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새로운 대안’ 北 수용…싱가포르 회담시 김정은 안전 中 역할 전망

북미정상회담 6월 열려, 1회론 부족…최종 회담 ‘판문점’개최 가능성 커

조선중앙통신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을 접견했다고 10일 보도했다.(연합)

북미정상회담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우선 시기와 장소와 관련해 6월 말 이내, 싱가포르에서 1차 회담이 개최될 것으로 전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입장에선 독립기념일인 7월 4일 이전에 북미정상회담을 열어야 하고, 5월 개최는 사실상 불가능해 ‘시기’는 6월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북핵 문제는 한차례 정상회담으로 해결될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1차 회담은 판문점과 같은 극적인 장소보다 북ㆍ미 정상의 만남 자체에 의미가 있고, 경호와 안전성 등의 조건이 갖춰진 곳이어야 하므로 싱가포르가 적합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4월 27일 다음날, 워싱턴에서 열린 유세 집회에서 “내 생각에는 북한과의 회동이 오는 3~4주 내에 열릴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혀 5월 개최설을 시사했다.

그러나 5월 개최는 미국과 북한 모두 사전 준비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 5월 22일 한미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어 곧바로 북미정상회담을 여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 미국의 독립기념일인 7월 4일 이전에 북미정상회담이 열려야 하므로 6월 개최가 불가피하다.

회담 장소와 관련해선 여러 곳이 거론돼왔고, 트럼프 대통령이 몇차례 말을 바꿔 혼란이 있었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근 행보를 고려할 때 싱가포르가 유력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 11시20분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문 대통령에게 "북미회담 장소와 시간을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고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전했다.(연합)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 개최 장소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자 가장 먼저 “워싱턴은 아니다”라고 선을 긋고, 차츰 5곳→2곳 순으로 후보지가 압축됐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정상회담 개최지로 싱가포르, 몽골 울란바토르, 스위스 제네바, 스웨덴 스톡홀름, 괌 등이 후보지로 떠올랐고 싱가포르, 몽골 울란바토르가 유력하게 거론된 가운데 백악관에선 싱가포르에 비중을 뒀다.

하지만 북한 입장에선 김정은 위원장의 신변 안전 문제 등으로 싱가포르가 정상회담 장소로 적합치 않다. 더구나 핵보유 입장을 고수하며 북미정상회담의 주도권을 쥔 북한이 정상회담 장소와 관련해 미국을 따를 이유가 없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30일(현지시간) 판문점을 후보지로 직접 거명하면서 판문점 개최설이 급부상했다. 그는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제3국이 아닌 그곳(판문점)에서 하는 게 엄청난 기념행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위터에서 “많은 나라가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검토되고 있다”며 “하지만 남북한 접경 지역인 (판문점 내) 평화의 집ㆍ자유의 집이 제3국보다 더 대표성을 띠고 중요하며 지속가능한 장소일까? 한번 물어본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평양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나는 날 각료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는 시기를 정했고 회담 장소를 정했다”면서 한때 회담 장소로 직접 거론했던 비무장지대(DMZ) 내 판문점에 대해서는 “거기는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싱가포르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처음 대좌할 장소로 떠올랐다. 외교가와 미국 언론들도 싱가포르를 정상회담 개최지로 기정사실화했다.

하지만 북미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는 북핵 문제의 주도권을 쥔 북한에 달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가 결정됐다고 여러차례 언급하면서도 공표하지 못한 것은 북한이 입장을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미정상회담을 둘러싼 미국과 북한의 힘겨루기는 김정은 위원장이 7,8일 전격 중국을 방문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7일부터 이틀간 중국 다롄(大連)을 방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8일 다롄 동쪽 외곽 해변에서 만나 담소를 나누고 있다. (연합)
김 위원장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기존 핵은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핵보유 입장을 재천명했다. 베이징의 대북 소식통은 “시진핑 주석은 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통해 북한이 핵에 대해 종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는 것을 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음날인 9일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평양을 방문해 김 위원장과 만나 북핵에 관한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고, 북한은 긍정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북한은 북미정상회담 장소로 싱가포르도 무방하다는 입장을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데는 북한이 미국으로부터 ‘선물’(새로운 대안)을 받은데다 중국이 김정은의 신변 안전에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을 약속했기 때문이라는 게 베이징 소식통의 전언이다.

북한 사정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싱가포르 회담에서 모든 게 결정될 순 없고, 몇차례 더 열릴 수 있다”며 “최종 북미정상회담은 판문점에서 개최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그는 “실질적인 비핵화가 되려면 한반도 안에서 이뤄져야 하고,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극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탄핵 위기에 처한 트럼프 대통령에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11월 미국 중간선거 전에 북미 정상 간 판문점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박종진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