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15년까지 390억 지원 패션 산업 부흥, 비전 선포식 가져

문화체육관광부, '패션코리아 2015' 비전 선포식(사진제공=한국콘텐츠진흥원)
정부가 패션문화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화부)는 5년간 장기계획으로 '패션코리아 2015' 사업의 추진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2015년까지 390억 원의 예산을 들여 패션 문화산업의 육성에 힘을 쏟는다는 계획이다. 한국 패션문화의 세계화를 위해 정부가 내세운 '패션코리아 2015'. 과연 그 미래는 어떨까.

"얼마나 실효성 있는 패션 부흥 산업이 될까?" 5월 31일 문화부는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패션코리아 2015' 비전 선포식도 열었다. 선포식에는 유인촌 문화부 장관을 비롯해 패션 관계자 200여 명이 참여해 한국 패션산업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패션코리아 2015'에 참석한 한 디자이너는 "정부가 5년 동안 390억 원의 예산을 들이기로 한 결정적인 이유는 외국 중저가 브랜드의 압박으로 위기를 맞은 국내 패션업계를 살려보고자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국내 패션 브랜드를 글로벌화하려는 계획은 환영할 일이다"고 언급했다.

문화부가 내세운 5대 중점 추진 과제는 '국격 제고를 위한 해외진출 통합 브랜딩', '전통가치와 문화정체성을 발굴하는 패션 창작기반 구축', '패션의 창조적 시도에 대한 보호와 육성', '패션문화 수용능력 향상 및 향유기회 확대', '유기적 정책추진을 위한 협력체계 정비' 등이다.

즉 외형적으로 성장 위주의 산업 정책에서 벗어나 질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문화정책으로 정책 목표를 전환하고, 패션을 이끌어 나가는 창조인력의 장기적인 성장을 주도하겠다는 내용이다.

또한 정부에서 고질적으로 벌여온 산발적 패션정책의 중복과 낭비를 없애고, 범국가적인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의 비전을 내놓았다.

정부의 패션산업 정책은 선진국의 성공 전략을 모티브로 해 현실감 있게 추진될 전망이다. 영국과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 홍콩, 중국 등과 같이 창의적 콘텐츠와 정부부처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패션산업을 문화산업으로까지 확대하고자 하는 열망이다.

문화부가 가장 주안점을 두는 부분은 바로 해외진출을 노리는 통합형 브랜드(Umbrella Brand) 구축이다. 한국 패션을 대표하는 통합형 브랜드를 만들어 해외 전시회 및 컬렉션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한국적 패션의 차별적 이미지를 확립한다는 것이다.

문화부는 이를 위해 2011년 한국 패션문화와 한국의 대표적 국가이미지인 IT를 기반으로 한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2012년~2014년 한국의 전통문화, 대중문화, 생활문화를 기반으로 한 행사를 마련해 한국적 이미지를 확대하고, 2015년에는 한국의 지역문화를 중심으로 한국 패션문화 브랜드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문화부의 한 관계자는 "통합형 브랜드의 과업을 위해 정부는 적극적으로 분위기를 조성할 예정이다. 먼저 한국 패션문화 쇼룸과 '코리아 패션 & 컬처 데이'를 개최하고, 한국 패션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위해 전시회, 패션쇼, 문화파티, 포럼, 세미나 등을 집중적으로 연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화부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컬처믹스적인 '코리아 홍보관'을 설치해 통합형 마케팅 관점의 홍보부스를 기획 중이다. 문화부가 패션산업을 문화적으로 접근하게 된 건, 지난 2월 미국에서 열린 뉴욕 패션위크 기간 중 설치한 '패션문화 룸'의 구축사업인 '콘셉트 코리아(CONCEPT KOREA, fashion collective 2010)'의 성공적 호응이 계기가 되었다.

당시 패션문화 룸에는 한국 패션 디자이너들의 의상과 함께 한국 음식과 음악 등 한국 고급문화 콘텐츠를 선보여 외국 바이어들에게 큰 인기를 누렸다. 정부가 직접 지원한 공식적인 첫 진출 사업이 성공으로 가는 첫 발을 내딛은 셈이다. 당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문화부는 '콘셉트 코리아' 사업을 계속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국가이미지 수립을 위해 2005년부터 5년간 이어오고 있는 '한스타일(HAN STYLE)'의 정책과도 맞물리는 부분이다. 전통문화 콘텐츠의 생활화, 산업화, 세계화를 통해 고용과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가이미지를 높인다는 계획은 현재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국가적 문화 사업이 패션 사업과 어울려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정부의 계획에 대한 비판적 시선도 만만치 않다. 한 유명 디자이너는 "이미 패션의 흐름은 서구문화를 중심으로 흘러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패션 트렌드가 프랑스(파리컬렉션), 영국(런던컬렉션), 이탈리아(밀라노컬렉션), 미국(뉴욕컬렉션) 등으로 진행되는 패션쇼를 통해 견고하게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라며 "이 견고한 트렌트 시스템을 뚫기 위해선 5년이라는 시간이 결코 길지 않을 것이다. 패션의 차별화가 경쟁구도를 갖는 당면과제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밝혔듯 이미 패션은 문화이며 트렌드다. 이를 위해 패션 전문가들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의 문화유산, 생활양식, 가치관 등을 창조적으로 반영할 글로벌한 기획과 마케팅 능력을 갖추는 것도 중요한 숙제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강은영 기자 kiss@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