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에서는 오랜 서성거림이 즐겁다. 해변길을 거닐면 파도 소리 너머 고즈넉한 고택이 배경이 된다. 광활한 바다와 따뜻한 한옥이 대비를 이루는 반전은 강릉 선교장 나들이의 묘미다.

예부터 ‘동대문 밖 강릉’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강릉은 서울 동쪽으로 가장 번성한 고장이었다. 선교장은 그 윤택함에 기댄 강릉의 고택이다. 경포대앞 선교장은 영동지방 최고의 한옥으로 여겨지는 곳이다.

300여년 동안 원형이 보존된 사대부가의 전통가옥은 세종대왕의 형, 효령대군의 11대손인 이내번에 의해 처음 지어졌으며 10대에 걸쳐 증축됐다. 선교장은 123칸 규모의 살림집을 보존하고 있는데 민가의 법도인 99칸을 넘어서 국내 최대 규모 한옥이 됐다. 집안 곳곳 대문만 12개다. 꿈속 족제비가 점지해준 명당에 집을 지은 전설을 쫓아 아직도 이 일대의 족제비들은 영물로 대접받는다.

사연 가득한 영동 최고의 한옥

선교장은 가장 오래된 안채, 사랑채인 열화당, 서재로 활용하던 서별당의 건축양식이 각각 다르다. 마루가 높고 마당이 널찍한 열화당은 개화기때 서양문물의 영향을 받은 차양을 고스란히 남겨뒀다. 열화당에는 외부 손님이 끊이지 않았으며 동으로 된 차양은 구한말 이곳에 머물렀던 러시아 공사가 1815년 선물로 지어준 것이다. 열화당에는 ‘기쁘게 이야기하는 집’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선교장 사랑채로 들어서는 대문은 꽤 높은 솟을대문이다. 가마에서 내리지 않고 대문을 드나들수 있도록 만든 구조다. 솟을대문 위에는 ‘선교유거(仙橋幽居)’라고 적혀있는데 ‘신선이 머무는 그윽한 곳’이라는 의미로 조선말 서예가인 소남 이희수의 작품이다. 솟을대문 옆의 평대문은 여인과 아이들이 드나들도록 지었다.

선교장의 사랑채와 안채는 출입문이 분리돼 있다. 열화당, 활래정 등 손님맞이에는 넉넉하면서도 안채는 꼭꼭 숨겨 두었다. 안이 보이지 않도록 안채의 내벽, 외벽을 겹겹이 싼 구조는 문화재로 지정된 주된 이유였다.

추사 김정희도 즐겨찾던 활래정

선교장의 연못 옆 정자인 활래정은 경포호의 정자이자 선교장의 수려한 공간으로 사랑받는 곳이다. 추사 김정희, 흥선대원군 등 시인과 묵객들은 이곳에서 경포호를 바라보며 차 한잔 마시는 여유를 마다하지 않았다. 예전 선비들은 배로 만든 다리인 ‘선교’를 넘어 경포호에서 활래정을 드나들었다. 활래정의 기둥은 절반은 연못에, 절반은 마당에 걸쳐 있는 모양새다. 흡사 서울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을 닮았다. 선교장에서는 요즘도 차 한잔 기울이며 하룻밤 묵어가는 풍류가 가능하다. 언덕위 노송숲 산책 역시 수백년 고택 나들이의 호사스러움을 더한다.

강릉의 고고함은 고택 위에 이국적인 유물들이 덧씌워져 운치를 더한다. 강릉을 ‘커피 1번지’의 반열에 올린 데는 커피 박물관이 일조한다. 왕산면과 강문해변에 문을 연 커피박물관은 최초의 커피제국인 오스만튀르크의 커피, 평생 5만잔의 커피를 마셨다는 프랑스의 문학거장 발자크의 커피추출도구 등 7000여점의 커피 관련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세계 60여개국의 축음기, 오르골 등 축음기의 역사를 차곡차곡 담아낸 참소리축음기 박물관도 강릉 세월여행의 믿음직한 동반자다.

글ㆍ사진=서 진(여행칼럼니스트)

여행메모

▲가는길=서울~강릉간 KTX가 개통되며 강릉 가는 길이 빨라졌다. 서울역을 출발한 KTX는 평창, 진부를 경유해 강릉역까지는 두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다. 선교장까지 시내버스로 이동이 가능하다.

▲음식=초당순두부 마을에서는 고부순두부, 동화가든 등이 순두부 맛으로 소문난 곳이다. 강릉 교동반점은 매운 짬뽕 맛이 일품이다.

▲기타정보=경포대를 거쳐 북쪽으로 달리면 주문진이다. 강릉 주문진 해변은 드라마 ‘도깨비’의 배경이 된 이후 더욱 유명해졌다. 소돌아들바위공원이 있는 소돌 해변 일대에서 운치 있는 겨울 바다를 만끽할 수 있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