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시장 뒤집어 보기' 저자 박상용화랑에 쏠려 있는 힘 분산시켜 생산·유통·소비 균형있는 시장 만들어야

화랑 문턱을 넘는 것부터가 쉽지 않다. 인사동 거리가 아무리 북적여도 화랑 안은 대부분 한가한 이유다. ‘미술시장 뒤집어 보기’의 저자 박상용에게는 그것이 언제나 미스터리였다.

입장료를 받는 것도 아니고, 그림 구경하고 싶은 마음도 있는데 막상 화랑 입구에서는 쭈뼛쭈뼛하게 되는 이유가 뭘까. 어떻게 “1차 관문”을 통과한 박상용은 “그림 살 놈인가 그냥 구경온 놈인가 훑어보는 훑어 보는 시선”에 맞서 용감하게 물었다.

“이 그림 좋은 건가 봐요?”

“그럼요. 유망한 작가 작품이지요. 투자하면 손해보지 않을 겁니다.”

뻔한 상술인데도 대꾸할 여지가 없다. 왜? 거론되는 대상이 ‘미술’이기 때문이다. 질문의 수준이 곧 그 사람의 교양과 감수성의 척도가 되어버리는, 욕망의 우아하고 모호한 대상. 더 묻자니 촌스러워진다. 정작 궁금한 “얼마예요?” 라던가 “왜 이렇게 비싸죠?” 같은 세속적인 질문은 더더욱 체면 깎는 것이다.

비단 화랑 안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미술시장 전체에 고착된 불공정한 관계의 구도를 상징하는 장면이다.

미술시장이 양적으로 팽창하며 대중화되었다고는 하지만 초심자에게는 여전히 장벽이 높다. 정보가 불투명하고 유통 업자인 화랑의 힘이 생산자인 작가와 소비자인 컬렉터의 그것보다 지나치게 세기 때문이다. 2007년 그림 한 점을 사면서 컬렉터가 된 박상용은 이 “고가의 고급 시장에 시장의 기본이 갖춰져 있지 않다”는 점에 놀랐다.

가격은 언제 어디서 누구를 통해 사느냐에 따라 들쭉날쭉했고, ‘소비자를 위한 투자 가이드’는 소비자를 끌어들이려는 시장의 유혹에 다름 아니었다. 교수, 평론가, 언론사 미술담당 기자도 파는 쪽과 “한통속”이라고 느껴졌다. 결국 화랑의 이익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시장이었다.

그래서 책을 썼다. 더 이상 ‘봉’이 되지 않기 위해서, 그리고 “앞으로 미술시장을 더욱 애용할 단골 고객”으로서의 권리를 찾기 위해서.

도발적인 문제제기가 가득하다. ‘화랑이 죽어야 미술이 산다’, ‘그림은 ‘작품’이 아니라 ‘상품’이다’, ‘전문가의 의견은 무시하라’, ‘아트페어는 시장의 걸림돌’ 등등. 비판을 위한 비판만은 아니다. 오히려 미술시장을 건강하게 만들려는 애정어린 충고에 가깝다. 타당하게 쓰기 위해 미술시장 구성원과 관련 사례들을 꼼꼼히 취재했다. 책의 원제는 ‘미술시장 알고도 말 못하는 이야기’였다.

“화랑의 역할 자체를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생산-유통-소비 영역이 균형을 이루는 시장 구도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현재 대형 화랑에 쏠려 있는 힘을 분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지금 미술시장 상황은 예를 들면 대형마트가 생산자를 좌지우지하고 소비자를 현혹하는 상황이라고 생각했다. 책을 쓰기 시작할 때 초점은 미술 시장에 들어오는 소비자에게 지침을 주려는 것이었는데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하다 보니 그게 다 화랑의 힘이 너무 센 데에서 나타나는 문제로 모아졌다.”

대형 화랑의 ‘도의적 책임’도 지적했다. ‘미술은 값어치로 따질 수 없다’는 명제를 오히려 미술품 가격을 높이는 데 동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가 기대하는 것은 값어치로 따질 수 없는 미술을 다루는 만큼 스스로 ‘준예술가’라는 사명을 갖고 정말 ‘좋은 미술’을 본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려면 작가와의 관계 개선이 우선이다.

“대형 화랑의 전속 작가 제도도 상업적인 전략에 따라 근시안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단기간에 ‘키워낸’ 작가들의 경우 뒷심이 부족해서 10~20년 지나면 사라지기도 한다. 이런 시장에서는 화랑을 믿은 컬렉터들도 손해를 보고, 작가들 역시 재능을 인정 받지 못한다.”

