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축구, 뒤집어서 생각하자

장기적 안목의 일관된 정책 펼쳐야

한국축구가 국제대회에서 고전을 면치 못할 때마다 되풀이되는 `고정 레퍼토리'가 하나 있다. 바로 한국축구의 문제를 진단하는 연재물과 대책회의. 그 내용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

정말 그랬다. 그동안 한국축구는 반성도 참 많이 했다. 거창한 청사진 제시도 계속됐다.

그러나 정작 달라진 것은 별로 없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시지프스의 바위처럼 산꼭대기에 올려놓아도 다시 굴러떨어지는 식의 악순환을 반복한 것이다. 결국 이번 제12회 아시아축구선수권대회(아시안컵)에서도 일은 터졌고 또다시 여론은 들끓었다.

응급처방만으로 메우기에는 골이 너무 깊지만 채 2년이 남지 않은 2002년 월드컵을 생각할 때 마냥 장기 프로젝트만 내세울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일본축구가 탈아시아했다는 평가는 더욱더 한국축구를 압박한다.


개인기 없는 축구의 한계

아시안컵 대표선수의 기본기 훈련 스케줄이 한때 화제에 올랐다. 명색이 4,000만을 대표하는 선수들의 훈련일정 상당부분이 개인기 등 기본기 훈련에 할애돼 있다니….

이번 대회를 통해 얻은 교훈 중 하나는 기본기없는 축구의 수명이 이제는 다했다는 것이다. 물론 스피드를 바탕으로 한 기동력과 투지는 한국축구의 틀림없는 강점이다.

하지만 여기에 개인기가 접목되지 않는다면 한국은 영원히 세계축구의 변방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개인기가 뒷받침되지 않다 보니 중앙돌파가 힘에 부쳐 측면돌파에 이은 센터링이라는 단조로운 공격패턴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최약체로 평가 받았던 인도네시아와의 경기에서도 개인 돌파가 번번이 막히자 백패스로 일관해 경기흐름을 망쳐놓곤 했다.

체력과 정신력에만 기대는 축구는 단기전에서 특히 힘을 발휘할 수 없다. 아시안컵 4강전에서 한국은 상대인 사우디 아라비아 선수들보다 하루를 더 쉬고 출전하는 일정상의 행운을 얻었으면서도 오히려 체력열세를 노출했다.

개인기와 기술축구로 무장한 사우디는 이틀 휴식만으로 체력누수를 회복할 수 있었지만 3일을 쉰 한국 선수들은 그렇지 못했던 것이다.


유소년 축구를 살려야 한다

그렇다면 개인기 부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한국 선수들에게 개인기를 기대하는 것은 어쩌면 `쓰레기통에서 장미꽃이 피기를 기대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을지도 모른다.

흙 바닥에서 운동을 시작한 선수들은 대학에 들어가서도 잔디를 밟아보기 어렵다. 부상을 유발하고 발 재간과 슈팅력을 사장시키는 인조잔디가 깔린 효창구장이 버젓이 아마추어 축구의 메카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토너먼트식의 상대를 탈락시키는 축구, 대학진학을 위해 전국대회 4강에 무조건 들고봐야 하는 축구풍토 또한 개인기의 싹을 자르는 요인이다. 승부에만 집착하다 보면 개인기 등 기본기에 소홀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초등학교 때부터 리그제로 경기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도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많은 유망주들이 축구인의 길에 투신하고 있지만 한국축구의 현실은 꿈나무들이 마음껏 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지 못하고 있다. 그야말로 `19세기 환경에서 21세기 선수들을 지도하는 상황'이라면 지나친 과장일까.


대표 선발의 문제점과 껍데기 기술위원회

축구협회와 대표팀 감독의 `거수기'에 불과한 기술위원회의 운영방식에 대해서도 대대적 수술이 불가피하다. 한 기술위원은 “축구협회와 대표팀 감독에 대한 건전한 비판과 견제를 맡아야 하는데 목소리를 제대로 낼 수 없는 분위기”라는 푸념을 털어놓았다.

기술위원회는 지난해 고종수가 무릎부상을 당한 것도 파악하지 못하고 대표팀 명단에 올려 구설에 올랐다.

허정무 감독의 요청을 검토 한번 하지 않고 그대로 따르다가 발생한 한편의 코미디였다. 이번 아시안컵 대표팀에도 안양 LG의 골게터 정광민을 포함시켰다가 부상으로 출전이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서야 제외했다. 선수의 몸 상태 조차 파악하지 못한, 어이없는 실수가 재연된 것이다.

많은 축구인은 최근 새로 구성될 기술위원회에 대해 `능동적이고 창의적이면서 국제정보에 강한 기술위'가 돼 줄 것을 주문하고 있다.


외국인 감독의 수입과 선수 해외진출

허정무 감독으로는 도저히 어렵다고 한다면 대안은 오직 외국인 감독 영입뿐이다. 현재 국내의 인적자원이 거의 고갈된 탓이다. 대세 또한 그렇다. 많은 팬들은 선진축구 기술과 세계 흐름에 정통한 외국인 감독이라면 뭔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다.

일단 누가 지휘봉을 잡든지 간에 계약기간까지는 믿고 맡기는 자세가 필요하다. 2002년 월드컵까지 시간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부족하지도 않다. 한국적 정서와 스타일 그리고 선진 기술축구의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적임자를 찾아내는게 급선무이다.

외국인 감독의 수입을 통해 선진축구를 전수 받는 방법도 있지만 선수 수출을 통한 한국축구의 세계화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월드컵지원단과 축구협회는 올해 선수들의 해외(특히 유럽)진출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지만 국내 구단의 이기주의와 선수들의 자신감 부족 등이 겹쳐 지지부진한 상태다. 유럽에 진출한 선수는 현재 안정환(이탈리아 페루자)과 설기현(벨기에 앤트워프)뿐이다.

1986년 월드컵대표팀을 이끌었던 김정남 감독은 “선진무대에서 뛰는 것은 월드컵에서 상대할 선수들과 미리 겨뤄보는 것과 같다. 한국 선수의 해외진출은 한국축구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일본축구의 최근 오름세는 10여년부터 꾸준히 추진한 어린 선수의 해외유학이 그 밑바탕에 깔려 있다.

지금 이 시간에도 1,000여명이 넘는 일본의 축구 꿈나무들이 브라질에서 땀을 흘리고 있다. 일본에 비해 규모면에서 훨씬 뒤져 있지만 뒤늦게나마 한국의 어린 선수 수십명이 브라질로 축구유학을 떠났다는 사실은 반가운 점이다.


다시 축구화 끈을 조여야 한다

그라운드 위에서만 일본에 뒤지는 것이 아니다. 현재 2002년 월드컵 시설과 외국 캠프유치 현황 등 여러가지 준비면에서 전반적으로 일본에 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드웨어의 열세 만큼이나 걱정스러운 것은 일본과의 경기력 수준차이다. 공동개최국 일본이 승승장구하는데 한국은 구경만 한다? 그야말로 2002년 월드컵 최악의 시나리오다.

이제 `대책 없는 대책회의'와 연재물만으로는 부족하다. 행동 없는 반성 또한 공허하다. 실천으로 누진적 진보를 이뤄나가야 한다.

이번에도 축구발전을 위한 점진적이고 꾸준한 실천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참가하는 모든 국제대회는 한국축구의 `잠재적 지뢰밭'이 될 것이다. 매번 대회 때마다 팬들과 언론의 질책에 휘둘릴 것인가.

김정호 체육부 기자

입력시간 2000/11/07 19:21


김정호 체육부 azure@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