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장안문 76.5 x 30.5㎝ 한지에 다색목판 2006
무슨 연유에서 그러한 집념을 보였을까. 그것은 일종의 전투와 같은 양상이 아니었던가 싶다. 화가 김억은 수원 화성의 장안문을 비롯한 4대 문루, 장대, 공심돈, 포루와 각루 등을 그의 15편이 넘는 화성 연작 목판화들 속에 각인시켰다. 이는 스케치 답사 차원 아니라 엄밀한 정찰과 치열한 성곽 구조 분석 도상(圖上) 탐색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게 한다. 실은 그 이상의 투혼이 녹아있다. 아마도 정조 임금과 모친 혜경궁 홍씨의 행행(行幸), 정약용 같은 신도시 건설 전문가의 브리핑, 반차도 행렬을 따라온 신하들과 화원 화가의 역할 등 온갖 정보들을 수색하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역사적 문헌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를 충분히 실증하고 검증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 문헌은 1794년에서 1796년에 걸쳐 축조된 신도시 화성의 성역(城役) 과정을 세세히 알게 해주는 정밀하고 치밀한 내용이다. 성곽축조 담당 관청과 담당업무 내용을 꼼꼼히 밝히는 좌목(座目), 성곽 공사에 사용된 각종 부재(部材)와 기계, 도구 등을 자세하게 그린 도설(圖說) 등의 문서는 18세기 당시의 토건사업을 위해서만 유용했던 것이 아니었다. 이와 같은 '의궤(儀軌)'가 없었더라면 1975년부터 전개되기 시작한 화성 복원사업 자체가 불가능했음에 틀림없다. 성곽은 전혀 제대로 보존되지 못하고 있었으니 필자가 기억하던 팔달문만 해도 교통 혼잡의 팔달로 한 귀퉁이에 궁색하게 갇혀버린 형색이었으며 시민들이 호감을 표현할 방식이 없었다. 더구나 성곽 명칭마저도 그냥 '수원성'이라고만 했는데 본디 이름을 찾아주면서 전개된 '수원 화성' 되살리기 사업은 마침내 큰 결실을 거두지 않았던가.

1997년에 유네스코는 화성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에 이르렀는데 더욱 확인해보게 되는 것은 이 성곽으로 인해 수원시의 도시 환경이 어떻게 변모되고 각종 시민문화와 도시축제 행사들을 어찌 누려볼 수 있게 되었는가 하는 사실이다. 수원시는 화성 되살리기 경험을 바탕으로 삼아 에코시티의 꿈을 꾼다고 하는데 과연 그렇게 되기를 바라고 싶다.

화성은 성 안에 행궁을 지어놓을 뿐 아니라 장차 왕도 천도를 예상하여 축성되는 평지성의 도성이었다. 하지만 산성의 위용을 함께 갖추는데 장대, 포루, 각루 등의 군사시설 설치가 삼엄하다. 도시 연구자들에 의하면 한국전통건축으로 살펴도 돌연변이 양상이고 하물며 세계 건축으로 관찰해도 단연 특이한 도시계획이라 한다.

김억 목판화 '장안문'이 어느 시대 그림이냐 따질 필요는 없을 듯하다. 광장이 있고 육교가 놓이고 버스들이 지나다니고 있는데 이러한 근대 공간과 함께 전통 경관의 위엄은 성곽에 옹위된 화성 북문 장안문이 갈무리해놓는다. 두 경관이 서로 갈등하는가? 그렇지 않다. 유기적인 조화를 보이면서 도시의 풍경들을 부드럽게 받아들이고 함께 보살피려 한다. 행인들은 그림 속에 아니 보이지만, '이 곳 어디 걷고 싶지요?'하고 그림이 말을 붙여주고 있는 듯 싶다. 전통과 근대를 갈등 관계로 놓는 것은 정치 작문들인 경우가 많다.

화성 화홍문과 방화수류정 91.5x30.5㎝ 한지에 다색목판 2006
'화홍문과 방화수류정'은 본디 군사시설 용도로 설치된 것이었다. 수원천 북쪽의 5개 수문 위로 세운 건물이지만 화려한 무지개 다리를 가졌다 하여 '화홍문(華虹門)'이라 이름 붙이고, 원래는 동북각루(角樓)의 용도이지만 수원천에 피어나는 꽃들을 찾노라면 이와 더불어 버들도 돋아나고 있음을 보리라 하여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이라 작명했는데 이러한 문루와 누정을 김억 목판화로서 만나는 것은 행복하다. 이같은 시각(視覺), 미감(美感), 균질의 조화는 현장에서도 누려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 앗! 정말?… 몰랐던 '선수'남녀의 연애비법 엿보기
▶ 아니! 이런 짓도… 아나운서·MC 비화 엿보기
▶ 충격적인 방송·연예계… 더 적나라한 실상들
▶ MB와 측근들 줄줄이 비리 의혹… 이제 시작일 뿐?
▶ 말도 많더니… 이제부턴 박근혜 vs 안철수 '맞장'?
▶ 말도 많은 한미 FTA… 한국에 유리한 것이 있나?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