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분야에 걸쳐 영역확대

본격적인 한국의 시민운동은 1989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출범에서 뿌리를 찾을 수 있다.

기독교 운동 출신의 서경석씨 등이 교수와 변호사 등 전문가들을 모아 만든 경실련은 정권타도와 같은 직접적 정치투쟁을 대신해 사회 곳곳에 존재하는 불의를 법의 테두리 내에서 바로잡아가겠다는 문제의식으로 출발했다.

1990년대 초반만 해도 여전히 운동권의 변종 쯤으로 여겨졌던 시민운동은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를 거치며 각종 정책결정 과정에 개입하는 등 그 영향력이 점차 커졌다.

지금은 청와대 정무수석실에 시민단체 담당자가 따로 있으며 정치권력과 자본권력에 이은 `제3의 권력'으로 불리기도 한다.

시민운동은 기본적으로 NGO(비정부기구)로 불리는 시민단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시민의 신문'이 발행하는 전국시민단체총람에 따르면 1999년 현재 전국의 시민단체는 1만2,000여개에 이른다. 1997년 보다 20% 정도 늘었다.

이들은 공동체 조직과 정책 위주의 조직으로 나눌 수 있고 전자는 회원의 공동이해에 근거한 자치활동 중심이며 후자는 정치색이 강하다. 우리나라는 영향력면에서 후자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시민단체들 중에는 경실련, 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여성운동연합이 영향력도 가장 클 뿐더러 회원수도 많고, 재정도 비교적 탄탄해 `4대 메이저'로 불린다.

1994년 설립된 참여연대는 진보적 학자와 인권 변호사, 학생운동권 출신이 주축, 1997년 소액주주 운동을 통해 시민운동의 중심단체로 떠올랐다. 1993년 설립된 환경운동연합은 최열씨를 시민운동의 간판 스타로 만들며 시화호, 동강댐, 새만금호 등 굵직굵직한 사건으로 입지를 굳혔다.

여성연합은 1987년 설립되어 여성의 사회운동과 사회운동의 결합에 주력해왔다. 최근 들어서는 이들 외에 인권운동사랑방 등 인권단체가 동성애자, 장애인 등 소외계층과 연대해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소비, 주택, 교육, 교통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시민운동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김지영 주간한국부 기자

입력시간 2000/10/31 22:58


김지영 주간한국부 koshaq@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