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활 소망하는 여심의 표출, 노출패션으로 우울한 일상 뒤집기

[패션] 미니스커트의 유혹은 계속된다
경기 부활 소망하는 여심의 표출, 노출패션으로 우울한 일상 뒤집기

미니스커트의 열기가 식을 줄을 모른다. 노출 패션의 상징처럼 유행한 것도 모자라 벌써 두 번째 겨울, 여성들은 미니스커트의 또 다른 유혹에 시달리고 있다. ‘불황표 히트 상품’이라는 꼬리표가 붙어 있기는 하지만, 미니스커트 인기의 장기전 돌입에는 분명 이유가 있다.

미니스커트의 경제학
지난해 여성복의 대히트 상품은 미니스커트였다. 10대~20대 초반을 겨냥한 영 캐주얼 여성복에서는 미니스커트가 전체 매출의 30%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판매량도 30~40% 정도 늘어났다고 한다. 덩달아 무릎 길이 스타킹의 판매량도 80%가 늘어났다.

2년 전 겨울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미니스커트가 다양한 소재와 디자인으로 여심을 사로 잡더니 지난해 10월부터 큰 폭의 매출 신장을 기록하고 한겨울 추위에도 강자로 등극했다. 미니스커트의 유행은 다른 복종에도 큰 영향력을 미쳤다. 재킷과 코트의 길이가 짧아졌고 드러난 다리를 찬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부츠와 긴 양말의 인기도 단연 최고조다. 성형외과에도 매끈한 각선미를 위한 상담이 노출의 계절 여름 못지않게 늘었다는 소식도 있다.

미니스커트의 유행을 경기와 연결해 불황과 여성들의 치마 길이 운운하는 언론 보도가 심심치 않았다. 그런데 단순히 미니스커트의 유행을 불황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까?

패션과 경제의 상관관계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속설이 ‘경기불황 = 미니스커트’다. 그러나 실제 경제학자들은 이 속설에 정반대의 결과를 내놓았다. 미국의 경제학자 마브리(Mabry)는 1971년 뉴욕 증시와 경기와의 상관 관계를 연구하면서 경기 호황이던 60년대에는 여성들이 무릎 길이 치마를 입어 다리를 드러냈고, 오일 쇼크 등 불황이 지속됐던 70년대에는 긴 치마를 입었다는 반대 사례를 들었다. 마브리의 주장을 내놓지 않더라도 역사적으로 불경기에는 오히려 치마를 길게 입었었다.

1920년대 풍요로운 재즈의 시대, 패션의 역사상 최초로 여성에게 무릎을 내놓는 짧은 치마를 입었지만 1930년대 세계 대공황 시기에는 치마 길이가 종아리 아래로 내려갔다. 증시에서도 여성들의 스커트 길이와 주가 변동을 예측하려는 바람에 증권가에는 ‘치마 길이가 짧아지면 주가가 오른다’는 ‘치마 길이 이론(Skirt-length Theory)’이 있는데, 여기서 미니스커트는 상승 효과의 깃대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악의 경제 위기 상황이었던 IMF 관리체제 당시 국내 패션은 무채색 계열의 단순한 선으로 된 미니멀리즘 스타일이 유행했다. 소비 심리가 경기와 동반 하락해 옷차림이 어두워지고 무거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미니스커트의 인기는 단순한 불황의 여파로 보기만은 어렵다.

불황과 미니스커트 유행의 속설에는 여성들이 경기가 나빠지면 초라해 보이지 않기 위해 되도록이면 짧고 도발적인 옷차림을 시도한다는 의견도 있다. 옷에 투자할 여유가 없을수록 튀는 옷가지를 구입한다는 심리 작용으로 불황일수록 여성들이 미니스커트를 찾는다는 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져 스커트의 디자인도 간편해지고 짧아진 만큼 경기 변동과는 무관하다는 설도 있고, 미니스커트의 유행 자체가 경기나 사회와는 상관없이 20년마다 주기적으로 온다는 분석도 있다. 1960년대 미니스커트가 태동한 이후로 1980년대 유행을 거쳐 2000년에 미니스커트 유행이 돌아온다는 것이다. 그러면 다음에 미니스커트를 입으려면 2020년까지 기다려야 하나?

