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를 벤치마킹하자] 유럽의 무역·금융은 네덜란드로 통한다

거대한 자본력으로 유럽 금융시장 석권 실용적 노사관계로 약속된 경제 번영

꽃과 풍차의 나라, 인구 1,550만 명에 불과한 네덜란드가 상품과 서비스 분야에서 세계 7위의 수출국으로 부상하면서 기적을 창출하고 있다. ‘더치 미러클’ 또는 ‘폴더 미러클’이라는 말을 듣는 네덜란드가 얼마나 경제적으로 번영했는지 알려면 통계 숫자만 보면 충분할 정도이다.

이런 기적을 낳을 수 있는 원동력은 1982년 노동조합 대표들과 경영주들이 맺은 협약(바세나르 협약)에서 비롯됐다.

노사는 당시 임금인상을 억제하는 대신 고용을 보장하고 노동시간을 줄이며 사회보장제도를 준수할 것을 합의했다. 이 합의사항은 그 동안 철저히 준수되어 왔으며, 마침내 결실을 맺기 시작한 것이다.


시간제 정착으로 일자리 창출

네덜란드에서 평생 직장이라는 말은 과거지사가 됐다. 네덜란드의 노동인구 중 약 3분의 1이 일용직이거나 시간제 또는 노동조건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있는 계약직 노동자이다. 네덜란드는 노사가 실용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상당한 비율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네덜란드 노동 조합들은 임금을 억제하는 대신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일자리를 확대하는데 사용자측과 합의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의 주당 노동시간은 40시간에서 38시간으로 단축됐다. 공무원이나 은행원 같은 일부 직종의 노동자 경우, 노동시간이 36시간까지 줄었다.

또한 네덜란드의 노조들은 시간제 노동제를 도입하는 것에 동의함으로써 1주일을 완전히 근무하는 노동자가 전체의 37%밖에 되지 않으며, 대신 시간제 고용직 노동자의 비율이 유럽에서 가장 높게 됐다.

시간제가 정착됨에 따라 여성들의 일자리가 크게 늘어 노동할 수 있는 여성의 반이 시간제 노동자로 일하며, 시간제 노동자의 3분의 2가 여성으로 구성됐다. 이처럼 시간제 고용직은 전체 노동자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고, 그 비율은 높아지고 있다.

네덜란드 정부는 이런 추세가 가속화함에 따라 소매업의 영업시간을 연장하는 조치를 취해 고용이 더 많이 창출되도록 하는 등 경제개혁을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네덜란드의 경제가 장밋빛만을 내비치는 것은 아니다. 시간제와 더불어 임시직 노동자의 비율이 늘어났고, 이에 따라 숙련된 기술을 보유한 노동자 숫자가 줄어들었다. 그래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저임금 노동자가 많아지는 부정적 측면이 나타난다.

또 여성노동자의 증가와 인구의 노령화로 산업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네덜란드 기업들 중 약 3분의 2가 숙련된 기술자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호소한다.

정부가 직업교육의 강화 등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기업경쟁력의 중요한 요소인 질의 측면에서 장기적 애로가 될 것이 분명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제조업 분야에서는 상당한 퇴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네덜란드의 대표적 항공기 제작사인 포커사가 1997년 봄 문을 닫게 돼 약 5,500명의 노동자가 실직을 하게 됐다. 이런 추세는 섬유업에서 선박 해체업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농업 분야의 수출에 있어서도 이웃나라 독일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심화되어 있다. 유로화 출범 이후 농산물의 수출이 자유화되면 서 유럽의 다른 국가들의 값싼 농산물에 비해 비교적 값이 비싼 네덜란드 농산물은 수출할 수 없어 농업 기반이 무너질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해외진출에 적극적인 3대 은행

네덜란드 경제에서 가장 주목해야 될 분야는 금융보험업이다. 네덜란드는 유럽의 15대 은행 중 3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6대 보험회사 중 2개도 갖고 있다. 네덜란드의 3대 은행들인 ABN AMRO와 ING, 라보뱅크는 국내 금융시장은 물론 외국까지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다.

ABN은 남미에 이미 진출해 활발하게 영업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가장 큰 외국은행이다. 네덜란드의 은행들은 유로화 출범과 함께 유럽시장에 대한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금융업이 이처럼 강세를 보이고 있는 까닭은 1980년대 초의 경제위기로 많은 은행들이 일찌감치 이들 3개 은행으로 합병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경제가 점차 회복됨에 따라 정부는 연금이나 각종 보험금 지급을 늘렸으며, 국민들의 저축률에 힘입어 은행들은 매년 약 10%씩 성장했다.

이와 함께 암스테르담의 주식시장이 호황기를 맞게 됐으며, 이자율이 3% 이하로 떨어지자 국민들은 앞다투어 주식을 매입했다. 은행들 역시 이 같은 매매를 통해 커미션을 긁어 모았다. 네덜란드 은행들은 이렇게 형성된 거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이제는 유럽시장을 석권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네덜란드 3대 은행들은 국제결제(BIS)의 기준을 철저하게 준수하고 있고 무리하지 않는 인수를 통해 부채도 가능한 지지 않고 있다.

네덜란드 금융업계의 자신감은 네덜란드가 유럽중앙은행 초대 총재를 배출했고, 유럽의 다른 국가들보다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는 것, 또 경제상황도 당분간 안정 속에 성장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 등 국내외적 요소를 감안해서 나온 것이다. 네덜란드의 풍차를 돌리는 바람은 바로 금융업이기 때문이다.

장학만 기자

입력시간 2002/06/30 13:55


장학만 local@hk.co.kr