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역사왜곡의 천국인가

선사·고려청자 날조- 공명심 배경에 日 특유의 강박관념

지난 11월말 일본 문화계는 도쿄(東京)신문이 1면 머릿기사로 특종 보도한 고려청자 사기극으로 흔들렸다.

도예상 겸 아마추어 도예가인 다니 순제이(谷俊成?2)씨가 1990년 고려청자의 유약에 얽힌 비밀을 독자적으로 밝혀내 복원에 성공했다고 발표하면서 중견 도예가로 급부상했다.

이듬해 아키타(秋田) 현립미술관에서 전시회를 열어 호평을 받은 이래 잇따라 일본 국내에서 전시회를 연 것은 물론 93년 유네스코 파리본부, 95년 이탈리아 피렌체와 밀라노 등 세계 각지를 돌며 전시회를 가졌다.

밀라노 전시회 당시에는 안브로지노 금화상을 받아 이탈리아 도예계에 깊은 인상을 심는 등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97년 일본 외무장관 표창을 받았고 일본 미술작가 명감에 작품이 올라 있을 정도의 지위를 확보했다.

올 10월에도 주 오스트리아 일본대사관과 외무성의 국제교류기금, 교토(京都)부 후원으로 빈에서 개인전을 열어 갈채를 받았다.


한국도예가작품에 서명만 넣은 것

그러나 그 모든 것이 사기였다. 올 4월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고려청자 환상의 기법을 해명했다'는 기고문을 실으면서 꼬리가 잡혔다.

그는 한국 정부 및 도예가들로부터 고려청자 유약에 어떤 금속이 사용됐는지를 밝혀달라는 요청을 받아 30년전부터 고려청자 복원에 매달려 왔다고 밝혔다.

일반인들은 무심히 지나쳤지만 전문가인 와세다(早稻田)대학 고바야시 야스히로(小林保治)교수의 눈에는 이상하기 짝이 없는 내용이었다.

고바야시 교수는 이 기고문의 내용을 친분이 있는 이천의 도예가들에게 알렸다. 조사 결과 다니씨의 작품은 한결같이 이천 도예가들의 작품에 자신의 서명만 넣은 것이었다. 사기극이 드러나자 다니씨는 11월 26일 이천 도자기협동조합에서 고려청자 위조 사실을 시인하고 사과했다.

그는 일본내의 여러 미술관과 밀라노 박물관, 모나코 왕궁 등이 소장한 '고려청자'는 모두 기증한 것으로서 돈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무엇보다 고려청자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싶은 것이 기본적인 동기였다고 용서를 빌었다.

이 사기극의 동기는 개인의 공명심이 출발점일 수 있다.

그러나 도예가 경력이 불투명한 그가 그토록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한국이 자랑해 온 고려청자의 비법을 일본인이 풀었다는 일본 도예계의 인식을 빼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또한 이런 인식은 현재 도자기 왕국으로 부상했으면서도 '원천 기술'이 한반도에서 왔다는 사실에 대한 집단적 강박관념을 읽을 수 있다.

이에 앞서 11월 5일 마이니치(每日)신문이 1면 머릿기사로 특종보도한 '선사 날조' 사건은 이런 성격이 훨씬 짙다.

미야기(宮崎)현 쓰기다테초(築館町) 가미타카모리(上高森) 유적 발굴현장에서 당시 도호쿠(東北) 구석기문화연구소 부소장으로 발굴 조사단장을 맡았던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0)가 석기를 땅에 파묻는 장면이 생생하게 보도됐다.


선사 날조로 사기극 드러나

10월27일 일본 언론들이 '70만년전 석기 발굴'을 대서특필하기 5일전인 10월22일 아침 6시18분께의 행동이 마이니치 신문 취재팀이 몰래 설치한 비디오카메라에 그대로 잡혔다.

취재팀의 추궁에도 한동안 발뺌을 하던 후지무라씨는 자신의 얼굴이 그대로 잡힌 사진을 대하고야 비로소 그동안의 날조극을 털어 놓았다.

그는 가미타카모리 유적에서 올해 발견된 31점의 석기 유물 가운데 27점이 모두 자신이 수집해 두었던 석기를 파묻은 것이라고 시인했다.

또 올해 홋카이도(北海道)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 유적에서 발굴한 석기 29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묻었던 것이라고 실토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가미타카모리 유적의 6개 유구는 물론 자신이 발굴작업에 관여한 다른 유적지의 유물은 진짜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나 이를 믿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가 홋카이도 소신후도자카 유적의 석기 날조를 함께 시인한 것은 마이니치 신문 취재팀에 증거 사진이 확보돼 있었기 때문이었다.

취재팀은 소신후도자카 유적 발굴 당시에도 비슷한 몰래 카메라 사진을 찍었으나 초점이 흐려 후지무라씨임을 결정적으로 드러내기가 어려워 추가 증거 확보에 매달려 왔다. 그는 이미 증거가 잡힌 2개소의 유적에서만 날조를 시인했을 뿐이다.


손대면 유물 쏟아져 '석개의 손'으로 불려

고교 졸업후 독학으로 고고학에 투신한 후지무라는 72년부터 발굴작업에 참가, 기초를 닦아 오다 81년 미야기현 자자리기(座散亂木) 유적에서 당시로서는 일본 최고(最古)인 4만수천년전의 석기를 발굴해 명성을 얻었다.

