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의보감] 가을철 보약 “알고 드세요”

기온이 선선해지고 찬이슬이 맺히기 시작한다는 한로를 지나 계절이 어느덧 완연한 가을에 접어들었다. 가을은 여름철 무더위에 지친 몸을 추스르고 다가올 겨울철의 건강유지를 위해 몸의 건강상태를 점검해야 할 시기다.

특히 남들에 비해 체력이 약한 사람의 경우 무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하고 곧 찾아올 추위에 대비해 체력을 길러두어야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한의학의 기본이론인 음양오행에 따르면 가을은 금(金)의 기운에 해당하며 그 4?성질은 `조'(燥), 즉 건조함으로 나타나 있다. `조'라는 글자를 풀이해보면 사물과 자연을 말려버린다는 뜻이다. 따라서 가을엔 나무도 수분이 말라서 낙엽이 떨어지게 되고 사람 또한 체내의 수분, 즉 진액이 고갈되는 증상이 쉽게 발생한다.

더욱이 일교차가 큰 계절적 특성상 인체가 새로운 기후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함으로 인해 외부환경과 평형을 이루지 못하고 정상적 생리활동의 유지가 어려워져 각종 질환을 야기하기 쉽다. 감기를 비롯해 축농증 또는 비염 등과 같은 기관지 질환과 원기부족, 불면, 불안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가을철에 많아지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가을철이면 으레 원기회복과4? 함께 질병예방을 위해 보약을 찾곤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자신의 건강상태 또는 질병발생의 가능성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라 약을 복용해야 효과적이라는 사실이다.

많은 사람이 보약 하면 그저 강장약 정도로 인식하고 있거나 조금 더 생각해 나이가 들어 노쇠한 사람 또는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사람이 먹는 약으로 잘못 이해하는 경향이 많은데 결코 그렇지 않다.

한의학적 입장에서 볼 때 전체적인 조화를 염두에 두고 각종 처방이 행해지는 보약은 단순히 몸을 보하는 약이 아니라, 의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보약은 `보사(補瀉)의 원리', 다시 말해 모자라는 것은 도와주고 남는 것은 깍아내려주는 원리에 의해 건강의 핵심이 되는 원기와 혈액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보약은 크게 보기(補氣)약을 비롯해 보혈(補血), 보양(補陽), 보음(補陰) 등 네 가지로 분류된다. 보기약은 몸의 기운을 축적, 배양시켜 인체의 저항력을 강화시켜주는 것으로 인삼과 황기, 만삼, 백출 등이 주된 약재로 이용되며 보혈약은 혈액을 생성하는 조혈기능을 강화시켜주며 숙지황과 당귀, 작약, 백하수오 등이 주된 약재로 사용된다.

또 보양약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소화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것으로 녹용 또는 녹각, 음양곽, 산수유, 복분자 등의 약재로 주로 사용되며 보음약은 몸의 진액을 보충해주는 약물로 구기자와 사삼, 천문동, 맥문동 등의 약재들이 주로 사용된다.

흔히 많은 사람이 보약을 봄과 가을 등 일교차가 심해지는 환절기에 복용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혹한의 추위를 지나 따뜻한 계절로 들어서는 봄이나 무더위를 넘기고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는 가을이야말로 인체가 계절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무기력증에 빠지거나 자칫 발병으로 이어지기 쉬워 보약을 복용하기에 안성맞춤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보약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부분, 즉 보약을 먹으면 무조건 몸이 좋아질 것이라는 그릇된 상식으로 인해 무턱대고 보약을 복용할 경우 오히려 신체기능의 항진을 초래, `지나침은 모자람 보다 못한 것'의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약을 복용할 때는 인체내 기혈, 음양, 영위, 장부 등의 허와 실을 파악하는 변증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런 이유로 반드시 한의사의 정확한 진찰과 그에 따른 처방이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정확한 진단 하에 처방되는 보약은 면역기능의 활성화와 신체활력의 배양으로 건강한 생활을 가능케 해주지만 환자 스스로 판단해 무분별하게 복용하는 보약의 남용은 오히려 건강에 치명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서보경 강남동서한의원장>

입력시간 2000/10/12 16:54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