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현의 길따라 멋따라] 소수서원

<고인도 날 못보고 나도 고인 뵌 일 없네/ 고인을 못 뵈어도 가시던 길 앞에 있네/ 가시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가고 어쩌리>

퇴계 이황(1501~1570)은 회헌 안향(1243~1306)을 이렇게 사모했다. 두 사람은 동방 성리학의 성현으로 불린다. 고려의 회헌은 원나라에서 최초로 주자학을 들여왔고 그 학문은 퇴계에 이르러 만개했다.

250여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선학에 대한 퇴계의 외경심과 사랑을 담은 이 시의 현장은 최초의 사립대학인 소수서원(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이다. 소수서원의 역사는 1543년(중종 36년) 풍기군수였던 주세붕이 회헌의 사당을 지으면서 시작됐다. 신라의 대찰 숙수사의 터였다.

당시 이름은 백운동서원. 이후 풍기군수로 부임한 퇴계는 교육기관으로서 나라의 합법적인 인정을 명종 임금에게 청했다. 1550년 명종은 친히 소수서원(紹修書院)이란 편액을 써서 하사했다. '소수'란 '무너진 유학을 다시 이어 닦게 한다'는 의미.

이렇듯 소수서원은 '학문의 중흥'이란 큰 임무를 띠고 탄생했다. 그리고 그 임무를 충실히 수행해 나갔다.

조선의 인물 절반은 영남 출신이고, 영남 인물의 절반은 퇴계의 문하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서원은 크지 않다. 정문을 들어서면 백운동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는 강의실 강학당이 있고 왼쪽에 문성공묘와 전사청이 자리한다.

그 뒤에는 스승들의 거처인 일신재와 직방재, 우측으로 기숙사인 학구재와 지락재가 있다. 기타 서재와 선현들의 영정을 모신 영정각, 문 바깥의 휴식처인 경렴정과 취한대 등. 이것이 전부이다. 그리고 건물 배치의 자유스러움과 자연스러움에서 당시 학자들의 기품을 느끼게 된다.

서원 입구에는 숙수사 당간지주(보물 제59호)가 우뚝 서 있다. 유생의 터에 보존돼 있는 불교의 상징에서 당시 학자들의 너른 마음을 읽을 수 있다. 모든 건물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45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은 아예 자연속에 포함된 느낌이다.

서원 옆에는 낙동강의 작은 줄기인 죽계수가 흐른다. 개울 건너편 아담한 바위에 경(敬)자가 붉게 새겨져 있다. 주세붕이 직접 쓴 글자이다.

'경이직내 의이방외'(敬以直內 義以方外)의 첫 글자로 '경으로써 마음을 곧게 하고 의로써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반듯하게 한다'는 뜻이다. 소수서원의 교훈이자 학문의 목표이기도 하다.

학문과 명승은 함께 가는 것일까. 소수서원의 일대에는 빼어난 경승이 자리하고 있다. 퇴계가 가장 사랑했던 곳은 청량산. 낙동강 상류인 명호강의 빠른 물살 위에 떠있는 바위 산이다. 퇴계는 스스로 '청량산인'이라 칭하고 제자들과 함께 자주 나들이를 하곤 했다.

청량산에는 그가 청년시절과 만년에 공부했던 오산당(청량산원)이 있다. 소수서원과 마찬가지로 단아한 모습의 서재이다. 산 아래 퇴계가 배를 타고 건넜던 명호강은 여전히 맑다. 낚시대를 드리운 태공의 모습이 한가롭다.

지난 해 정부는 수 조 원을 들여 경북 북부 지역의 유교문화권을 국제적인 관광지로 개발한다는 거대한 계획을 발표했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이 지역의 관광여건을 본다면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이 곳의 개발은 지혜롭게 진행되어야 한다. 옛 사람들의 소박한 정한을 위협해서는 안된다. 서원 뒷산에 들어서고 있는 거대한 청소년 수련시설을 보면서 생기는 걱정이다.

권오현 생활과학부차장

입력시간 2001/05/17 17:09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