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도처에 산재해 있는 간이역들이 한때 여행의 목적지로, 시의 소재로 또는 상업광고의 배경으로 바람을 탄 적이 있다. 큰 볼거리가 있어서라기 보다는 아스라한
추억을 회상하는 소재로 안성맞춤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추억을 회상하는 공간인 간이역에 시가 더해지면, 역은 다시 문화가 된다. <시가 있는 간이역>에서 시인 설태수가 노래한 중앙선 구둔역 모습. 600개가 넘는 우리나라 기차역 가운데 시의 배경으로, 여행의 소재로 한 번이라도 전문 시인의 시 작품에 등장하는 역은 150개쯤 된다. 일곱 해 가까운 세월 동안 <시가 있는 간이역>의 저자는 이들 시를 좇아 역을 찾았다. 꼭 산간 오지의 간이역이 아니더라도, 도심 한가운데 번듯이 자리잡은 역사도 빛 바랜 추억과 함께하면 마음 속 간이역이 되었다. 그는 시의 언어를 덮어 쓴 역을 다시금 평면적인 산문으로 조립하여 한 걸음 독자에게 친근히 다가가게 해본다는 의도에서 책을 펴냈다고 한다.

지상의 모든 역들이 문화가 될 수 있겠다는 희망도 그 작업 가운데서 더 굳건히 했다. 역은 '떠나 옴'과 '떠나 감'의 지정학적 좌표다. '가고 옴'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떠남'의 동질성은 불변이다. 떠남은 공간의 이동, 관계의 유탈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내가 움직이지 않았는데 상대가 변하는 것 또한 떠남의 양태가 된다.

이런 떠남의 형식 가운데 시간만큼 야멸찬 것은 없다. 시간은 모든 것을 변화시키고 이윽고 모든 것을 무화시킨다. 근근이 우리의 기억이, 흘러 가 버린 것, 변해 버린 것을 환원 혹은 복원시켜보려고 시간의 통로 속에서 안간힘을 쓰지만 부질없는 경우가 훨씬 많다.

역이 이런 안쓰러운 회억과 그 부질없음을 확인하는 공간으로 대체되는 것은 자연스럽다. 주안역은 인천광역시의 도심 역 중 하나이지만 시인의 회상과 과거 반추의 상관성으로 볼라치면 강원도 바닷가건 충청도 산골에 있건 별반 차이가 없다.

책에서 간이역은 단지 추억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전통적 농경사회의 몰락과 근대 산업사회 성립의 접합점에 철도가 있으며 철도가 새로운 문명의 도입과 이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은 누구나 아는 바다. 새로운 문명은 기존의 문명을 재빠르게 지우며 스스로 몸집을 불려 다가오는 새 문명의 먹잇감이 되게 마련이다. 숨가쁘게 움직이는 문명의 흐름이 간이역에 고스란히 묻어 있다.

이 책은 고산자(古山子)의 고행처럼, 중앙선 간현역부터 경부선 황간역까지 온몸으로 누비며 쓴 역과 시의 '대동여지도'라 할 만하다.

최학 지음. 서정시학. 1만3,000원.



홍성필기자 sphong@sp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