 살이 박이더라”라고 귀띔했다.

정소민은 시대를 앞서나가는 양반가 규수 해원 역을 맡아 첫 사극에 도전한다. 해원은 가난하지만 가족을 책임지기 위해 분투하는 인물이다. 그는 “거짓말을 조금 보태자면 비행기 안에서 단숨에 시나리오를 다 읽을만큼 재밌었다. 평소에 사극에도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안 할 이유가 없었다”고 했다. 한국무용 전공자이기도 한 그는 “한복을 입는 작품을 꼭 해보고 싶었는데 이번에 소원을 풀었다”라고 말해 기대감을 높였다.

영화 ‘스물’ 4년 만에 작품을 통해 다시 만난 이준호와 정소민은 반가움을 드러냈다. 이준호는 “‘스물’에서는 소민 씨와 함께 찍는 장면은 거의 없었지만 배우들이 다 또래 친구들이라 연락하면서 친하게 지냈다. 이번에 작품으로 만나 정말 기쁘고 해원 역을 소민씨가 해줘서 고맙다”라고 전했다. 정소민 또한 “준호씨는 아이디어도 많고 똑똑하다. 이렇게 코미디를 잘하는 줄은 몰랐다”라고 파트너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최귀화는 신선을 꿈꾸다 기방에 정착한 육갑 역을 맡는다. 다른 배우들과 달리 그는 처음 시나리오를 보고 유쾌하지 않았다고. 그 이유에 대해 “왜냐하면 내가 처음에 나체로 등장하기 때문”이라고 전해 웃음을 자아냈다. 또 “물에도 엄청 많이 빠진다. 쉽지 않겠다 싶었고, 한겨울에 하면 고생할 것 같았다. 그런데 시나리오 내용이 너무 신선하고 좋아서 결국 하게 됐다”라고 들려주었다.

남 감독은 ‘기방’을 새롭게 해석하고 싶었다며 “‘기방’ 하면 에로틱하고, 홍등가의 이미지가 있는데 이번 작품에서는 여인들의 고민이 오가는 공간, 고급스러운 연회장 같은 공간으로 확장하고자 했다. 시대 고증을 하면서도 조금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싶었다”라고 차별 포인트를 들려주었다.

장서윤 스포츠한국 기자 사진=이혜영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