젊음의 표상, 미니스커트
패션의 역사상 가장 극적인 등장으로 기록된 미니스커트는 1960년대 중반 영국에서 탄생했다. 제 2차 세계대전의 어둠을 딛고 아폴로 우주선이 달에 착륙하는 등 눈부신 과학 문명의 발전을 경험했던 때였다. 패션은 파리의 고상함 대신 런던의 실험성에 주목한다. 부모의 경제적 해택을 고스란히 받게 된 젊은이들은 스스로 옷을 골라 입기 시작했고, 영국 디자이너 마리 퀀트가 디자인한 미니스커트는 새로운 것을 갈망하던 전 세계의 젊은이들을 사로잡았다.

1965년 마리 콴트(Mary Quant)에 의해 탄생한 미니스커트는 젊은이들에게는 계급 사회에 대한 반항과 노출의 고정 관념을 탈피한 새로움이었지만, 다리를 외설적인 것으로 여겨 피아노 다리에도 양말을 신겼던 보수주의자들에게 논란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스커트 길이는 점점 더 짧아졌고 미니가 잘 어울렸던 깡마른 모델 ‘트위기’를 따라하기 위해 여성들은 혹독한 다이어트를 감행했다. 10대 모델 트위기는 167센티미터에 40킬로그램, 허리둘레가 22인치에 불과했던 말라깽이로, 사회 문제로까지 비화된 소녀들의 심각한 다이어트를 유발한 주범이었다.

60년대 미니스커트를 한국에 들여온 것은 가수 윤복희였다. 67년 윤복희가 미니스커트 차림으로 미국에서 귀국하는 장면이 방송되면서 그녀의 상큼한 초미니스커트 차림에 한국 여성들은 자신감을 갖게 된다. 미니 열풍이 전국을 휩쓸기 시작하자 매스컴은 무릎위로 올라 간 치마 길이를 가지고 심심찮게 공방전을 펼쳤다. 미니스커트는 그 때 까지의 지배적 여성관이었던 ‘조신함’을 파괴하는 차림이었기에 때문이었다.

68년 12월 한국 최초의 패션전문지 ‘의상’의 창간호에는 가수 윤복희의 미니스커트 차림이 표지로 장식됐다. 이 잡지의 기사 중에는 ‘미니가 좋다!’는 타이틀로 젊은 여성들의 패션 의식에 대한 좌담회를 제재, 미니스커트가 미친 사회적인 반향을 엿보게 한다. 이후 무릎 위 5센티미터에서 시작된 미니스커트는 점점 더 짧아졌고 대담해졌다. 무릎 위 30센티미터까지 올라가 ‘마이크로 미니’라는 이름까지 붙여졌고, 이를 풍속 사범으로 간주한 경찰이 거리에서 자를 들고 여성의 치마 길이를 재고 단속하는 웃지 못 할 사건도 만들었다.

미니스커트가 경제와 사회 전반의 변화와 개혁을 주도한 것은 사실이다. 많은 옷 가운데 미니스커트에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마지막으로 드러난 여성의 속살이 ‘다리’였기 때문이었으리라. 여성패션에서 다리 전체의 노출에 앞서 발목을 드러내는 데도 1,000년이 걸렸다. 19세기까지 치렁치렁한 긴치마를 입었던 여성들에게 발목이 보이는 것만으로도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마리 콴트의 미니스커트는 다리를 드러내는 획기적인 패션이었지만 성적인 매력과는 거리가 멀었다. 작은 체구의 모델 ‘트위기’를 앞세운 미니스커트는 미완성인 ‘소녀’의 이미지로 섹시함과는 거리가 멀었던, 섹시함을 부담스럽게 생각한 젊은 여성들을 사로잡을 수 있었다. 오드리 햅번의 숏컷과 사브리나 팬츠가 순진무구함으로 막강한 힘을 발휘한 것처럼.

최근 다시 찾아 온 미니스커트의 유행도 섹스 어필이 아닌 건강함과 발랄한 젊음으로 평가된다. 대표적인 젊음의 표상인 청바지가 모든 연령대가 소화하는 패션 아이템이 된 반면, 미니스커트는 아직까지 젊은 여성들의 소유물이다. 10대와 20대 여성들이 미니스커트에 열광하는 동안 30대 이상의 여성들은 우아하고 조신한 옷차림을 선호하고 있다. 똑같은 복고풍에도 고전과 혁신이 공존하는 다원화된 유행의 이중성을 확인하는 순간이다.

패션은 사회 전반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미니스커트 = 경기 호황’의 공식을 빌리자면 희망적인 미래를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겨울 패션의 유행을 불황 때문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 다만, 경제가 하루 빨리 나아지기를 소망하는 ‘미니스커트표’ 경제 지표의 공식이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박세은 패션칼럼니스트


입력시간 : 2005-01-12 13:27


박세은 패션칼럼니스트 suzanpark@dreamw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