이후 그가 발굴한 유적에서는 어김없이 구석기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공동 발굴 작업에서도 "저기를 파 보라"면 예외없이 유물이 나와 '황금의 손' '석기의 신'으로 불릴 정도였다.

특히 93년 이후 가미타카모리 유적에서 40만년전, 50만년전, 60만년전의 석기를 잇달아 발굴해 내면서 일본 전기구석기 시대를 10만년씩 위로 끌어 당겨 왔다.

또한 2월 사이타마(埼玉)현 치치부(秩父)시의 오가사카(小鹿坂) 유적에서는 40만~50만년전으로 추정되는 세계 최고급 유구와 석기 유물을 동시에 발굴하기도 했다.

그의 성과는 일본 학계에서 어느덧 정설로 인정됐으며 고등학교 교과서가 일본 전기 구석기 시대의 시작을 모두 60만년전으로 기술하기에 이르렀다.

날조극이 드러난 후 문부성은 그가 관여한 140여개소의 유적 발굴 작업에 대해 전면적인 재조사를 지시했고 교과서 출판사들이 전기 구석기 관련 기술의 삭제를 잇달아 신청하고 나섰다.

또한 석기의 연대 측정법이 애매한 상태에서 연대 추정에 대한 전면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출토 지층의 연대 측정에 대해서도 재검토 주장이 활발해 일본의 구석기 연구전체가 신뢰의 위기를 맞고 있다.

날조극에 대한 주류 학계의 반응은 더욱 가관이었다. 일본 고고학계는 1946년 군마(群馬)현에서 2만5,000년전의 지층에서 석기가 발굴되면서 본격적인 구석기 시대 연구에 매달렸다.

한동안 3만년전 이전의 광의의 전기구석기 시대가 있었느냐는 논쟁이 치열했으나 후지무라가 자자라기 유적에서 4만수천년전의 석기 유물을 발굴하면서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원형에 가까운 유물에 의문"

논쟁에서 진 주류학계는 도호쿠 대학과 아마추어 연구자들이 주축이 된 도호쿠구석기문화연구소가 잇달아 3만~12만년전의 중기 구석기 유물을 발굴하고 나중에는 12만년전 이전의 협의의 전기 구석기시대 유물을 잇달아 발굴하자 고개를 갸웃거리면서도 짐짓 외면하는 자세로 일관했다.

그런 주류 학계가 날조극이 밝혀진 후 "언제나 같은 사람이 깨끗한 상태의 석기를 무더기로 발굴해 이상하다고 생각했다"든가 "현장에서 다른 연구자들이 제대로 의문을 표하기만 했어도 금세 진위를 밝힐 수 있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또 "애초에 결정적인 연대측정 방법이 없으니 무의미한 논란이라고 생각했다"며 "아시아 대륙에서 가미타카모리 유적과 같은 연대의 석기군이 발견되지 않아 언급을 피해 왔다"고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발언을 쏟아냈다.

자존심에서 비롯한 주류 학계의 침묵이 후지무라의 날조극을 방조한 셈이다. 그러나 단순한 자존심만이 아니었다.

후지무라 스스로가 "보다 연대를 거슬러 올라가는 유물을 발굴해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 시달렸다"고 시인했듯 일본 고고학계 전체에 사회적 압력을 받아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반도 영향'에 대한 두려움

일본에는 고유의 역사, 독자적 문화렝凰肉?대한 열망이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 이유는 간단하다.

일본에서 '역사'를 얘기할 만한 청동기 시대는 BC 3세기경에 시작된 야요이(彌生) 시대 들어서였다. 그러나 미작(米作) 농경 문화가 정착한 이 시대의 주인공은 한반도에서 건너 온 사람들이었다.

또한 3~7세기 고분시대의 주역들도 역시 한반도의 강력한 영향하에 있었다.

궁내청 관리하에 있는 당시의 고분들이 발굴은 커녕 측량조사나 현장 시찰조차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는 현실을 두고 일본 학계조차도 한반도에서 건너온 사람들의 영향을 입증할 증거, 특히 천황가의 정체를 밝힐 물증이 나올 우려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야요이 시대 이전의 신석기 시대인 조몬(繩文) 시대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는 것도 한반도의 영향을 배제한 보다 일본적인 요소를 찾으려는 의식의 표현이다.

구석기 시대에 대한 집착도 같은 맥락이다. 우익렉맑?세력이 '성전(聖典)'이라고 내놓은 '국민의 역사'는 가미타카모리 유적을 예로 들면서 '일본 문명'을 논하고 있을 지경이다.

조금이라도 세계사의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문명의 개념을 의심하게 될 이런 광적인 집착을 축으로, 농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역사 강박관념이 일본 사회에 넓게 퍼져 있다.

근현대사의 진실조차 감추고 왜곡하려는 마당에 현재의 일본인들과 별 관계도 없는 선사시대의 왜곡 따위야 '손바닥 뒤집기'였을 수도 있다.

황영식 도쿄특파원

입력시간 2000/12/12 20:32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