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 100주년·미국 독립기념일 등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겸 공산당 총서기. (사진=연합뉴스 제공)
중국이 미국과의 갈등에서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과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을 맞아 양국 간 갈등은 여전히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북한은 여전히 중국과 밀착하고 있어 향후 북미 비핵화 협상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겸 공산당 총서기는 지난 1일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을 맞아 “중화민족이 당하는 시대는 끝났다”고 대내외에 공언했다. 대만, 홍콩 등에 대한 압박과 중국 내 인권 문제를 놓고 미국을 필두로 한 서구 국가의 견제에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이었다.역사적인 중국공산당 100주년 행사였던 만큼 강력한 메시지가 나올 것이라는 예상 이상의 발언이었다.

시 주석은 “중국 인민이 일어서고 있으며 중화민족이 지배당하고 괴롭힘을 당하는 시대는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시 주석은 “중국 인민은 다른 나라를 괴롭히거나 압박하며 노예화한 적이 과거에 없었고 지금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말하며 전제주의 국가 중국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는 민주 진영의 우려를 반박했다.

시 주석은 “그 어떠한 외국 세력이 우리를 괴롭히거나 압박하며 노예화하는 것을 중국 인민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면서 “누가 이런 망상을 하면 14억 중국 인민들의 피와 살로 만든 강철 만리장성 앞에서 머리가 깨져 피가 흐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뉴욕타임스(NYT)는 이 대목에서 가장 큰 박수가 나왔다면서 시 주석의 발언이 중국인은 물론 워싱턴을 겨냥한 것처럼 보였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중국에 대한 경계를 부쩍 키우면서 민주 진영의 연대를 모색하는 바이든 미국 행정부에 맞서는 결연한 의지를 내보인 셈이다.

NYT의 언급으로 볼 때 미국도 이번 행사가 중국의 대미 경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측은 이번 행사가 시 주석의 3연임을 정당화하기 위한 행보라고 보고 있다. NYT도 시 주석의 연설이 연임을 시도하려는 상황에서 나왔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은 공산당의 불문율이던 2연임 불가 원칙을 깬 데 이어 내년 3연임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도 중국 공산당 100주년 행사를 팔짱만 끼고 바라보지 않았다. 미국 육군과 일본 육상자위대는 중국 공산당 100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날 일본 가고시마현 아마미오시마에서 대공 전투 상황을 가정한 연합 훈련에 나섰다. 아마미오시마는 중국이 동중국해에서 태평양으로 나가는 길목에 자리 잡은 전략적 요충지다.

조엘 바울 주일 미육군사령관은 “이 지역은 적대 세력과 매우 긴박한 상황”이라며 “유사 방위 능력을 보여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밝혀 중국을 염두에 둔 견제 메시지를 던졌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가 2019년부터 대만을 둘러싼 중국과의 잠재적 갈등에 대비해 일본과 함께 남중국해에서 재난구조 훈련으로 가장한 합동 훈련을 했다. 바이든 정부 들어서도 센카쿠 열도 근처에서 빈번하게 군사 훈련을 해오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미국은 대만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전 단계인 무역투자기본협정(TIFA) 협상도 중국 공산당100주년 기념식에 맞춰 시작했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양측이 미국-대만 무역 및 투자 관계를 심화하고 민주적 파트너로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라고 언급했다.

USTR은 “미국과 대만이 세계 공급망에서 강제 노동에 맞서 싸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중국에 대한 견제 의사를 분명히 했다.

대만 타이베이타임스는 시 주석의 연설 다음 날 대만이 환태평양합동훈련(RIMPAC.림팩)에 합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대만이 희망한 림팩 훈련 참가를 허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바이든 대통령이 대만을 림팩 훈련에 초대한다면 미·중 간의 갈등은 더욱 격화될 수 있다.

일본과 필리핀도 중국의 압박에 맞서 대응책을 공동 모색했다. 양국은 지난 1일 공군 합동 훈련을 시작하면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에 맞서는 미국과 동맹국 연대를 과시하기도 했다.

중국이 미국에 맞서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만큼 북미 관계에도 영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북한은 미국의 대화 요구를 거부한 채 친중 행보를 강화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공산당 100주년을 맞아 시 주석에게 보낸 축전에서 “북·중 친선을 새로운 전략적 높이로 승화 발전시키자”고 요청한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가 한국과 일본 등 동맹과의 연대를 통한 북한 비핵화를 추진하려는 데 맞서 북중 연대를 강화하려는 북한의 행보는 향후 북미 대화에 대한 가능성에 더욱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특히나 6.25전쟁 71주년에 이어 지난 1일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바이든 행정부의 첫 미국 독립기념일(4일), 북·중 우호 협력 상호원조 조약 기념 60주년 기념일(11일)이 연이어지는 7월 상황은 북미 관계에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 북한이 미국 독립기념일에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가 관전 포인트다.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해 미국의 독립기념절 행사 DVD를 소장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 이목을 끌었다.

북한이 미국 독립기념일에 맞춰 도발할 가능성도 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큰 도발을 자제해 온 북한이 독립기념일을 계기로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북한은 북미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던 2017년 7월 4일에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4형’을 발사하며 “미국 놈들에 주는 선물”이라고 밝혔다.

안킷 판다 카네기평화재단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ICBM을 쏘아 올릴 수 있다”고 경계했다. 미국이 독립기념일을 계기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부터 독립을 대대적으로 축하하려는 시점에 북한이 ICBM을 발사하면 바이든 행정부의 인내심도 임계점을 넘어설 수 있다. 이미 김 위원장은 미국과의 대화와 대결에 모두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백종민 아시아경제 뉴욕특파원



백종민 아시아경제 뉴욕특파원 cinqange@asi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