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통일부 국감에서는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방사능 유출과 관련된 공방이 이어졌다. 이날 정병국 바른미래당 의원의 ‘(풍계리 핵실험장 소재지인) 길주군 및 인근 출신 탈북민들에 대한 피폭검사 결과를 통일부가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질문에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결과를) 비공개한 적이 없다”고 반론했다. 김 장관은 “원자력의학원의 결론에 따르면 몇 가지 이상 수치를 보인 사람이 5명 정도 되는데 그 중 한 명은 방사선 치료와 관련돼 있다고 이야기를 하고 다른 4명도 방사능 피폭과의 연관성을 밝히기 어렵다는 것”이라며 “건강검진에서도 질환이 방사선 피폭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어려웠다는 것이 결론이었다”고 덧붙였다.

정병국 바른미래당 의원이 김연철 통일부 장관에게 질의하고 있는 모습. 연합

김 장관은 “지하 핵실험의 경우 방사능 유출을 우리가 합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느냐는 것”이라며 “지하 핵실험을 하면 5000~1억도 정도의 열이 발생하고 열이 식는 과정에서 고체가 되는데 그 고체가 어떻게 지하수로 침투할 수 있다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김 장관은 풍계리와 동일한 형태의 핵실험장인 카자흐스탄의 연구결과를 들며 “공기 중 방사능 유출에 대해서는 대기 중 실험 등과 지하 실험은 차이가 있다”며 “반감기를 고려했을 때 그 위험성에 대한 주장이라는 것이 어느 정도 합리적인지는 매우 의문이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참고인으로 나온 석윤열 교수와의 질의응답을 근거로 김 장관의 의견을 반박했다. 석 교수는 “북한의 6차 핵실험은 수소폭탄급이었다”며 “(고체화는) 얌전하게 녹았다가 굳는 게 아니라 속이 무너지게 돼 있고 그러면 녹기 전에 부서진다”며 “풍화작용 이전에 지하수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지하 핵실험실을 콘크리트로 막고 새롭게 구축해야 방사능 유출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통일부는 지난해 진행된 길주군 탈북민을 대상으로 한 2차 피폭 검사에서 5·6차 핵실험 당시 인근에 거주했던 탈북민 2명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피폭된 탈북민은 풍계리 실험과 연관이 있는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천현빈 기자



천현빈 기자 dynamic@hankoo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