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문항 포구 정경.

전남 장흥에 찬바람이 불면 바다 별미가 쏟아질 때다. 키조개, 석화(굴), 키조개, 매생이 등은 장흥의 갯벌과 바다가 키워낸 보물들이다. 장흥 앞바다 득량만 일대의 풍요로운 갯벌은 맛좋은 패류들이 서식하는 자양분이다. 수문항 등에서 바라보면 보성, 고흥의 바닷가가 지척이다. 조갯살 한점 먹고 터전이 된 갯벌 한번 바라보면 향긋한 바다 내음이 입과 코에서 요동친다. 안양면 수문항과 여닫이해변은 키조개의 산지로 알려진 곳이다. 이 일대는 키조개 마을이라는 별칭까지 지녔다. 수문항 포구 한 가운데는 키조개 조각상이 들어서 있고 횟집들 역시 키조개 요리를 주메뉴로 내놓는다. 키조개는 크기부터 압권이다. 어른 얼굴만한 몸집에 쫄깃쫄깃한 조갯살이 한 가득이다.

수문항 키조개 조각상.

키조개, 한우, 표고버섯 ‘삼합’

키조개를 먹는 방법도 다양하다. 회로 먹고, 살짝 데쳐 먹고, 구이로 먹는다. 탕으로 맛보면 시원한 국물맛이 일품이며 부침개로 내놓기도 한다. 장흥 주민들은 예전부터 미역국에 고기 대신 키조개를 넣어 먹었다. 요즘도 깔끔한 국맛 내는 데는 키조개가 한 수 위라고 치켜세운다. 식당 주인들은 살짝 데쳐 먹을 때 키조개의 식감이 가장 좋다고 권한다. 장흥의 바다 별미들은 온전히 하나의 모양새로 그치지 않는다. 다른 특산물과 조화를 이뤄 한결 더 풍성한 맛을 만들어낸다. 키조개 역시 읍내로 들어서면 다른 모습으로 재등장한다. 장흥에 가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장흥삼합이다. “장흥에 놀러가 삼합을 못 먹으면 푸대접받은 것”이라는 속설이 있을 정도다. 이곳에서는 독특하게 키조개, 한우, 표고버섯이 삼합을 이룬다. 장흥은 해산물만큼이나 한우로도 명성 높은 곳이다. 장터에는 정육식당들이 즐비하다. 표고버섯은 전국 생산량의 1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장흥의 대표 특산품이다.

보림사.

담백한 굴구이에 낙지국밥

장흥의 겨울 포구를 빛내는 조연은 석화(굴)다. 소등섬이 있는 남포 일대가 자연산 굴로 명성 높다면 관산읍 죽청해변은 종패를 넣어 키운 양식 굴구이 집들이 늘어서 있다. 자연산 굴은 12월을 넘어서야 모습을 드러내지만 양식 굴은 11월 중순 이후 쏟아지기 시작한다. 장흥 굴은 한 솥 가득 쪄먹어도 담백한 맛을 낸다. 또 겨울이면 본격적으로 얼굴을 내밀기 시작하는게 매생이다. 매생이는 칼국수, 전으로도 먹지만 국으로 먹어야 본연의 맛을 낸다. 매생이국에는 장흥의 석화를 넣거나 돼지고기 등심살만 볶아 넣기도 한다. 건더기는 미지근하고 신선하며, 국물은 뜨거워야 제대로 된 매생이국이다. 정남진장흥토요시장은 온갖 먹을거리들이 쏟아지는 곳이다. 토요시장의 숨은 먹을거리는 낙지다. 영암, 무안이 낙지로 유명하지만 차진 갯벌을 간직한 장흥의 바다에서 건진 쫄깃쫄깃한 낙지는 무안 등지로 팔려가기도 한다. 장터에서 맛보는 낙지국밥 역시 놓치기 아까운 별미다. 토요일 외에도 매 끝자리 2, 7일 오일장이 들어서는 날이면 한우 식당과 국밥집이 북적거린다. 최근에는 다문화거리 외에 젊은 층을 겨냥한 커피전문점들도 들어서 옛것, 새것이 어우러진 훈훈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글^사진=서 진(여행칼럼니스트)

<여행메모>

▲가는 길=서울 센트럴터미널에서 장흥까지 고속버스가 오간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남해고속도로 장흥IC로 빠져 나온다. ▲숙소=겨울 숲속에서 호젓한 하룻밤을 보낼 수 있다. 천관산 자연휴양림, 유치자연휴양림 등이 마련돼 있으며 편백숲 우드랜드도 생태체험 펜션을 갖추고 있다. ▲기타 정보=장흥의 제1경으로 꼽는 사찰은 유치면 보림사다. 신라시대 창건한 보림사는 우리나라에 선종이 처음 정착한 곳으로 경내에는 보림사 3층 석탑,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의 국보와 다수의 보물이 간직돼 있다. 억불산 자락에 위치한 정남진천문과학관은 겨울 별자리 관람에 좋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