저자는 철저하게 소비자 편이다. 그 자신이 홀가분하고 뿌듯하게 미술품을 살 수 있는 시장을 바라기 때문이다. 결국 미술을 대중화함으로써 미술시장이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화랑 쪽에서는 미술품 가격이 300만 원 정도면 싸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소비자에게는 결코 싼 가격이 아니다. 그런 인식차가 줄어들었으면 한다. 고가 시장은 고가 시장대로 존재하되 중저가 시장도 만들어져야 한다. 그래야 컬렉터 저변도 넓어지고 갓 미술대학을 졸업한 작가들도 스스로 클 수 있는 발판이 생기지 않겠나.”

미술시장전문 출판사인 ‘오픈아트’의 대표인 저자는 올해 1월 ‘2009미술작품가격’을 펴냈다. 작년 한해 국내 미술시장에서 거래된 작품 가격을 정리해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는 목적이었다. 이달 말에는 ‘100만 원으로 하는 미술품 투자’를 펴낼 예정이다.

'미술시장 뒤집어 보기'의 미술 투자 노하우


그림은 '작품'이 아니라 '상품'이다

미술계 사람들은 그림을 투자적 시각에서 접근하면 마치 미술작품의 명예를 훼손한 것처럼 걱정한다. 그림을 작품으로 보지 왜 돈과 결부해서 투자 또는 투기 대상으로 보느냐고 따지듯 한다.

하지만 그림이 시장에 나오고, 돈을 주고 거래를 한다는 것 자체가 상품 가격으로 나온 것이다. 다만 예술이라는 고상함을 담은 유별난 상품이기 때문에 여느 상품과 달리 귀하게 다룰 필요가 있을 뿐이다.

전문가의 의견은 무시하라

그림시장 공부를 위해 책을 사보고, 기사도 스크랩하고, 전문가의 투자 아카데미에도 참석해 보았지만 실망만 했다. 조언은 입을 맞춘 것처럼 한결 같았다. 모 언론 칼럼에는 좋은 작품 사는 요령으로 "가격 흥정은 하지 마라", "지불은 가능한 빨리 해버려라"라는 말까지 실려 있다. 도대체 누구를 위한 제언인가.

미술을 얘기하고, 미술시장에서 살아가는 모두가 화가나 화랑 입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공동의 이해집단에 포함된다. 개인적으로도 친분을 유지하며,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공생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생리상 알고도 말 못하는 같은 편이 되어버린 것이다.

화가에게 직접 구매하라

화랑이나 옥션에서 사는 것보다 직접 화가를 통하면 훨씬 싸게 구입할 수 있다. 화랑이나 아트페어를 통해 거래될 경우 판매가의 40~50%가 경비로 나가며, 옥션으 통하더라도 사고파는 수수료 등이 20% 이상 나간다. 그러나 화가에게 직접 구입하면 시중가의 20~30%는 싸게 구입할 수 있다.

화가 중에는 인터넷을 통해 '직거래'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시장질서를 무너뜨리는 게 아니라 독과점된 시장 균형을 바로 잡는 일이다.

'아트폴리'(www.artpoli.com) , '아트렐라'(www.artrella.com), '포털아트'(www.porart.com) 등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도 유통비용을 줄일 수 있는 통로다.

돈 되는 작가의 조건들

현존 국내 작가 중 몸값이 가장 비싼 이우환을 통해 본 돈 되는 작가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그는 서울대 미대 출신이다. 2. 그의 작품엔 철학이 들어 있다. 3. 특화된 그림세계를 보여준다. 4. 그만의 스토리를 갖고 있다. 5. 든든한 후원자를 얻다. 6. 미술사적 의미를 갖고 있다.

황금돼지띠에 태어난 그림을 사라

한 작가의 몸에서 태어났지만 초기 작품인지, 최근 작품인지 출생 시기에 따라 가격을 달리 한다. 현재 활동이 왕성한 작가라면 당연히 최근 작품이 더 인기를 모은다. 그림은 50, 60대 나이가 들면서 더욱 완숙된 경지의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작가가 개인전을 열 때 작품을 사는 것이 좋다. 개인전을 여는 시기는 작가 스스로 지난 행보를 발표할 만한 자신감을 가진 때이기 때문이다.

원로급 작가나 작고 작가의 경우는 작품 활동이 가장 왕성하던 과거의 것이 더 인기를 얻기도 한다. 더러는 초창기 작품값이 더 비싼 경우도 있다. 초기작일수록 작품 수가 귀하기 때문이다.





박우진 기자 panorama@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