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현의 영화세상] 흥행 거짓말과 박스오피스

한두번이 아니다. 영화가 개봉하면 으레 제작사나 홍보사는 바로 다음날 흥행결과를 발표한다.

언론매체들을 겨냥한 것이다. 가장 발 빠른 스포츠 신문은 그 자료에 의존해 곧바로 '서울 00만 명'이라는 기사를 보도한다.

11월11일 나란히 개봉한 '단적비연수'와 '리베라 메'. 모두 40억원 이상을 투입한 블록버스터다. 당연히 개봉 첫 주말의 흥행결과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제작사는 엄청난 흥행 부담에 노심초사하고 언론은 '쉬리' 와 '공동경비구역 JSA' 에 이어 또하나의 기록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다음날 스포츠 신문이 보도한 두 영화의 서울 지역 개봉 첫날 흥행기록은 각각 11만5,000명~ 12만명, 6만~ 7만명이었다. 심지어 주말 이틀 '단적비연수'는 22만명, 리메라메는 12만명이라고 아직 상영도 다 하지 않은 일요일의 결과까지 미리 보도했다.

물론 이런 예상보도는 첫날의 흥행을 근거로 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 결과를 보자. 배급ㆍ투자사인 CJ 엔터테인먼트의 집계에 의하면 '단적비연수'는 첫날 8만9000명, 이틀동안 16만3,000명이었다. '리베라 메'는 첫날 고작 3만2,000명, 이틀동안 6만2,000명이었다. 2만명 이상의 차이를 보인다.

심지어 '리베라 메'의 경우 2배나 부풀려졌다. 2만명이라면 웬만한 영화의 '대박'에 해당되는 수치다. '비천무' 때도 그랬다. 미국 직배사의 영화가 아니면 예외없다. 외화보다는 한국 영화, 그중 블록버스터일수록 심하다.

왜 이런 짓을 할까. 물론 관객 유인책이다. 어느 상품이나 공연과 마찬가지로 영화도 인기있는 것에 사람이 몰린다. 그래서 개봉 첫날 제작사가 표를 사서 관객을 몰리게 하는 짓까지 한다. 덩치는 크고 내용은 부실한 영화일수록 더 심하다.

관객의 반응이 알려지기 전에 얼른 흥행몰이를 하고 끝내야 하니까. 이런 사기극에 홍보사는 동조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단적비연수'도, '리베라메'의 홍보사도 과장을 했다. '단적비연수'의 '첫날 12만명, 이틀 20만명'이란 숫자는 오후부터 매진이 되니까, 그것이 다음날 저녁까지 계속된다는 가정 하에 나온 것이다. '단적비연수'는 후에 정정을 했지만 '리베라 메'의 경우 홍보사는 여전히 주말 이틀 11만명이란 자료를 돌렸다.

물론 줄어든 흥행기록 역시 정확하지 않다. 아니, 우리나라에서 영화 흥행기록은 그 어느 것도 정확한 것이 없다. 상영이 끝나고 집계하는 영화진흥위원회의 자료조차 그렇다.

문예진흥기금을 근거로 산출하고 있지만 극장들이 돈을 적게 내기 위해 숫자를 줄이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화가 개봉될 때마다 제작사 수입사는 늘리고, 나중에 극장은 줄이고 나중에는 제작사도 줄이고. 심하면 그 차이가 두배 이상 벌어지기도 한다.

이런 모든 결과는 정확한 통계를 잡을 수 있는 '박스 오피스'가 없는 탓이다. 전국의 어느 극장에 들어가더라도 그 숫자가 잡히는 입장권 발매 통합전산망은 그래서 필요하다.

영화인들도 오래전부터 이것을 숙원사업이라고 말해왔다. 정부 역시 지난해부터 업체를 선정하고 극장주들을 설득해 이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아직도 뚜렷한 결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이유야 어디에 있건 그것으로 인해 '거짓말'만 늘어나고 있다.

그 거짓말이 모두 관객을 혼란시키고, 영화인 자신의 이익을 위한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통계가 정확하지 않으면서 정책을 세운다는 것이 얼마나 우스운 일인가.

우리는 이렇게 거짓말을 하고, 그 거짓말로 미래를 설계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

이대현 문화부 차장

입력시간 2000/11/21 22:54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