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성 교수
빈곤은 재생산된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에선'복지'가 새로운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중산층이 무너지고, 여기저기에서 먹고 살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쏟아지면서 표심을 잡기 위해 너도 나도 나서고 있다.

우리 사회는 1997년 말 경제 위기 이후 빈곤율이 대폭 상승했다. 사회 양극화가 심해지고, 사회적 불평 불만이 높아졌다.

김교성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사진)가 중앙대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 과정을 수료한 노혜진씨와 함께 '한국의 빈곤'(나눔의 집)이란 책을 출간했다. 빈곤 현상과 흐름을 짚어가고 있다. 소득 중심의 '빈곤' 개념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면서 보다 거시적이고 다차원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김 교수는 서문에서 '우리나라 (탈)빈곤 정책이 빈곤 계층의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빈곤 현상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빈곤 계층과 차상위계층의 규모가 정확하게 얼마나 되는지, 변화의 추이는 어떤지 추적 관찰하는 것이 선행돼야 실천 가능한 대안을 모색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 교수는 한국 사회의 빈곤 측정, 차상위계층, 빈곤 추이, 빈곤의 진입과 탈피, 지역 빈곤, 빈곤의 세대간 이전 등 다양한 현상과 전통적인 질문에 답한다. 또 박탈, 사회적 배제, 시간 빈곤, 실현 가능능력 등을 다양한 선진 통계기법을 사용해 새롭게 분석하고 있다.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해 빈곤 지형도 설명한다.

김 교수는 최근 자주 이야기되는 '보편적 복지'의 맥락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기본소득제도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외국의 사례를 소개하고, 이를 도입하기 위한 기본 방향도 제시하고 있다.

홍경준 성균관대 교수는 '한국의 빈곤'에 대해 "이 책은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논의를 균형감 있게 통합함으로써 한국 빈곤 연구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빈곤은 서구 사회의 개념과 대안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사회의 흐름과 가치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진단해야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두 저자는 그동안 개별적으로 진행해온 연구의 결과물을 수정 보완해 하나의 책으로 만들었다.



이창호기자 chang@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