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리포트] 21세기 슈퍼파워를 향하는 대륙의 심장

'차이나 드림'꿈꾸는 중국 두뇌들 "가자! 베이징으로"

중국이 아직 사회주의 국가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왕푸징(王府井) 거리의 야경에서 시대착오에 빠졌음을 깨닫게 된다.

중국이 아직 농촌중심 국가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중관춘(中關村)에서 환상을 깨게 된다. 왕푸징 거리는 천안문 광장 오른편에 있는 베이징(北京)의 최대 번화가. 중관춘은 베이징시에 자리잡은 중국최대의 IT(정보통신) 밸리다.

차없는 거리로 널찍하게 뚫린 왕푸징은 서울 강남의 어떤 거리도 어린애처럼 왜소하게 만든다.

호텔과 백화점, 술집을 배경으로 거리를 가득 메운 인파와 그 속의 하나하나 얼굴에는 이념의 구속을 찾아볼 수 없다. 불야성을 이룬 왕푸징은 이미 현실화한 베이징의 거대한 소비력을 나타내기에 부족함이 없다. 베이징의 소비력에 '잠재적'이란 접두사를 붙이는 것은 시대착오다.


'과기흥국'정책, 베이징을 첨단기술도시로

2000년 베이징 인구는 1,382만명. 베이징의 역내총생산(GDP)은 2,460억5,000만위엔(약 37조원)으로 상하이(上海)에 이어 중국내 2위다. 지난해보다 11% 늘어난 수치다. 1일당 GDP는 2만2,000위엔(약 330만원). 이것만으로 베이징을 평가하면 오산이다.

베이징은 주류 한족을 비롯해 전국 56개 소수민족이 가장 다양하게 집중된 도시다. 중국 각지의 두뇌가 베이징으로 몰려 '차이나 드림'실현에 동참하고 있는 것이다.

'지식 용광로'로서의 베이징은 정치중심지로서의 고유 기능과 맞물려 중국의 발전 지평을 확대한다. 중국은 여전히 철저한 관료국가. 모든 중요한 국가전략 결정은 베이징 권력핵심부에서 이뤄진다.

그러나 권력핵심부는 1979년 개혁개방 선언과 함께 이데올로기 우선의 노선을 포기했다. 생산력 발전이 마오쩌둥(毛澤東)식 사회주의를 대체한 새로운 이념이 됐다. 중국 지도부의 원칙은 확고하다. "발전은 요지부동의 원칙(發展是硬道理)"이라는 것이다.

정치지도부는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체면을 돌보지 않는다.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과 주룽지(朱鎔基) 총리까지 해외 투자사절단 접견을 주저하지 않는다. 외국투자를 위한 국내체제 정비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정부의 경제지도력과 구조개혁 노력은 아시아 1위로 평가된 바 있다. 중소도시 공무원도 투자유치 열기는 뜨겁다.

유치실적이 높은 공무원에게는 포상이, 낮은 공무원에게는 한직발령 등 불이익이 주어진다. 중국인을 꾸안시(關係ㆍ연고나 친분)로만 접근하려하다간 큰 코 다친다.

덕분에 중국의 2000년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전년보다 0.7% 증가한 407억달러에 달했다.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이고, 개발도상국 중에는 단연 1위다. 지난해 베이징의 외자유치액은 30억1,000만달러. 세계적 다국적 기업들이 앞다퉈 중국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단순한 저임금 메리트가 아니라 중국 자체의 시장규모와 구매력을 보고 투자하고 있다.

정부의 지도력은 베이징에 몰려든 두뇌와 상승작용을 거듭하고 있다. 베이징은 자동차, 화공, 의약, 유기화학, 방직, 야금, 기계 등 업종이 고루 발전해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마이크로 전자와 생명공학 등 첨단기술 산업이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첨단기술의 대명사는 중관춘 IT밸리. 1980년대 말부터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해 온 '과기흥국(科技興國)'정책은 베이징을 첨단기술 생산도시로 직행시키고 있다.


중관춘 "20년대 실리콘밸리 따라잡겠다"

과기흥국 정책 중 대표적인 것은 '횃불계획(火炬計劃)'. 횃불계획은 전자정보, 신소재, 생명공학, 정밀기계, 차세대 에너지, 통신장비, 의약, 환경과학 분야를 집중육성 대상으로 하고 있다.

횃불계획으로 1988년 태어난 중국최초의 국가급 하이테크 개발구가 일명 '과학도시(科學城)'로 불리는 중관춘.

주변의 베이징대, 칭화(靑華)대 등 싱크탱크를 배후로 한 중관춘은 국가진흥책, 다국적 기업의 대거 진출에 힘입어 출범 10여년만에 미국 실리콘 밸리를 꿈꾸고 있다. 대만의 신주(신죽) 과학기술구를 10년 내에, 실리콘 밸리를 20년 내에 따라잡는다는 것이 중관춘의 청사진이다.

중관춘은 전자상가와 과학촌, 상띠정보산업단지 등 크게 3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IBM,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모토롤라, HP, 미쓰비시 등 다국적기업들이 이곳에 연구개발센터를 두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중관촌에 설립된 기업은 모두 7,500여개. 이중 외국투자기업은 1,600개에 달한다.

다국적기업 등과의 기술제휴, 협력을 통한 중국의 자생적 IT기업도 중관춘을 발판으로 한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방중 당시 들렀던 리엔샹(聯想)과 팡정(方正), 쓰퉁(四通), 창청(長城), 쯔광(紫光), 수광(曙光), 화성(華勝) 등이 그 면면이다.

이곳 IT기업의 압도적 다수가 중국인이 세운 회사란 사실은 중국의 미래를 더욱 밝게 한다.

외국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젊은 지식인, 중국내 젊은 교수와 학생들이 중관춘의 핵심을 이룬다. 아울러 중관춘 외부에 본사를 중국회사가 세운 자회사도 급증하고 있다.

총연장 8km에 이르는 전자상가는 토요일 오후에도 인파로 붐빈다.

베이징궈터우커하이(國投科海) 전자시장에서 만난 한 중국인은 "일주일 내내 휴일이 없다"고 말했다. 산시(山西)성에서 베이징 출장길에 들렀다는 한삥(韓兵)씨는 "1995년만 해도 286을 썼는데 불과 몇 년 만에 686세대로 넘어 왔다"며 컴퓨터 발전속도에 혀를 내둘렀다.

중관춘 전자상가의 고객은 중국인 뿐 아니다. 다헝(大恒)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일하는 하이청롱(海成龍)은 "고객의 대부분이 중국인이지만 일본인과 한국인도 많다"고 말했다.


첨단기술보유업체 입주, 연구개발투자 활발

중관춘은 아무 기업이나 입주할 수 없다. 전통 제조업과 단순 상업, 무역업은 사절이다. 첨단기술이나 신개발 기술을 보유한 업체만 발을 들여 놓을 수 있다. 나아가 입주기업은 매년 연구개발에 총수입의 3% 이상을 투자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자격만 갖추면 투자액의 다과는 크게 문제삼지 않는다. 독자기업은 등록자본금이 15만달러 이상, (중국과 외국)합자기업은 20만달러 이상이면 환영이다.

중국인을 '만만디'와 연관시키면 착각이다. 돈을 보고 달려가는 중국인은 '총알'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이종일 중국총대표는 중국의 경제전망을 더 이상 지켜볼 여유가 없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중국에 발을 들여놓지 못한 기업은 시장 선점효과를 놓쳤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배연해 주간한국부 기자

입력시간 2001/05/30 19:06


배연해 주간한국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