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노화·색소침착의 원인… 자외선 차단제 반드시 발라야

요즘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희고 깨끗한 피부에 대한 열망이 거세다. 탱탱하고 풋풋한 피부의 20대 젊은이들조차 더 어리게 보이려고 고심한다. ‘동안(童顔) 신드롬’ 탓이다.

하지만 아름다운 피부 가꾸기는 여름철 피부관리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각종 피부 질환과 트러블 발생의 주범인 자외선에 과다 노출되는 것은 피부 노화의 지름길이다.

낮 최고 기온이 30도 안팎을 오르내리며 땡볕 여름을 예고하는 지금, 피부를 괴롭히는 질환은 무엇이며 대처방안은 무엇인지 미리 알아보자.

자외선 경계경보, 각종 피부병의 주범

여름철 피부관리의 주적은 자외선이다. 햇빛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자외선은 화상(火傷)을 입힐 뿐만 아니라 피부 색소침착과 노화를 촉진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자외선은 보통 A, B, C로 나뉜다. 자외선B는 색소세포인 멜라닌세포의 생성을 촉진하여 색소침착을 유발하는 작용을 한다. 상대적으로 긴 파장의 자외선A는 피부 깊숙이 진피층까지 도달하여 콜라겐이나 탄력섬유에 손상을 주어 피부를 빨리 늙게 만든다.

자외선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가장 강렬하며 이때에는 되도록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부득이할 경우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게 필요하다. 차단제는 자외선A와 B 모두를 막을 수 있는 제품을 쓰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자외선 차단 정도를 나타내는 SPF(자외선B)와 PA(자외선A) 두 종류의 지수가 모두 표시된 제품을 골라 써야 한다.

또한 차단제는 많이 바를수록 효과가 높다. 미국 FDA의 기준을 충족하려면 떡칠하듯 흠뻑 발라야 하지만 실제로 그대로 따르기는 힘들기 때문에 2~3시간마다 덧바르면 된다.

실내의 햇빛도 안심하면 안 된다. 파장이 긴 자외선A는 창문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실내든 실외든 햇빛을 직접 내리쬐는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무더위에 기승을 부리는 곰팡이 질환

무더위로 습도가 높아지고 땀을 많이 흘리면 곰팡이 등 각종 세균이 들끓기 마련. 땀은 자체로는 문제가 안 되지만 2차적으로 일어나는 세균감염이 각종 피부질환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곰팡이 질환으로는 어린이의 경우 농가진, 성인은 무좀, 어루래기가 대표적이다.

농가진 증상은 코 주위에 딱지가 앉거나 진물이 흐르는 것인데, 대부분 연쇄상구균과 포도상구균이 원인이다.

연쇄상구균이 원인일 경우 환자의 2~3% 정도는 신우신염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신우신염은 신장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병으로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성인을 괴롭히는 곰팡이 질환으로는 완선과 어루래기를 손꼽을 수 있다. 남성들에 흔한 완선은 사타구니가 붉어지면서 각질이 일어나고 가려움을 동반하는 질환. 사타구니 습진이라고도 한다.

전풍으로도 불리는 어루래기는 남녀를 가리지 않는다. 몸 여기저기 갈색 반점들이 생겨나는 증상으로, 반점을 긁으면 껍질이 생기고 바닷가 등 야외에서 일광욕을 하고 나면 자외선이 단단해진 부위를 통과하지 못해 곳곳이 허옇게 변색되어 보기 흉하게 될 수가 있다.

수분이 많은 습한 곳에서 잘 번식하는 곰팡이 균의 감염을 막으려면 몸을 자주 씻고 샤워 후에는 드라이나 마른 수건 등으로 물기를 곧바로 말리는 것이 좋다. 증상이 심한 경우라도 항생제 등 연고를 바르면 대부분 좋아진다.

풀에 닿거나 벌레에 물린 접촉피부염

신체 노출이 잦아지면 접촉피부염도 조심해야 한다. 최근엔 해외여행 중 스킨스쿠버나 스노클링 등을 즐기다가 해파리에 쏘이거나 산호초를 만져 접촉피부염이 생겼다고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해파리에 쏘인 경우 대부분 따끔하다가 증상이 금세 없어지지만 피부 속에 가시 같은 이물질이 남아 증상이 오래 가는 경우엔 염증 치료 연고를 바르면 이내 가라앉는다.

등산 등 야외활동 중 벌레에 물린 경우에는 암모니아액이나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면 좋아진다.

벌 등에 심하게 쏘인 경우 살갗뿐만 아니라 내부 장기까지 부풀어 오르는 일이 간혹 발생한다. 이럴 때는 기도가 좁아져 호흡곤란 증상이나 쇼크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지체없이 병원 응급실로 가야 한다.

자외선 주의보… 피부암·검버섯 원흉

얼마 전 대한피부과학회가 '자외선 주의보'를 발령했다.

전국 20개 대학병원을 찾은 1만9,3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피부암은 1995년 777명에서 2005년 1,712명으로, 검버섯은 2,388명에서 4,621명으로 10년 새 각각 두 배 늘었다는 것.

평균 수명 연장에 따라 자외선 노출량이 많아지면서 피부과 질환 발생이 덩달아 급증했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 햇빛을 오래 쬐면 얼굴에 잡티등 피부노화를 부르게 된다. 치료 전후 모습.

피부암은 기저상피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악성흑색종 등 크게 세 종류가 있다., 기저상피세포암의 80%, 편평상피세포암의 60%가 얼굴 부위에 생겨난다. 그것은 햇빛, 즉 자외선과 관계가 있다는 방증이다.

기저상피세포암은 암 전이가 잘 안 되는 반면에 그렇지 않은 편평상피세포암은 위험하다.

햇빛에 의한 편평상피세포암은 대부분 얼굴에서 까칠까칠한 응어리가 만져지는 광선각화증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서 조직검사를 받아야 한다. 광선각화증 중 15~20% 정도는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전암 단계이기 때문이다.

외국의 조사 보고에 따르면, 어릴 적 일광 화상을 입은 횟수가 많을수록 나중에 커서 피부암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통계도 있다.

자외선 노출 피해는 평생 동안 축적되는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릿빛 피부를 갖고 싶은 욕망에 태닝을 하는 것은 암을 기르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태닝은 각종 피부병의 발생 원인이 되는 자외선A를 많이 흡수하여 피부를 태우는 것으로, 그야말로 암도 함께 흡수하는 꼴이기 때문이다.

도움말 = 신촌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이문걸 교수
에스앤유 피부과 김방순 원장



송강섭 차장 special@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