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가있는 가족여행/전북 남원일본풍 '서도역' 벚꽃 한창… '혼불문학관' 축소 모형도 볼거리

1-혼불의 배경 청호저수지
2-봄 가득한 서도역
3-혼불문학관 앞뜰
4-소설 '혼불'의 한 장면

봄볕이 따사로운 오후의 옛 서도역(書道驛). 활짝 피어난 벚나무 고목이 회춘을 하고 있다. 파랗게 물들어 있어야 할 하늘은 봄기운에 나른해진 탓인지 화사한 벚꽃 색과 닮아 있을 뿐이다. 대합실은 폐쇄되었고 시그널 조작기도 모두 내려진 채 플랫폼에는 초조한 기다림도 홀가분한 발걸음도 없다.

침엽수 세 그루만 뒤뜰을 지키고 있을 뿐이다. 이제는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는 전주 발 남원 행 완행열차. 그러나 곧 도착할 것 같은 플랫폼에 서면 먼 여행을 떠나는 나그네 같은 설렘이 바람난 봄처녀 가슴 같다.

옛 서도역은 전라선의 구간 중 오수(獒樹)와 남원사이에 위치한 작은 역으로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에 있다. 예전에는 전주와 남원 사이를 오가는 통학열차가 운행되기도 했지만 2002년 전라선 철도가 다른 곳으로 이설되면서 문을 닫게 되었다.

역 건물은 목조에 기와를 올린 건물로 새 철로를 따라 역이 옮겨가면서 철거될 예정이었으나 남원시에서 이 역을 매입하겠다고 밝혀 철거는 되지 않았다. 이후 남원시가 1930년대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해 놓았다.

서도역은 소설 ‘혼불’에서 빼어놓을 수 없는 배경 가운데 하나이고, 이야기 전개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소설 속에서 이 역은 ‘정거장’ 혹은 ‘매안역’(梅岸驛)이라는 이름으로 소설 전반에 걸쳐 등장한다. 그러나 작가가 집중적으로 이 역을 묘사하고 있는 부분은 주인공 허효원이 열아홉에 완행열차를 타고 시집을 오는 장면이다.

효원이 서도역 플랫폼에 첫발을 내 딛는 순간부터 그녀의 시집살이는 시작되는데 완행열차만큼이나 느리고 무거운 시집살이를 암시하고 있다. 효원의 파란 많은 인생역정과 완행열차의 운행과정 사이에는 닮은 데가 있는데 그런 요소들이 서도역을 통해 표현되기도 한다.

지금 옛 서도역은 봄이 한창이다. 아름드리 벚나무에는 벚꽃이 가득하고, 그 아래 동쪽을 바라보고 있는 두 동(棟)의 일본풍 역사(驛舍)와 뒷마당 한 구석에 있는 침목 더미와 어울려 향수(鄕愁)어린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나무로 지은 역사, 녹슨 철로, 수동 신호기, 한가로운 플렛폼이 만들어내는 분위기가 사람들을 과거로 데려다 준다.

플랫폼 건너편 언덕에 한 줄로 서서 꽃길을 만들고 있는 8그루의 벚나무는 녹슬 철로와 잘 어울려 보인다. 아름드리가 넘는 이 나무들은 수십 년은 자랐음직한 것으로 보아 서도역 설치당시에 기념식수한 것들로 보인다. 원래 이 벚나무 주변으로 터를 닦아 혼불문학관을 건립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혼불문학관이 있는 혼불마을은 이 역 서쪽에 있는 사매면 서도리 노봉마을에 있다. ‘혼불’은 작가 최명희(1947~1998)가 1996년까지 17년간 피를 토하면서 써내려간 원고지 1만 2000장 분량의 대하소설이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에 사매면의 유서 깊은 ‘매안 이씨’ 문중의 무너져가는 종가를 지키는 종부3대와 이씨 문중의 땅을 부치며 살아가는 상민마을 ‘거멍굴’ 사람들의 삶을 그린 소설로 근대사의 격랑 속에서도 전통적 삶의 방식을 지켜 나가는 양반사회의 기품, 평민과 천민의 고단한 삶과 애환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2004년 개관한 ‘혼불문학관’에서는 디오라마(축소 모형)로 재연된 소설 속 장면이나, 작가의 친필 원고 등을 볼 수 있다. 소설에서는 우리 선조들의 세시풍속, 관혼상제, 음식, 노래 등 민속학적, 인류학적 기록들을 철저한 고증을 통해 아름다운 우리말로 생생하게 복원해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이런 것들을 축소모형으로 생생하게 재현해 놓고 있다.

너른 잔디밭과 물레방아 등을 갖춘 문학관 옆에는 청호저수지가 있다. 소설에서 청암부인이 가뭄에 대비해 팠다고 묘사한 못이다. 마을 안쪽에는 청암부인, 율촌댁, 효원의 종부 3대가 살던 곳으로 묘사된 종택이 있어 문학관을 들러 나가는 길에 찾아가봄직하다.

남원의 별미 두부요리

춘향테마파크가 있는 남원관광단지 안에 위치한 민속두부마을(063-626-8854)에 가면 두부의 참맛을 만날 수 있다.

썰지 않고 크게 한 모를 담아낸 생두부는 봄바람에 흔들리는 목련꽃처럼 흔들리는 모양이 인상적이다.

직접 만든 두부는 신선하고 부드러운 맛은 여운이 남는다. 반으로 자른 대통에 담겨 나오는 순두부와 신김치 만으로 맛을 낸 콩비지 맛도 일품이다.



글, 사진 정보상 (여행작가, 와우트래블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