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미의 우리풀 우리나무] 협죽도

요즈음 인기 있다는 한 TV 드라마를 재미있게 보았다. 본래 기존의 가치관이나 선입견관과는 다른 여러 요소들이 등장하여 특별한 즐거움을 주는 모든 이들과 같은 이유의 재미도 물론 있었겠지만 무엇보다도 협죽도가 등장하여 활약을 하기에 시종 눈을 뗄 수 없었다.

등장인물 협죽도의 역할은 매주 중요하였는데, 불에 태운 연기가 적군을 구토하고 상하게 하여 주인공들이 승리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모처럼 식물이 등장하여 중요 역할을 한 것이 우선 무척 반가웠고, 아름다운 관상수로만 알려졌던 협죽도가 그리 심각한 독성을 가진 식물이라는 것을 자각하고 다시한번 알아보아야 겠다는 호기심을 자극한 것이 소득이었으며, 문제는 아는 것이 병이라고 우리나라 자생식물이 아닌, 그것도 제주도와 같은 남쪽에서 자라는 식물이 신라와 백제가 싸우는 숲속에서 얻어질 수는 없는 식물이라는 점 때문에, 마치 많은 사극에서 흔히 역사적 사실과 작가적 상상의 오묘한 결합의 실체가 그대로 나 있어서 ‘옥의 티’를 만나는 재미를 만끽하였다.

신라의 화랑이 말 달리던 들판에 구한말에 한반도에 들어온 귀화식물 개망초가 군락을 이루어 아름답게 피어나는 모습을 보며 느끼는 그런 재미의 일종이다.

협죽도는 인도와 페르시아를 원산으로하는 상록성 넓은잎 나무이다. 더운 지방에서 자라는 나무이다 보니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제주도 같은 남쪽섬에서 볼 수 있다. 한때는 이 나무가 상록성 인데다가 꽃도 화려하고 오래가는 많은 장점으로 인하여 가로수나 생울타리로 많이 심기도 했다. 협죽도(狹竹桃)란 이름은 한자이름을 그대로 쓴 것인데 잎이 대나무 잎을 닮았고 꽃은 복사꽃을 닮아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유도화라고도 하고, 류선화라고도 한다.

잎은 돌려나는데 이름대로 길이가 한 뼘 정도 되는 대나무 잎을 닮았지만 훨씬 두껍고, 색깔이 진한 초록색이다. 꽃은 지금부터 여름내 핀다. 보통은 진한 분홍색이다. 꽃은 자세히 보면 매우 모습과 배열을 하고 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우리나라엔 관상수로 주로 심었다. 특히 이 나무의 잎 뒷면에 달린 털들이 대기오염을 정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난 탓에 공해에도 아주 강하고 식물자체도 강건하여 어쩐 곳에서든 잘 적응하는 특성을 가졌다. 대기정화능력은 이 집안 식물들이 나사가 정하는 10대 정화능력을 가진 식물에 들었다는 정도이다.

문제는 이 나무가 가지는 독성이다. 잘 쓰면 강심제로 활용되기도 하고 이뇨제나 가래 기침등을 치료하는데 잘 활용할 수 있지만 이는 전문가의 이용이고 잘못 사용하면 매우 위험하여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가만히 서 있는 나무가 해를 줄 일은 전혀 없는 일이고, 보고되는 일들은 줄기를 잘라 껍질을 벗기고 젓가락을 만들어 먹거나, 줄기가 상할 때 나오는 하얀 유약이 상처에 직접 닿아 바로 몸속에 닿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를 화실촉 같은데 바르면 독화살이 될 수 있다. 서양에서도 협죽도와 같은 집안식물의 줄기를 잘라 바비큐나 핫도그를 꽂는데 사용했다가 문제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사람이나 식물이나 가지고 있는 개성이나 장담점들은 모두 제각각 가지고 있는 일이다. 그것을 어떻게 찾아내어 바르고 지혜롭게 잘 써서 두루두루 행복할 수 있는지기 간단하면서도 참 어려운 일 인듯 한다.



이유미 국립수목원 연구관 ymlee99@fo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