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 돼지고기 널리 사용…이슬람은 금기고려ㆍ조선시대에도 돼지고기 이용 기록 나와한국 1970년대부터 삼겹살 우대 유별나'더두툼생고기' '성산왕갈비' '탐라돈' 등 명성

더두툼생고기
[황광해 음식칼럼니스트] 돼지를 뜻하는 한자는 둘이다. '돈(豚)' 혹은 '저(猪)'다. '돈'은 주로 기르는 돼지를 말한다. '저'는 주로 멧돼지, 야생돼지를 이른다. '돈'과 '저'를 혼용한다. '하돈(河豚)'은 물에 있는 돼지라는 뜻인데 복어가 화가 나면 배가 볼록하고 마치 돼지처럼 통통해진다고 붙인 이름이다.

안동 장씨 할머니의 <음식디미방>에는 돼지고기 요리법이 나온다. '가제육(家豬肉)' '야제육(野豬肉)'이라고 표현했다. '저'가 멧돼지라면 '가제육'은 멧돼지 새끼를 집에서 길렀다는 뜻인지 아니면 지금처럼 집돼지, 사육돼지가 따로 있었다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어쨌든 야생과 집에서 기른 고기와 조리법도 달랐음을 알 수 있다. <음식디미방>에는 개고기(狗肉, 구육)에 관해서는 10여 종류의 요리법이 나온다. 돼지고기 요리법은 2∼3가지에 불과하다. 돼지보다는 개고기가 보편적인, 상식(常食)의 음식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슬람 문화권에서 돼지고기를 금기시하는 것은 돼지가 너무 맛있는데다 사막지대가 많은 이슬람 문화권에서 물을 구하기 힘들어서라는 주장도 있다. 맛있는 고기를 먹는 사람들은 돈이 많거나 권력자들이다. 부유하고 힘센 사람들이 돼지고기를 찾으면 상대적으로 가난한 이들이 식량이 줄어든다. 그래서 종교상의 율법으로 돼지고기를 금했다는 게 문화인류학자들의 주장이다.

조선시대도 마찬가지. 돼지는 물을 많이 소비하는 동물이다. 피부에 물기가 있어야 하고 습한 곳을 즐긴다. 한반도 역시 건조한 기후 때문에 돼지 사육이 자유롭지 않았다. 더하여 돼지는 개, 소와는 달리 별도의 효용가치가 없다. 개는 집을 지키고 소는 논밭에서 일을 한다. 그러나 돼지는 오직 먹는 일만 한다. 굳이 돼지를 고집할 이유가 없다.

성산왕갈비
그렇다고 해서 한반도에서 돼지고기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돼지고기는 고려시대, 조선시대에도 꾸준히 나타난다. 제사에도 사용하고 민간에서도 먹는다.

<조선왕조실록> 태종 18년(1418년) 8월1일(음력)의 기록이다. 제목은 '원단 보사제를 행하다'이다. "(전략)이것이 하늘(天)에 제사지내는 것이니, 그 예(禮)가 작지 않습니다. (중략) 돼지(豚)가 살찌지 않으니, 거의 하늘을 섬기는 뜻이 없습니다."

보사제(報祀祭)는 기우제(祈雨祭)를 지낸 뒤 비가 오면 비온 3일 안에 천신(天神)의 은혜에 감사드리던 제사다. 이때 수퇘지를 사용했다. 위 인용문은 돼지가 살찌지 않았으니 하늘을 제대로 섬기지 못한다고 책망한다. 태종은 이 상소를 그대로 따르라고 명한다.

정조 때의 북학파 학자이자 관리였던 영재 유득공의 <서경잡절(西京雜絶>에도 "냉면과 찐 돼지고기(蒸豚, 熟肉, 수육) 값이 오르기 시작한다(冷麪蒸豚價始騰)"라는 표현이 나온다. 계절 상 돼지고기 값의 등락이 있었다는 뜻이다. 돼지고기가 일상적으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농촌의 현상은 아니고 도시(서경=평양)의 이야기다.

안동돼지갈비
냉면 테이크아웃을 이야기하면 늘 등장하는 것이 이유원의 <임하필기(林下筆記)>에 나오는 냉면과 돼지고기다. 열 살 무렵의 어린 순조가 즉위 초기, 군직에게 냉면이 먹고 싶다고 하자 궁중 밖에서 냉면을 사왔다. 이때 신하가 뭔가를 숨겼는데 바로 돼지고기였다. 어린 순조가 "저 사람은 따로 먹을 것이 있으니 냉면을 주지마라"고 했다는 내용이다. 18∼19세기에는 이미 돼지고기가 비교적 흔하게 유통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돼지고기 소비, 삼겹살 우대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다수설이다. 유럽에서는 삼겹살 부위를 베이컨 혹은 육류 가공품 만드는데 사용한다. 가격은 낮다. 한국 삼겹살 가격이 유럽, 남미 등에 비하여 5배 높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가격이야 어떻든 우리나라 사람들은 삼겹살을 좋아한다. 국내 식당들의 돼지고기 값은 삼겹살, 항정살, 목살, 갈비 등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한다.

맛있는 돼지고기는 도축 후에도 적절한 손질이 필요하다. 도축장에서 피 빼기를 하고 사후경직을 풀어낸다. 업소에는 적정한 온도에 5∼10일 정도 '후 숙성'시킨다. 김치냉장고나 와인냉장고 등을 이용해 숙성된 맛을 얻어낸다.

서울 시내 몇몇 돼지고기 맛집을 소개한다. 상일동 ''는 고기 전문가가 운영하는 집이다. 목살의 두께가 4.5cm 정도다. 무척 두꺼워서 주인이 일일이 손질해주기도 한다. 좋은 돼지고기를 구해서 잘 숙성시킨 고기다. 생고기도 좋지만 양념돼지갈비도 수준급이다. 고기 손질에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탐라돈
성산동의 ''는 돼지갈비가 주 종목이다. 돼지갈비는 뼈가 굵은 것이 비교적 맛있다. 4인분을 주문하면 굵은 뼈 부분을, 2∼3인분이면 비교적 가는 뼈가 나온다. 숙성이 잘된 고기라서 소금만 흩뿌려 구워도 맛있다.

목동 ''는 묵사발 등 곁들이는 음식들도 수준급이다. 시장 통의 어수선한 분위기지만 '짝퉁 희석식 소주'가 아니라 전통 방식의 증류 소주도 내놓는다. 고기도 수준급이다.

홍대 철길 입구의 ''은 젓갈로 유명해진 집이다. 원래 멸치젓갈을 사용하다가 최근 자리돔 젓갈로 바꿨다. 주인이 일일이 고기를 손질하여 내온다. 가격도 홍대임을 감안하면 싸다.



황광해 음식칼럼니스트 dasani8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