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 위 옥소대에서 굽어본 세연정.
불후의 명작 <어부사시사>의 산실

향리인 해남에 머물던 고산 윤선도(1587~1671)는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강화도로 향했으나 이듬해 1월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비통함을 참지 못한 그는 세상과 멀리하려고 제주도로 가던 도중 풍랑을 만나 보길도 대풍구미에 일시 정박한다. ‘대풍’이란 항해하기에 알맞은 바람을 기다린다는 뜻이고 ‘구미’란 바다가 뭍으로 휘어 들어온 작은 물굽이를 뜻한다.

바람이 잦기를 기다리던 고산은 보길도의 아름다운 자연에 매료되어 이곳에 눌러앉기로 결심한다. 그는 산줄기로 에워싸여 흡사 피어오르는 연꽃을 닮은 한 골짜기가 마음에 들어 부용동(芙蓉洞)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살아갈 터전을 마련한다. 25동의 건물과 정원, 연못 등을 꾸민 그는 이곳에서 남부럽지 않은 전원생활을 누리다가 1671년 낙서재에서 85세를 일기로 눈을 감는다.

고산은 보길도에서 풍류를 즐기면서 우리 문학사에 길이 남을 명작을 많이 남겼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1651년(효종 2년) 지은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여기서 어부를 漁夫가 아니라 漁父라고 쓴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어부(漁夫)가 직업적으로 고기를 잡는 사람을 뜻하는 반면, 어부(漁父)는 속세를 떠나 강호에서 은둔하면서 취미로 고기를 잡는 선비라는 뜻이다. 총 40수의 연시조 <어부사시사>에서 고산은 사계절에 걸친 어부의 생활과 자연 풍광을 통해 강호의 한가로운 정취를 노래했다.

연못에 배 띄우고 노래 부르고

연못과 정자가 어우러진 정취가 그윽하다.
고산과 어부사시사가 아니었더라면 보길도는 그저 평범한 섬에 불과했을지도 모른다. 이를 뒷받침하듯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고산 문학의 향기와 발자취를 더듬어보기 위해 보길도를 찾는다. 그리고 고산 가사문학의 산실인 세연정을 여행의 첫 번째 경로로 택하는 것이 관례처럼 굳어졌다.

넓이 3천여 평에 이르는 세연정은 계곡 물을 담은 계담(溪潭), 계담의 물을 끌어들인 연못인 회수담, 그 사이의 인공 섬에 위치한 정자인 세연정을 통틀어 일컫는다. 연못에는 자연석으로 꾸미고 나무를 심은 둥그런 섬이 앙증맞게 떠 있어 정취를 돋운다. 연못 바닥은 깨끗한 암반으로 되어 있고 수초가 무성한 가운데 일곱 개의 바위(칠암)가 놓여 있다.

물을 담기 위해 하류 쪽에 만든 길이 약 11미터, 높이 약 1미터, 너비 2.5미터의 판석보는 일명 굴뚝다리라고도 부른다. 보통 때는 돌다리로 쓰이다가 비가 많이 오면 폭포가 되어 일정한 수면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오입삼출(五入三出) 구조의 수입구도 고산의 기발한 착상이다. 막힘없이 흐르던 물은 다섯 갈래로 나뉘어 잠시 때를 기다리다가 다시 모여 머무른 뒤에 천천히 세 갈래로 흘러 나간다. 이는 계담의 물이 일정한 속도로 회수담으로 들어가도록 조절함으로써 연못을 잔잔하게 만드는 구실을 한다.

맑은 날이면 고산은 가솔들을 데리고 세연정을 찾았다고 한다. 연못에 작은 배를 띄우고 고산이 지은 시조로 노래를 부르게 했으며 관현악도 연주하게 했다. 무희들은 세연정 뒤의 동대와 서대 또는 동산 위 옥소대에 올라 음악에 맞춰 하늘하늘 춤을 추었고 그 몸놀림은 계담 위로 그림자처럼 비쳐 내렸다. 연못 가운데 바위에서 낚시도 즐겼고 인공 섬에 올라 연밥을 따기도 했다. 그러다 날이 저물면 사저인 낙서재로 돌아와 촛불을 밝히고 밤놀이를 했다. 이보다 더 호사스런 전원생활은 그 누구도 꿈꾸지 못했으리라.

부용동을 한눈에 굽어보는 동천석실

안산 중턱 벼랑에 올라앉은 동천석실.
이에 대한 비판의 소리도 만만치 않다. 타고난 천재성과 심미안, 대를 이어 내려온 엄청난 부를 바탕으로 그만의 이상향을 실현하는 데는 성공했을지 모르지만 초근목피로 연명하던 민초들에 대한 배려가 아쉬웠다는 것이다. 그러나 고산은 자신의 부를 사회에 환원할 줄도 알았다. 그는 빈민 구제를 위해 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내놓았다. 진도군 임회면과 보길도 북쪽 노화도에 사재를 털어 간척지를 개간해 주민들에게 무상으로 나누어주었던 것이다.

고산의 은밀한 산중 거실이었던 동천석실도 꼭 올라가보아야 한다. 동천(洞天)은 신선이 사는 곳, 하늘로 통하는 곳, 산천경개가 빼어난 곳 등을, 석실(石室)은 돌로 만든 방을 뜻한다. 고산은 이곳을 부용동 으뜸의 절승으로 꼽았다. 도로를 벗어나 다소 가파른 산길을 20분쯤 오르면 안산 중턱 벼랑에 올라앉은 동천석실에 이른다. 작은 누각 형태의 한 칸짜리 방으로 1993년 복원되었다. 바위틈에서 솟는 석간수를 받았던 석지와 연지, 다도를 즐기던 오목한 차바위, 암벽 사이로 난 돌층계 등 유적지도 볼 수 있고 바위틈에서는 석란이 자란다.

동천석실에 오르면 길게 뻗은 격자봉 산줄기 아래로 부용동 일원이 한눈에 굽어보인다. 고산은 조망이 일품인 이곳에 올라 책을 읽고 명상에 잠겼으며 차도 마셨다. 산 아래에서 이곳까지 도르래를 설치해 생필품을 실어 날랐다는 말도 전한다.

# 찾아가는 길

완도 화흥포항과 해남 땅끝에서 노화도 동천항 및 산양진항으로 가는 카페리 운항. 화흥포에서 1시간 남짓, 땅끝에서 약 50분 소요. 운항 횟수와 시간은 자주 변경되므로 문의할 것. 061-555-1010(화흥포), 061-535-4268(땅끝).

일명 굴뚝다리라고도 불리는 판석보.
노화도와 보길도를 잇는 보길대교가 2008년 개통되었으며 노화도 동천항과 보길도를 오가는 셔틀버스가 운행한다. 보길도에는 택시와 공영버스가 다닌다.

# 맛있는 집

보길도와 노화도에는 횟집이 많다. 싱싱한 생선회와 다양한 해산물도 좋지만 노화도 일원의 특산물인 전복을 놓칠 수 없다. 청정 해역에서 자란 참전복으로 요리한 전복회와 전복죽, 전복구이, 전복찜, 전복초, 전복볶음 등의 맛이 일품이다. 여러 집 가운데 보길도 청별항의 바위섬횟집(061-555-5612)과 황원포횟집(061-555-2776), 노화도 이포리의 수정횟집(061-553-5027) 등이 유명하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