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5년까지 전기차 27만대·충전기 20만기 달성

오세훈 서울시장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제로화하는 탄소중립도시를 목표로 ‘전기차 대중화’를 공약으로 제시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주간한국 송철호 기자] 세계 곳곳에서 홍수와 가뭄, 폭염으로 인한 산불까지 다양한 기후위기 관련 징후가 발생하고 있다. 결국 세계 주요 국가들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기후위기 대응은 전 지구적 과제가 된 상황이다. 지난 4월 보궐선거로 당선된 오세훈 서울시장 역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제로화하는 탄소중립도시를 목표로 ‘전기차 대중화’를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에 서울시는 서울지역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19.2%(2018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는 수송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발 벗고 나섰다.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전기차를 2025년까지 27만대 보급해 전기차 시대를 앞당긴다는 것이다. 전기차 보급과 함께 충전기도 20만기 설치할 계획이다.

전기차 비율 2025년까지 6.6% 수준 상향

올해 하반기에 국내 친환경차도 100만 대 시대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내 자동차업계는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경쟁력과 공급 능력에 힘입어 친환경차 생산을 증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도 2025년쯤에 전기차만 100만 대 이상을 판매할 계획이며 내연기관차 개발은 2030년부터 중단할 예정이다.

자동차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 자동차업계도 상당히 적극적으로 전 세계적인 친환경차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면서 “이미 거대 시장을 내부적으로 가지고 있는 미국, 유럽, 중국 등의 친환경차 정책 방향이 구체화되면 지금과는 또 다른 대응능력이 발휘돼야 생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제도시 서울시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우선 전기차 대중화에 박차를 가한다. 전기차는 엔진이 없이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이다. 화석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무공해 차량으로 이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2025년까지 전기차 총 27만대를 보급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차종별로는 ▲승용 17만 5000대 ▲화물 1만 9000대 ▲택시 1만 대 ▲버스 3500대(마을버스 490대 포함) ▲이륜차 6만 2000대다. 승용차 외에 대중교통, 배달용 이륜차, 택배용 화물차 보급에도 집중하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 7월 기준 전기차 등록대수는 2만 9300여대로 전체 서울시 차량등록 317만 대의 0.9% 수준에 불과하다”며 “2025년까지 전기차 21만 대(전기이륜차 제외)를 보급할 경우 전기차 비율이 6.6% 수준으로 상향된다”고 설명했다.

주행거리 긴 택시, 시내버스, 택배용 화물차 집중 보급

기본적으로 다양한 신차 출시와 함께 1회 충전거리 등 전기차 성능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전기 승용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서울시는 전기 승용차를 매년 약 50% 수준으로 대폭 늘려 2025년까지 총 17만 5000대를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택시의 경우 주행거리가 길어 일반 승용차에 비해 온실가스를 13배 이상 다량 배출하는 차량으로 전기차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서울시는 2025년까지 서울시 전체 택시의 약 15%인 1만 대를 전기택시로 전환할 계획이다. 개인택시는 부제 해제에 따른 수요 급증에 대응해 보급물량을 대폭 확대(2021년 630대→2022년 2000대), 전기택시로의 전환을 유도할 계획이다. 충전문제로 전기차로의 전환이 미흡했던 법인택시는 충전 인프라를 택시차고지에 함께 보급해 택시 전동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또 2025년까지 시내버스 총 3500대를 보급해 서울시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40% 이상을 전기버스로 전환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시내버스는 무공해차 구매를 의무화해 노후 버스(9~10년 이상)를 전기버스로 우선 전환하고 있다. 향후에는 시내버스뿐만 아니라 종교시설 버스, 회사 통근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전기버스 보급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배달수요 증가로 이륜차 수요에 대응할 필요성도 생겼다. 이에 서울시는 2025년까지 6만 2000대의 전기이륜차를 보급할 계획이다. 또 화물차도 2025년까지 1만 9000대를 보급할 계획이며 이 중 주행거리가 길고 시민 생활과 밀접한 택배용 화물차를 집중 보급할 예정이다.

이 밖에 어린이 통학버스의 경우 현재 다양한 모델의 어린이 통학차량이 출시되지 않은 상황으로 서울시는 보조금 지원을 통해 수요를 창출함으로써 다양한 어린이 통학버스 모델이 개발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올해 시범보급 20대를 시작으로 점차 확대해 2023년부터는 신규 등록 어린이 통학차량 100%가 전기차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보조금 정책 벗어나 ‘도보 5분 거리 충전망’ 구축

전기차 시대를 조기에 맞이하기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 개선이 시급하다. 서울시가 지난해 8월 진행한 서울시민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기차 구입 장애요인으로 충전소 부족(41.7%)과 충전속도(19.0%) 등 충전 관련 장애요인이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시는 기존 전기차 보조금 위주 정책에서 벗어나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충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2025년까지 급속충전기 5000기, 완속충전기 19만 5000기 등 총 20만 기 충전기를 보급해 생활주변 ‘도보 5분 거리 충전망’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전기차 50만 대 충전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7월까지 서울시 전기차는 2만 9300여 대로 서울지역 자동차 등록대수 317만 대의 0.9%에 해당한다. 운영 중인 충전기는 8407기(급속 1252기, 완속 7155기)로 전기차 약 5만 4000대를 충전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충전기 보급은 유형별, 설치 장소별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전기차 충전 사각지대를 없애고 언제 어디서나 충전 가능한 생활 충전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추진된다”며 “전기차 이용자의 충전패턴과 충전수요를 고려해 주요 교통거점 및 공공장소에는 급속 충전기를 집중 보급하고 주거시설과 업무시설에는 완속 및 콘센트형 충전기 등을 보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서울시는 전기차 충전기 확충을 위해 환경부, 한국전력공사 등 유관기관과 전기차 제조사 및 충전사업자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특히 민관 역할 분담 및 기관별 선택과 집중 전략을 마련해 효율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촘촘한 충전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송철호 기자 song@hankoo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