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은 자연 그대로가 좋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인위적으로 계절과 장소를 거슬러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며 모양을 만드는 일에 크게 관심이 가 있지 않다.

겨울에 겨울에 적합하게 나뭇가지의 아름다운 배열이나 가지가지 겨울눈 구경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쪽에서 겨울을 푸르게 때론 적절하게 고운 단풍빛으로 물들되 잎을 떨구지 않고 보내는 마삭줄, 자유로운 가지를 자연스럽게 엮고 가꾸어 결에 키울 수 있는 마삭줄을 보면, 웬지 언 땅에서 겨울을 나야하는 중부지방의 한계가 아쉬운 것도 사실이다.

마삭줄은 협죽도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이다. 앞에서 말한대로 상록성인데 길이가 손가락 두 마디쯤 되는 바늘잎이 아닌 타원형의 크지도 작지도 않은 잎을 마주 달고 자란다.

적갈색의 줄기는 필요에 따라 땅이나 닿으면 뿌리를 내리고 바위나 다른 적합한 곳에서는 적절히 부착되어 올라가며 혹은 감겨가며 자란다.

여느 상록활엽수처럼 잎은 두껍고 진한 초록빛깔이지만 겨울이 되면 조건에 따라 붉은 빛깔, 노란빛깔, 갈색 빛깔들이 잎맥을 따라 적절한 무늬를 만들어가며 분위기 있게 변하기도 한다.

스스로 자라는 자생하는 장소를 거슬러 분에 담아 실내에서 키우는 분들은 꽃이 있는지 모르는 분도 있지만 늦은 봄 혹은 이른 여름이면 말할수없이 그윽하고 멀리까지 퍼지는 향기를 풀어내면 꽃이 핀다.

꽃의 지름은 2-3cm남짓, 5개로 갈라진 꽃잎은 말렸던 봉우리를 펼쳐내어 백색으로 피었다 이내 연한 노란빛으로 변해간다.

꽃송이의 작은 통부 끝에 살짝 올라온 샛노란 수술도 귀엽고 매력있다. 갈라진 꽃잎조각이 말리듯 접혀 가늘게 느껴지고 바람개비처럼 한방향으로 뒤틀려 피어나는 꽃송이들은 자유로운 줄기와 잎과 어울어져 매우 현대적이면서도 개성있는 느낌을 준다.

꽃이 피어 오래 오래 지속되는 것도 장점중의 하나이다. 독특하기로 치면 열매도 못지 않다. 이런 꽃에서 그런 열매가 나올 수 있을까 싶을 만큼 길쭉한 꼭투리처럼 색긴 열매는 길이는 한뼘이 넘은채 활처럼 굽어지고 두 개씩 각을 이루고 달린다. 물론 익고 나면 그 속에선 흰 털을 가득 달고 있는 씨앗이 삐져 나온다.

남쪽에 가면 숲 속 바닥에서 숲가장자리 바위 위에서 이래저래 볼 수 있지만, 관상적인 가치가 높아 분에 담아, 혹은 담장이나 고목, 정원석같은 조경소재에 올려 많이 키우는 나무의 하나이다.

춥지만 않다면 음지나 양지나 그 어떤 곳에서도 강건하게 잘 자란다. 서울에서 겨울철 상록의 덩굴소재로 도시를 조경하고 싶어 마삭줄을 월동하게 하려는 시도가 이어지지만 몇 년 견디다가도 큰 추위가 오면 일시에 동해를 입기마련이어서 아직은 어렵다.

약으로도 쓰는데 잎과 줄기가 열을 내리고 통증을 줄이는 등의 쓰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마삭(麻索)줄이란 이름은 삼으로 꼰 밧줄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마삭나무, 조선마삭나무, 왕마삭줄, 민마삭나무, 겨우사리덩굴 같은 그만 그만한 이름등으로도 불리운다.

상록이라하지만 봄이 오면 그 진한 잎을 두고 새로이 아주 맑은 연두빛의 보드라운 새순이 나온다. 무엇이든 그 처음은 순결하고 곱다. 지난 시간에 연연하지 말고 그런 새 마음으로 새로운 해를 시작해봐야겠다.



이유미 국립수목원 연구관 ymlee99@fo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