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데없이 발생한 ‘구제역’ 파문이 정신없이 확산되고 있다.

3월19일 경기 파주지역에서 기미를 보이기 시작한 구제역은 충남 홍성을 거쳐 파주의 다른 지역에도 수포성 가축질환으로 의심되는 질환이 발생하는 등 구제역 공포는 마른 들녁의 불길처럼 번지고 있다.

해당 지역은 군경이 진입로를 통제하고 검역당국은 한우와 젖소를 집단도살하는 등 그렇지 않아 도 수입 축산물에 시름하던 축산농가로서는 날벼락을 맞은 형편이 됐다.

구제역의 여파로 돼지의 수출길마저 막히는 등 축산농가는 너나 없이 상당기간 엄청난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정부와 검역당국은 구제역 확산차단과 피해최소화 대책과 함께 원인규명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정부가 구제역 판정을 지연했다는 의혹과 중국산 건초에 대한 방역을 소홀히 했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지만 구제역 의혹이 있는 가축을 과감하게 집단도살하는 등 적극적으로 초기대응에 나선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대만의 경우 1997년 구제역 초기대응을 게을리했다가 돼지 380만 마리를 도살하고도 아지까지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한채 국가적으로 41조원에 이르는 피해를 입고 있다.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다. 우선 구제역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부터 결론이 내려져야 한다. 정부는 구제역이 인체에는 전혀 해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일부에서는 인체감염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어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일부에서는 육류소비 감소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축산업 기반이 붕괴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공황에는 신속한 대응과 진실만이 최선의 정책이다.

송용회·주간한국부 기자


송용회·주간한국부 songyh@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